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paration for old age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 노후대비 자산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ancial structures for the old age preparations in Korea)

  • 박동인;조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6호
    • /
    • pp.1199-1206
    • /
    • 2015
  • 최근 들어 OECD 국가 중 국내의 고령화 진입 속도가 가장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노인 빈곤율 및 노인 부양에 대한 이슈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노후대비에 대한 중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고령층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회적 부담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국내 중장년층 가구주들의 노후대비 유무와 노후준비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집단별 포트폴리오 구축 유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노후대비를 위한 수단으로써 금융과 부동산을 결합한 상품을 개발한다면 노후대비 포트폴리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인구통계학적 요인 뿐 아니라 보유 자원들의 정도에 따라 노후대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보유 자원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소들이 노후대비가구와 미대비가구별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노후대비 유무에 따라 차이가 발생되는 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국내의 고령층에 맞는 포트폴리오 구성 요인 등에 대해 파악해야 한다. 또한, 더 정교한 추정모형을 통해 더 나은 시사점을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이러한 연구의 초석을 다졌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건강상태와 노후준비가 성공적인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lth Condit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 하은호;이영미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8-21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 of current health conditions and preparation for old age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ethods: Totally, 273 university students, based across several cities in South Korea, were enrolled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pply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Statistics 23.0. Results: There were three typ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for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in university students. Its explanatory power of each model was adjusted R2 of .04, 07, and .31 respectively. Major (β=.14, p=.007), health condition (β=.13, p=.028), preparation for old age (β=.52, p<.001)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Conclusion: Our study results indicate that for university students, diverse interventions to promote the awareness of successful aging must focus on improving the health condition and enhancing preparation for old age.

오팔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the Preparation of Old Age in Opal Generation)

  • 임미정;최규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65
    • /
    • 2022
  • 최근에 신중년이라 불리는 1955년에서 197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거대 인구 집단을 형성하며 이전의 전통적 노인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국가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신세대 노인인구집단의 등장과 이에 따른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오팔세대라고 불리기도 하는 신중년층은 평균수명의 증가로 늘어난 노년기를 생산적이고 자율적으로 보내고 싶어 하며 노후에 해외여행을 즐기는 등 어느 정도 경제적 능력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 여가·취미활동, 대인관계 등 활동적 노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해서 신세대로서의 신중년층을 위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오팔세대의 정의, 그들의 소비생활을 비롯한 태도, 사회활동, 여가활동, 건강에 대한 노력 등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오팔세대에 맞는 고용창출, 사회적 재교육, 지역의료시설 구축, 여가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적 배려 등 노후준비에 대해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준비와 사회적네트워크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Old Age and Social Networks on Enterpreneurial Intentions)

  • 김은경;강영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5호
    • /
    • pp.105-115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적 창업가의 노후준비도,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창업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05명의 서울과 수도권에 거주하는 잠재적 창업가들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후준비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지에 대하여 경제적 준비와 정서적 준비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네트워크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창업의도에 대하여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융복합시대 중년기성인의 내외통제성이 생활만족도 및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locus of control of middle aged on life satisfact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 among in the times of convergence)

  • 이희연;전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433-440
    • /
    • 2015
  • 본 연구는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예고된 가운데 다양한 심리적, 경제적인 난제로 위협을 받고 있는 융복합시대 중년기 성인들이, 어떻게 내적 또는 외적통제성을 발휘하여 생활만족도라는 현실의 인지정서적 균형과 노후준비라는 발달과업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중년기 성인의 내외통제성을 독립변인으로, 생활만족도 및 노후준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고, 최종적으로 284부의 설문이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중년기의 내통제성이 생활만족을 높이고, 실제적인 노후준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활만족과 노후준비 간에도 서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에, 내통제성과 같은 인간의 심리적 내적자원이 개인의 현실적 삶의 만족과 노후준비와 같은 발달과업에 긍정적인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Degree of Recognition and Preparation for the Old Age Life of Public Servants)

  • 박현숙;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248-260
    • /
    • 2012
  • 부산, 울산, 경남지역에 근무하는 공무원 중 편의표본 추출한 30대 및 40대를 중심으로 731명을 대상으로 하여 노후 생활에 대한 인식 및 준비정도 등을 조사하였다. 노후의 1차적 부양책임은 본인 및 배우자라는 응답은 83.9%였다. 노후생활 지역은 대도시 근교의 전원생활이라는 응답이 25.9% 였다. 노후생활에 예상되는 경제력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매우 문제가 될 것이다라는 응답이 33.0% 였다. 여가활동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는 그저 그렇다라는 응답이 43.4% 였다. 공무원들이 노후생활 경제력에 대해 나름대로 준비하고 있다는 응답은 75.0%였다.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가 56.0%, 적정하다가 17.2%, 모르겠다가 26.8%였다. 공무원들의 노후생활의 공적연금의 충족정도는 부족하다(409명 56.0%)가 이였으며, 공적연금의 충족정도에 따른 노후생활에 대한 경제적 준비내용은 먼저 공적연금 외 경제적 대책 준비정도와 공적연금의 충족정도 군별로 비교한 결과 부동산 투자, 부족분 자녀도움, 자신의 보유자산 이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분석결과, 중년층이 노후의 준비를 하는 데 있어서는 개인 스스로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장 단기적인 관점에서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노후 대책을 마련하고 실천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였다.

중년 여성가구주의 노후준비 경험: 직업이 있는 여성가구주를 중심으로 (Female Middle-Aged Householders' Experiences in Preparation for Old Age: With Focus on Career Female Householders)

  • 이남;한정란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51-171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변동의 한 실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형태 중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직업이 있는 중년 여성가구주를 대상으로 그들의 현재 삶을 생생히 들여다보고 노후를 위한 준비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여성가구주에 대한 삶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여성가구주가 된 배경 및 여성가구주로서 삶에 적응하기까지의 삶의 궤적과 향후 노후준비를 해가는 경험에 대한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고자 Colaizzi의 현상학적 질적 분석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12월까지 총 4개월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회당 1시간~1시간 30분의 개방형 질문을 통한 인터뷰를 총 2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자세한 답변에 대한 불충분한 부분은 전화나 메일을 통해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본질주제는 <외발로 선 낯선 세상>, <서서히 밀려오는 노후불안>, <힘이 되어주는 울타리>, <한걸음 다가선 자립적 노후준비>, <채우고 싶은 반쪽>, <노후 삶에 대한 소망> 등 6개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 여성가구주에게 노후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제공과 노후대비 교육 및 노후 적응프로그램 등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 $30{\cdot}40{\cdot}50$대 기혼남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Korean Adults' Planning for Old Age)

  • 강유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59-174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adult perceptions of old age planning and the factors that explain the degree of their planning for the future. The data came from 478 adults between the age of 30 and 59 living in Gunpo city.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participants are well aware of the need for old age planning, and that the majority of them think aey are responsible for their old age security. Nevertheless they are not preparing for later life very much. Second, they are doing their best planking for their later lives in the area of social activities. The degree of participants' preparation varies depending on their age and socioeconomic factors. Finally, participants who strongly recognize their parents' role are also more likely to plan for the fu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systems for pre-instruction about various plans for old age be developed for even younger people.

  • PDF

금융업 종사자의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 및 창업의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Retirement Expectations & Social Supports &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 Employees Engaged in Financial Business on the Preparation for their Old Age)

  • 김형석;강신기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1-265
    • /
    • 2022
  • 201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769만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9%를 차지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의 압축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다. 금융업 종사자는 대표적인 고임금 근로자들로 업종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금융업 종사자 대부분이 정년이전에 희망퇴직을 하는 경우가 많고, 퇴직 이후에 성공적인 전직이나 창업을 하는 경우도 드물다. 본 연구는 금융업 종사자들의 은퇴기대, 사회적 지지 및 창업의지가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특성에 따라 노후준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및 대구지역에 근무하는 금융업 종사자 280명이고, 자료 분석은 SPSS Win Ver.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업 종사자의 은퇴기대가 노후준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은퇴를 새로운 출발로 보는 사람들은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융업 종사자의 사회적 지지는 경제적 노후준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족관계는 신체적 노후준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에는 가족관계와 친구관계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금융업 종사자의 창업의지는 경제적, 신체적 노후준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정서·사회적 노후준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금융업 종사자의 개인특성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연령, 결혼 여부 및 직장 내의 직급은 노후준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창업교육 경험 있음은 경험 없음에 비해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령기 어머니의 가계소득과 교육소비욕구에 따른 사교육비와 경제적 노후준비 (The Expenses of Private Educations and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 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211-23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expenses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economic preparations for old age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416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aged 8 to 19 years old living in Daegu. The data analysis methods adopted for the study were two-way ANOVA and Scheff$\acute{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the group of mothers of low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high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spent more money on academic education and music, fine arts or physical education than the mother's with low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group of mothers of high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low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spent more money on academic education and spent less money on music, fine arts or physical education than the mothers with high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group of mothers of middle household income.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burde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and the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in mothers with school-aged children. In the group of mothers of middle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low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perceived there was a higher burden for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han the mothers with high consumption wants for educa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penditure preparation for old age and the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 for old 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household income. The mothers with high household income spent more money o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did well in economic preparation behavior for old age than the mothers with middle and low household in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