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ive activities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4초

인공지능 기반 DALL-E2 활용 쓰기 활동에 대한 영어학습자들의 인식 조사 (A Pilot Study of English Learners' Perception on Writing Activities using AI-Based DALL-E2)

  • 윤택남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121-127
    • /
    • 2023
  • 본 예비연구의 목적은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 도구인 DALL-E2를 활용하여 영어 작문 활동을 실시한 후 중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미치는 반응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5명의 중학교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3주간 실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DALL-E2 활용 영어 작문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자신감, 흥미 및 인공지능 기반 도구 활용 쓰기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인공지능 활용 학습이 영어 작문 및 전반적인 영어 학습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둘째, DALL-E2 활용 영어 작문 활동에 대한 소감문을 내용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핵심 주제를 3가지(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특성)로 추출할 수 있었으며 영어 학습에 있어 인공지능 기반의 DALL-E2의 활용과 접목은 학습에 대한 새로운 흥미와 도전, 의지, 적극성을 높이며 궁극적으로는 영어표현력(productive skill) 향상에 일부 기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Cases Studies on Total Productive Management and Competitive Advantages

  • Li, Chang-Chung;Tsai, Ping-Chen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2권1호
    • /
    • pp.106-116
    • /
    • 2001
  • The purpose of business strategy is to achieve competitive advantages which includes higher efficiency, better quality, more innovation and faster customer response. In other words, The business strategy is to build unique capability of lower cost and/or differentiation. In production aspect, unique capability means better production power with better performance at 3M(Man, Machine, Material) of input and PQCDSM (Product, Quality, Cost, Delivery, Safety, Moral) from output. The Total Productive management (TPM), a series of improvement activities focused on reduction of equipment loss, is a tool to establish business competitive advantages. In this paper, several domestic companies who won the Japan TPM Award have been studie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trong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TPM and competitive advantages because. 1. TPM can change employees mindset effectively. 2. TPM can upgrade employees capabilities. 3. TPM can lead to excellent productivity.

  • PDF

성공적인 TPM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영의 조건 (Requiremen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System)

  • 함효준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8권36호
    • /
    • pp.265-273
    • /
    • 1995
  •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provide some managerial requiremen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otal productive maintenance system. It tries to identify determining factors for success and reasons for the failures of TPM, based on the research of a survey and an empirical study through the years in Korea. The findings are such that many companies have not been engaged in planning and control the maintenance cost and their maintenance activities are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However, many indicators show that the number of finns which try to introduce and implement TPM is getting increased.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PM depends largely on how top management perceives TPM and how the firm responds In the changes of organization and of the role of workers to adapt this new concept of work. It is required that TPM is perceived as a means to achieve the firm's business objectives. It is recommended that each company constructs and develops its own model and procedures to drive the effort for TPM implementation.

  • PDF

시장경쟁과 기업의 내부 효율성 (Product Market Competition and Internal Efficiency of the Firm)

  • 조성빈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27권2호
    • /
    • pp.205-237
    • /
    • 2005
  • 본 논문은 기업의 주주가 경영자에게 경영을 대리하게 하여 본인-대리인관계(principal-agent relationship)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상품시장경쟁이 기업의 내부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본 논문에서는 두 종류의 기업을 고려한다. 하나는 기존기업(incumbents)이고, 다른 하나는 신규 진입기업(entrants)이다. 각 기존기업의 주주는 경영자에게 경영을 위임하고 경영자의 노력을 관찰하지 못하여 도덕적 해이가 발생한다. 기존기업의 경영자는 두 종류의 일을 수행하는데, 하나는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생산적인 노력)이고, 다른 하나는 진입장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비생산적인 노력)이다. 기존기업의 수로 측정되는 경쟁도의 증가는 두 가지 효과를 유발한다. 하나는 '산출효과'로서 경영자의 생산적인 노력을 감소시키고, 다른 하나는 '노력대체효과'로서 비생산적인 노력을 감소시키고 동시에 생산적인 노력을 유도한다. 본 논문은 어떠한 조건에서 시장경쟁이 생산적인 노력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는 비용을 감소시켜 기업의 내부효율성을 증진하는가를 살펴본다.

  • PDF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서 발현되는 과학공감의 특성과 변화 분석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cientific Empathy during Students' Productive Disciplinary Engagement in Science)

  • 양희선;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27
    • /
    • 2024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생산적인 과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공감의 역할을 조사하고, 해당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공감의 주요 요소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일반공감 능력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나누어 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적용한 생산적 과학 참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문제 해결의 다섯 단계 중 아이디어 생성과 프로토타입에서 소집단의 발화를 분석하여 과학공감과 과학실천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디자인적 사고 과정을 효과적으로 적용한 과학 공감은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세 집단의 과학공감 및 과학실천의 평균 발화 빈도가 아이디어 생성 단계에서는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프로토타입 단계에서는 후반부에 오히려 발화 빈도가 증가했다. 그러나 일반공감 능력이 낮은 소집단은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협력적 의사소통의 결여로 과학공감과 과학실천의 발화 빈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은 생산적인 과학 참여 상황에서 5가지 주요 과학공감 구성요소가 모두 발화로 드러났다. 높은 일반공감 능력 집단에서는 타인과의 과학공감 요소인 공감적 이해와 공감적 걱정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낮은 일반공감 능력 집단에서는 연구대상과의 과학공감 요소인 민감성, 과학적 상상, 상황적 관심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 수업에서 타인뿐만 아니라 연구대상과의 과학적으로 공감하는 경험이, 일반적인 공감 능력과는 별개의 중요한 특성으로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활동을 다양한 참여를 유발하며 이를 지속하게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과학공감이 학생들의 생산적 과학 참여에 다양한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과학 수업에서 과학공감의 이론적 구조와 안정성에 대한 논의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과학 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과 창의성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Flow' and Creativity as Observed in the Daily Lives of Science-Gifted Students)

  • 이남주;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47-153
    • /
    • 2014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유형과 창의성을 알아보고 그 관계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들의 몰입 경험과 주된 활동을 2개월 동안 경험표집법(Experience Sample Method:ESM)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창의성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채널 상태 중 몰입이 40.4%로 가장 높게 나타나 일상에서 초등과학영재들이 몰입 경험을 많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몰입이 많이 나타나는 주된 활동은 생산활동, 사회활동, 여가활동, 기초활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과 도전이 낮은 무관심은 반대의 순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과 창의성은 유의수준 .01에서 정적 상관을 가져 일상에서 몰입 경험이 많이 나타날수록 창의성도 높게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창의성 증가를 위해서는 몰입을 많이 경험할 수 있는 과학프로그램 개발이나 삶 속에서 몰입경험 빈도가 높은 생산활동을 하면서 동시에 불안을 줄이고 인내심을 기를 수 있는 환경을 가지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 진출 기업의 학습조직 현장개선 자주연구회 운영과 전사적 생산경영혁신(TPM) 활동 연구 (A Study on Voluntarily Participative Field Research Circle and Total Production Management(TPM) Innovation Activities of Foreign Enterprise in China)

  • 유성희;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3-230
    • /
    • 2010
  • Recently Korean enterprises that branch out into China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ed to achieve diverse objectives such as personnel expenses reduction, market share extension on China and globalization strategy implementation. We have studied about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of enterprises that branch out into China in terms of TPM(Total Production Management). In this paper, we extended the concept of traditional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 to TPM(Total Production Management) that covers extensively the concept of total management innovation activities. We explored detailed activities of TPM and voluntarily participative field research circle. Also, We suggested some prerequisite conditions for TPM settlement that might be recommended for the foreign companies in China and checked Key Performance Indicator(KPI) that could be useful to confirm how TPM contributed to enterprise competitiveness reinforcement.

경험표집법(ESM)을 통해 본 음악영재의 삶의 질 (A Study for Quality of Life in Musically Talented Students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

  • 이현주;최인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57-8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영재들이 경험하는 일상을 통해 그들이 실제 인지하는 삶의 질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삶의 질에 대해 측정하기 위해 일상 경험을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하나는 외적 경험으로, 주된 활동, 함께한 사람에 대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내적 경험으로, flow, 정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음악영재들의 삶(일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시간과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고, 그 시간에 재능 발현을 위한 준비를 하면서 긍정적인 내적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음악영재는 일상에서 일반청소년에 비해 긍정적인 내적 경험을 보고하고 있었다. 셋째, 다른 활동을 할 때보다 자신의 재능과 관련된 음악활동을 하면서 더 깊이 flow에 빠지고, 긍정적인 정서를 느끼고 있었다. 넷째, 음악활동을 하면서 깊은 flow를 경험하고 있었지만, 상대적으로 행복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이는 행복감이라는 것이 flow 경험과 동시에 오지 않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새로운 연구방법, 즉 경험표집법(ESM)의 사용으로 일상에 대한 풍부하고 심도 깊은 자료를 제공하고, 이러한 정보들을 통해 음악영재들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상담이나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전근대 여성의 주체적 삶의 양상 고찰 - 젠더 연구적 관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ubjective Lives of the Premodern Korean Women in the Viewpoint of Gender)

  • 이화형
    • 비교문화연구
    • /
    • 제31권
    • /
    • pp.7-33
    • /
    • 2013
  • The ultimate goal of women's studies and feminist critics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n women and recognize women's values. When we examine the Korean women's history on the viewpoint of gender, we can find that the gender role is not fixed. We do not have any proofs that there are any kinds of gaps between women and men in ability and temperament. All of women's identity and subjectivity in status and activities was not insignificant. Especially women's subjectivity in high social standing was superior. The women's activities in economic area were energetically. The productive activities were lively, too. The patrilineal decent is usual in Chana though China is in the same Confucianism cultural area. But patrilineal and matrilineal decent were popular used until the early days in Chosun Dynasty. Only sons can be inherited father's estate in China but it's not in our country. Also the patriarch had the economic power in family in China but the housewives had the power in ours. The feminism has been making efforts for the equality of sexes and the dismantling of the patriarchal sex role for a long time. Every feminist activities included feminist theory and cultural criticism has the goal to increase women's liberty and equality and change the world.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ubstance of Korean women is on the way, too.

Online Collaborative Language Learning for Enhancing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 Jeong, Kyeong-Ou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4호
    • /
    • pp.89-96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online collaborative English language learning to enhance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in university English instruction. The role of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has gained much attention under the premises of current constructivist framework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promote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in English instruc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engaged in integ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rough online group collaboration and peer-tutoring. They exchanged productive peer response and shar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throughout the integ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Digital technology played an integral role in motivating the learn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Data for this study were gather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ARCS motivational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to identify the motivational aspects of integ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reveals that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garded online collaborative English learning activities as the positive and motivating learning experience. The online collaborative English reading instruction had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FL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performanc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lso identified affective and metacognitive benefits of online collaborative EFL learning activities for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engagemen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social networking platform in online group collaboration played a crucial role for the participants in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online group collaboration as the positive and effective language learning strategy. This study may have implications in suggesting the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for promoting learner motivation and classroom interaction in EF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