• 제목/요약/키워드: propolis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1초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of Alaska Pollack Meat Paste Added with Propolis)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5-4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를 명태 연육에 각각 0.17%, 0.34%, 0.51%, 0.67% 및 0.84%로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첨가한 명태 연육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과산화물가, 색도, 총 균수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제품에서의 항균.항산화효능을 분석 평가하였다.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과산화물가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태 연육튀김어묵의 겔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군에서 겔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겔 강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색도에서는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프로폴리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0.17%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에서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별 국산 프로폴리스의 항균활성 및 Pinocembrin의 UPLC 분석 (UPLC Analysis of Pinocembri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 김세건;홍인표;우순옥;장혜리;한상미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53-259
    • /
    • 2017
  • 충치발생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진 S. mutans를 이용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되는 프로폴리스를 9개 지역으로부터 수집한 후 생리활성 물질 탐색과 주요성분 함량에 따라 활성차이를 조사하였다. S. mut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제주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기도, 강원도 프로폴리스 및 pinocembrin에서 모두 관찰되었다. 제주도를 제외한 모든 프로폴리스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10mg/g 이상으로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에 적합하였고, 19mg/g 이상일 경우 우수한 항균활성을 유사하게 나타내었다. 국산 프로폴리스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진 pinocembrin의 UPLC 정량분석에서는 제주도산 프로폴리스를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주성분으로 검출되었고 12mg/g 이상일 경우 항균활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ropolis 유효성분의 항위염 및 항위궤양 작용 (Antigastritic and Antiulcer action of Effective Compounds from Propolis Extract)

  • 김은주;정춘식;정기화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4호
    • /
    • pp.362-370
    • /
    • 1999
  • Propolis, a natural resinous compound collected from honey bees, contains many biochemical constituents(wax, flavonoids, phenolic compounds, etc.) and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s as early as 300 B.C. It was been demonstrated that ethanol, acetylsalicylic acid, ischemia reperfusio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stress induce gastric lesions by promo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metabolites. Therefore, some drugs that are capable of scavenging or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radicals might be expected to prevent the gastric mucosal injury. The aim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antiulcer effect of propolis, 2)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ction by determining gastric acid secretion, lipid per-oxidation, mucus content and proton pump ($H^+$/$K^+$-ATPase) activity on gastric mucus in varios experimental models, and finally, 3) to isolate and identify the pure compounds that exert antiulcer activity. Step 2-1 and 2-3 sub-sub fraction sho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severity of gastirc damage at the dose of 25 mg/kg in various experimental models. We isolated 4 sub-sub-sub fractions by flash column chromatography of Step 2-1 sub-sub fraction and one sub-sub-sub fraction by recrystalization of Step 2-3 sub-sub fraction. The protective effects of propolis sub-sub-sub fraction manifested sifnificant effects in HCl-ethanol induced gastric erosion model and aspirin induced gastric ulcer mode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gastric mucosal protective effect of propolis might result from the increase of mucus secretion,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s well as the reduction of acid secre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duction of $H^+$/$K^+$-ATPase activitv. Thre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sub-sub fraction of propolis which showed antiulcer effects. Subsequently,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 flavonoid, namely, 2-acetoxy-5,7,-dihydroxy-flavanone, galangin and chrysin.

  • PDF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숙취 해소 음료의 알콜 분해 효과 (The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Propolis on Ethanol Oxidation)

  • 한승관;김희성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8-201
    • /
    • 2004
  • 천연발효물질인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고 그에 따른 알콜 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폴리스 농축액과 다양한 약용식물의 농축액을 사용하여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였다. 배합원료 각각의 알콜 분해 능력을 검토한 결과, 프로폴리스와 가시오가피 추출액이 가장 큰 분해 능력을 보였다. 타 회사 제품과의 알콜 분해 능력을 비교한 경우 급성 주정 중독량 (kg당 4g)을 경구 투여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정중독량 지표보다 약 1/3을 감소시킨 kg당 1.8 L의 술을 경구 투여한 경우, 프로폴리스 음료는 270분이 경과했을 때 0.026%, 360분이 경과했을 때에는 0.000%의 혈중알콜농도를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보아 프로폴리스 음료는 섭취알콜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일정량의 알콜을 섭취할 경우에는 매우 뛰어난 알콜 분해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프로폴리스 첨가 양미리 연육 튀김 어묵의 품질특성 (Quality of Fried Fish Paste Prepared with Sand-lance (Hypoptychus dybowskii) Meat and Propolis Additive)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0-175
    • /
    • 2008
  • We made sand-lance meat paste containing 0.1-0.5% propol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duc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pH, viable cell count, and sensory evaluation. The fried sand-lance meat paste made with added propolis had a lower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volatile basic nitrogen content after frying compared to the control prepared with potassium sorbate. The antioxidant and antispoiling effect of propolis on the fried fish meat paste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propolis added. The fried sand-lance meat paste made with 0.2% added propolis was very acceptable. In addition, the bitter taste of the sand-lance meat paste containing 0.2% propolis was blocked by adding 2% sweet amber powder to the paste.

Propolis의 휘발성 향기 성분 특성 (Volatile Flavor Characteristics of Propolis)

  • 송효남;김영언;황인경;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53-1158
    • /
    • 1999
  • 밀원식물을 달리하여 채집된 두 종류의 국내산 propolis의 향기성분을 Aroma Scan과 GC/MS로 분석하였다. Aroma Scan으로 아까시나무와 밤나무 유래의 두 propolis는 서로 다른 향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GC/MS 분석한 propolis의 향기 성분은 아까시나무 유래 Propolis의 44종과 밤나무 유래 propolis의 47종을 포함한 총 55종이 검출되었다. Aldehydes 5종, alcohols 8종. ketones 5종, esters 3종. fatty acid 1종을 비롯하여 27종의 hydrocarbons과 2종의 terpenes 및 4종의 phenolic derivatives가 검출되었다. Benzaldehyde, cinnamyl alcohol, eudesmol 및 benzyl benzoate 등을 포함한 36종의 화합물은 두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되었고, geraniol과 n-undecane을 포함한 8종의 성분은 아까시나무 유래의 propolis에서만 동정되었으며, piperitenone과 valencene을 포함한 11종의 화합물은 밤나무 유래의 propolis에서만 검출되어 밀원 식물에 따라 향기성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Dietary Addition of Turkish Propolis on the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Serum Variables of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 Denli, Muzaffer;Cankaya, S.;Silici, S.;Okan, F.;Uluocak, 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6호
    • /
    • pp.848-854
    • /
    • 2005
  • We examined the effect of dietary Turkish propolis and flavomycin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internal organ weights and some serum variables in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birds. One hundred and fifty day-old quai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with ten replicate pens per treatment and three birds per pen. One group received the basal diet (antibiotic-free), the control. The flavomycin at 10 mg/kg diet and propolis at 0.5, 1 and 1.5 g/kg diet were added to the basal diet. Body weight gain, feed consumption and feed efficiency were determinated weekly. Carcass characteristics, internal organ weights and serum variables were determinated at the end of the study (35 day). The results showed that body weight gain, feed efficiency and carcass weight were improved significantly (p<0.01) when compared to control group for birds fed diets containing propolis and flavomycin between 14 to 35 days. The addition of 1 g/kg propolis to the diet resulted in significantly (p<0.01) better-feed efficiency as compared to control and other treatment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yield, abdominal fat, liver gizzard, proventriculus and intestinal weight and intestinal pH among the groups. In addition, serum ALP, total protein, uric acid,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not influenced by the any supplementation. However, birds fed with propolis tended to have higher serum HDL and lower level than birds fed the control diet.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propolis and flavomycin during the growth period showed similar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in quail. Therefore, it can serve as a natiral substitute for antibiotics in poultry diets.

양봉농가에서 생산된 프로폴리스 급여에 따른 꿀벌 질병의 저감효과 (Reduction effect of bee disease caused by propolis feeding in beekeeping farm)

  • 김지연;최인수;안아진;정하진;장미선;조영관;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5-92
    • /
    • 2019
  •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polis on the increase of the immunity of honeybee bees by gradually administering the bees' propolis to bees. 0.16% and 0.3% 0.6% Propolis were administered at intervals of 2 weeks for 2 months, respectively, and 16 kinds of representative diseases of bees were tested. As a result, less bee disease was observed directly in the 0.3% propolis-administered group. In the next year, bees and a newborn bee showed a decrease in the incidence of bee disease and American foulbrood in bees administered with propol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propolis administration in bees helps to enhance immunity of bees and is effective in controlling American foulbrood.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 and Their Application as a Natural Preservative in Livestock Products: A Meta-Analysis

  • Andre, Andre;Arief, Irma Isnafia;Apriantini, Astari;Jayanegara, Anuraga;Budiman, Cahy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80-294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polis extract as a natural preservative for livestock products in term of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by meta-analysis. The stages carried out in this study were identification, selection, checking suitability, and the resulting selected articles were used in the meta-analysis. The selection results obtained a total of 22 selected journal articles consisting of 9 articles for analysi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 and 13 articles for analysis of the chemical and mi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products. The articles were obtained from electronic databases, namely Science Direct and Google Scholar.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the random-effect model involving two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al. Heterogeneity and effect size value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using Hedge's obtained through openMEE software. Forest plot tests and data validation on publication bias was obtained using Kendall's test throught JASP 0.14.1 softwa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opolis extract with the results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p<0.05).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propolis extract on the livestock products for the test microbes and the valu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p<0.05). Conclusion based on the random-effect model on the effectiveness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propolis extract and their apllication as a natural preservative of the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vestock products is valid by Kendall's test (p>0.05). Propolis in this case effectively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in livestock products.

HeLa 암세포주에 대한 국산 프로폴리스의 독성 효과 및 단백질 발현 변화 (Cytotoxic Effect and Protein Expression by Korean Regional Propolis on HeLa Ovarian Cancer Cell Line)

  • 김성국;우순옥;한상미;김세건;방경원;김효영;최홍민;문효정
    • 한국양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5-254
    • /
    • 2019
  • 꿀벌에 의해 생산되는 프로폴리스는 이미 항균,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그리고 항종양 등의 기능성으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인공적으로 생성된 화합물이 아닌 자연에서 얻어진 천연물이라는 점에서 특히 가치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류에게 대표적 난치병 질병 중의 하나인 암에 대한 항종양 특징은 화학적 예방 요법이라는 측면에서 중요성과 활용도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프로폴리스가 가지는 항종양 같은 현상적인 효과라던가 프로폴리스 구성 성분의 특징에 대해서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고, 암세포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분자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연구가 미비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암세포에 대해서 프로폴리스가 나타내는 구체적인 분자기전을 제시함으로써 어떤 메커니즘으로 의해 프로폴리스가 항암에 대해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암세포에 대해서 확실한 항암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프로폴리스의 세포 사멸 농도를 확인하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단백질 분자의 발현 양상 또는 분자 기능의 활성화 등을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수많은 단백질들이 암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관여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세포 내부의 모든 단백질의 기능을 확인하기엔 불가능하기 때문에 세포의 분열과 사멸에 관련된 기본적인 단백질과 더불어 암에 관련된 단백질의 활성화 등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보면 프로폴리스가 암세포에 대해서 항암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100 ㎍/mL의 농도에서 비로소 세포 사멸 현상을 나타낼 수가 있으며, 그에 따라 암세포 내부의 수많은 단백질의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국내의 지역에 따라 수집된 프로폴리스의 항암 효과가 암세포 내부에서 작용할 때는 큰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결과로서 각 지역에 식재된 밀원수에 따라 프로폴리스의 구성성분이 달라지는 것이며 그에 따라 프로폴리스의 기능성에 큰 차이를 나타낸다는 의미이다. 이는 프로폴리스가 가지는 기능에서 항암뿐만이 아니라 항염증, 항산화 그리고 항균 작용에서도 지역별로 구성된 식물상에 따라 기능성의 차이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역으로 추적해서 각 지역에서 나타난 프로폴리스의 기능성 차이를 확인하고 해당 지역의 식물상을 분석한다면 질병 또는 특정 기능성을 가진 프로폴리스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자궁경부암 세포에 대한 프로폴리스의 성장저해 효과는 확인했지만 아직도 확인해야 할 기전은 매우 다양하다. 세포는 내부의 신호 체계가 매우 복잡하고 단일 신호 체계가 아닌 다중 신호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프로폴리스에서 항암 효과가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암세포는 다른 방향으로 anti-apoptitic signal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신호 체계에 대한 암세포 내 단백질 발현에 대한 변화를 확인해야 하며, 추가로 단백질의 phosphorylation, acetylation, protein folding 그리고 mutation과 같은 기능성을 검증해야 한다. 이런 분석을 통해 프로폴리스의 구체적인 세포 신호 경로를 확인해야만 항암과 관련하여 약물을 제조할 때 손쉽게 표적 특이적인 신약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암은 조직별로 그 특성을 다르게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조직 특이적인 맞춤형 약제의 생산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된 지역별 프로폴리스의 항암 분자 기전 분석에 더하여 해당 지역의 밀원수 분석 및 세포 내 단백질 변화추적을 기반으로 앞으로 더 많은 종류의 암세포 저해 기전을 밝힌다면 대표적 양봉 산물인 프로폴리스를 이용한 특정 암에 대한 효과적인 항암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