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1초

지구 환경에 대한 예비 중등 교사의 환경 인식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 정철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3-280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중등 교사를 대상으로 지구 환경에 대한 환경 인식, 지구 환경의 하위 영역에 따른 환경 인식, 그리고 전공에 따른 환경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장과 기술의 부정적 결과', '인류와 자연의 관계', '삶의 질', '생물권의 한계'의 4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된 NEP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예비 중등 교사들은 생태학적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전공에 따라서도 유사한 환경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환경 관련 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과학 창의적 글쓰기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A Perceptions about the Creative Writing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김윤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2호
    • /
    • pp.144-154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among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creative story writing exercises related to science. It aimed at analyzing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s in the story writing exercises, about story writing as a pedagogic metho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n science education. First, creative story writing exercises were carried out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by 114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 a college of education, all of whom were non-science majors taking a course on earth science as a liberal arts elective. Afterward,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m to discover their attitudes and opinions, both as students and as teachers-to-be.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expressed a positive opinion about creative story writing as a pedagogic tool, stating that they would apply it in their future teaching by telling stories they wrote or having students write their own compositions. Pre-service teachers conclude a creative writing improves students' studying, leads interest and motivation. In addition, it linked with daily life and other school subjects. Creative story writing, when used at colleges of education, has didactic value as an empirical exercise for pre-service teachers who are not majoring in science.

  • PDF

통합과학 프로그램 개발과정이 예비교사의 학습동기 및 집단지성에 미치는 영향: 가치관과 소프트웨어 접목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an Integrated Science Program on Pre-service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and Group Intelligence: A Focus on Values and Integration with Software)

  • 지덕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4-384
    • /
    • 2023
  • 이 연구는 사회적 요구에 의해 강조되고 있는 집단지성, 가치관,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예비교사들이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예비교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러한 결과로 첫째, 집단지성을 활용한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교사의 학습동기를 향상시켰다. 특히 수행과정에서 학습동기가 향상되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집단지성 기반 통합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은 예비교사들의 집단지성 역량을 함양하였다. 프로그램을 개발, 시연, 피드백하는 전 과정에서 집단의 긍정적 영향이 발현되었다. 셋째, 과학 교과에 소프트웨어와 개인의 가치관은 접목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위해 전문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석 순환의 구성요소와 과정에 대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이해 (The Rock Cycle Composition Elements and Process of the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 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6-198
    • /
    • 2016
  •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는 암석 순환의 구성요소와 과정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남부 지역에 소재한 사범대학교 2학년에 재학하면서 지구과학 수업을 수강하는 25명의 예비교사들이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암석 순환의 구성요소들을 구조적으로 배열하고, 순환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고, 순환 과정에 대해 서술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이해하는 암석순환의 구성요소는 마그마, 화성암, 변성암, 퇴적물, 퇴적암의 5가지로, 순환의 과정은 20가지로 표현되었다. 순환의 유형은 선형, 삼각형, 원형, 복합형의 4가지 기준으로 분석되었으며, 일부 예비교사들은 순환의 고리를 완성하지 못하거나 한 방향의 단순한 순환 구조로 시스템적이지 못한 이해를 표출하였다. 암석 순환은 역동성과 복잡성으로 특징되는 지구계 교육의 주제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초등 예비교사의 천문 개념에 대한 오개념 분포 분석 (Analysis of Misconceptions about Astronomy Concepts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한제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8-339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천문 관련 개념을 조사하여 오개념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초등교사 양성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천문 개념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특히 많은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계절의 변화와 관련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은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천문 개념에 대해 단순 암기 수준의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사례에 알고 있는 개념을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천문 관련 교육이 단순 암기가 아닌 다양한 사례의 적용과 응용을 통해 천문 현상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 양성 과정이나 교사 연수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천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안개 발생 실험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og' Generation Experiment Presented in the 2009 and 2015 Revi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정정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7-2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2009 개정 및 2015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5학년 '날씨와 우리생활' 단원의 탐구 중 '안개 실험'과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이해를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교육대학교 학생 100명으로 초등과학교재연구 강의에 참여한 학생들이다. 예비교사들은 두 교육과정에 대해 사전학습 후, 실험을 비교수행하고 논의하는 자율적인 교재연구를 하였다. 그 후 예비교사들이 개별적으로 답한 결과와 과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안개 발생 차이를 응결, 수증기 등의 관련 과학적 개념으로 설명한 예비교사는 24명(24%)이었고 그중 1명(1%)만이 포화개념을 이용하여 설명하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안개실험 방법의 변화에 대해 그 이유를 알아낸 예비교사들은 48명(48%)이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과학적 지식의 중요성보다는 실험의 재현과 성공을 중요시하였으며, 그런 예비교사들은 대체실험이나 동영상 자료 활용을 제안하였다.

지구과학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 분석: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 사례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 Cas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 이기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30-343
    • /
    • 2009
  • 교과교육학지식(PCK)은 과학 교사의 전문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인식되어 왔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PCK를 명시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비 및 현직 지구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PCK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 주제에 대한 PCK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각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일 주제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지구과학 교사의 PCK는 구성 요소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른 주제에 대한 PCK의 변화는 경향성을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구성 요소 및 교사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통해 PCK의 주제-특정성을 확인하였으며, 과학 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및 평가에 PCK분석틀 및 프로파일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느꼈을까? -대학 교육과정과 교육실습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What did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feel through teaching practic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curriculum and teaching practice -)

  • 임성만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8-49
    • /
    • 2017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느꼈으며 교육실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실습기간 동안 느낀 교육실습과 대학 교육과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사 양성 기관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20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을 위해 대학에서 배운 내용학 지식과 교육학 지식과 관련된 교과들이 도움이 되었다고 예비교사들은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은 수업을 보는 것만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을 위해 수업시연의 기회가 대학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리고 다양한 교수 기술과 새로운 교수방법을 배울 수 있는 강의가 개설되기를 원하고 있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은 수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야기하였다. 그리고 이것은 교육현장에서는 그들이 생각한 것보다 더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고 응답하였다. 더불어 그들은 이런 교육실습을 통해 많은 것을 경험하는 것은 매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은 미래 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을 위해 매우 필수적인 과정이며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교육실습과 관련된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 및 수정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학교 급별에 적합한 '지구의 모양'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Experiments of 'the Earth's Shape' of Each Stage of School)

  • 한제준;채동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5
    • /
    • 2018
  • 지구의 모양을 아는 것은 지구과학 교육에서 중요한 성취기준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지구의 모양 실험을 조사하여 학교 탐구실험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지구의 모양을 학습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 방법을 제시하고, 예비교사 26명에게 초등학교, 중 고등학교,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절한 실험이 무엇인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효과적인 지구의 모양 실험에 있어서 학교 급별로 차이가 있었다. 예비교사는 초등학생들에게는 '항구로 돌아오는 배의 돛 관찰하기 실험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중 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지구의 위도에 따른 북극성 고도 비교하기 실험, 대학교 학생들에게는 지면의 높이에 따른 시야의 차이 비교하기 실험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예비교사는 학교 급별 효과적인 지구의 모양 실험을 선택할 때에는 실험 방법의 난이도, 추상적인 사고와 배경지식의 깊이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Conception Chang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Causes of Season Change' with Disproof-Experiment Model)

  • 채동현;임성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524-534
    • /
    • 2011
  • This study is to ascertain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for the causes of season change, to verify their conceptional mistakes, and to analyze how their conceptions are changed while presenting Disproof-Experiment Model where they cannot explain it with their current conceptions. 32 junior students of Education universities,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ocated at the middle of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including two interviews and one experiment activity. As a result of analyzing of the data, the pre-service teachers held diverse conceptions for the causes of season change such as to mistake the phenomena, the distance between the earth and the sun, the tilting of the rotation axis and the revolving around the sun while changing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as the cause. After applying Disproof-Experiment Model designed by the researchers in order to change the current conception above, the conception changes of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investigated. Diverse Disproof-Experiment Models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Disproof-Experiment Model, 26 out of 28 pre-service teachers were changed to scientific conceptions. It was determined that in order to modif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designing and presenting the Disproof-Experiment Model appropriate to their conceptions are effective after analyzing their conceptions. In case of conceptions that pre-service teachers feel difficult, it was established that unraveling experiment models prescribed after investigating the preconceptions and identifying the misconceptions are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