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1.14.3.257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Fog' Generation Experiment Presented in the 2009 and 2015 Revi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Chung, Jung-I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4, no.3, 2021 , pp. 257-26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of pre-service teachers in relation to the 'fog experiment' in the 5th grade 'Weather and Our Daily Life' unit of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100 students, who are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aking courses in teaching research. After pre-learning about the 2009 and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nd guide book,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the experiment in groups. After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individually presented answers to three question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nswer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4 (24%) preservice teachers who explained the difference in fog generation in the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related scientific concepts such as condensation and water vapor, and only 1 (1%) of them explained the difference using the concept of saturation. Second, there were 48 (48%) pre-service teachers who found out the reason for the change in the fog experiment metho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ird, pre-service teachers valued the reproduction and success of experiments rather tha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such pre-service teachers suggested the use of alternative experiments or website.
Keywords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g generation experiment; the weather and our daily life; 2009 revi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2015 revisi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cientific concep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기영(2013). 과학 교사의 교과내용학지식과 교과교육학지식의 연관성 분석: 지구과학 교사의 대기압 수업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6), 1219-1236.   DOI
2 최성희, 권치순(2005).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대기와 날씨에 관한 내용 분석. 초등과학교육, 25(1), 15-26.
3 하성자, 김범기, 백성혜(2005).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88-97.
4 한태현(2015). 날씨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유형과 개념 형성 요인에 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Barrass, R. (1984). Some misconseptions and misunderstandings perpetuated by teachers and textbooks of biology.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18, 201-206.   DOI
6 Chang, J. Y. (1999). Teachers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about evaporation, condensation, and boiling. Science Education, 83(5), 511-526.   DOI
7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8 양기창, 백성혜(2008). 대기 중의 증발 현상에 대한 중등학교 화학전공 교사들의 개념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52(1), 88-93.
9 Gilbert, J. K. (2004). Models and modeling: Routes to more authentic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2), 115-130.   DOI
10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 (PCK) 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11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37-451.   DOI
12 교육부(2015a).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5-2. 서울: 미래엔.
13 교육부(2019b).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사용지도서 5-2. 서울: 비상교육.
14 김한제, 정용재, 장명덕(2013). '어는점 내림'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설명 모형 제안. 초등과학교육, 32(2), 206-224.
15 성승민, 이규호, 여상인(2016). "화석 모형 만들기" 탐구활동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6차, 7차, 2007 개정, 2009 개정 초등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29-242.
16 Gess-Newsome, J., & Lederman, N. G. (1993). Preservice biology teachers'knowledge structure as a function of professional teacher education: A year-long assessment. Science Education, 77, 25-45.   DOI
17 곽영순(2009). 교실 수업에서 초임 과학교사의 교과내용 지식이 내용교수지식에 주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9(6), 611-625.
18 교육부(2015b).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교사용지도서 5-2. 서울: 미래엔.
19 교육부(2019a).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5-2. 서울: 비상교육.
20 윤혜경(2015). 학생의 과학 개념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교육적 추론. 초등과학교육, 34(1), 58-71.
21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5-782.
22 김영민, 문지선, 박정숙, 임길선(2010). 과학교사양성과정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한 경력과학교사들과 초임과 학교사들의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8), 1002-1016.   DOI
23 나지연, 문재원(2020). 초등 교사는 왜 그 사이트에서 과학수업자료를 찾는가?-과학 교수.학습 자료 지원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1), 69-83.
24 배태수, 최병순(1991). 원자/분자에 관한 중등학교 학생과 과학교사의 오인 분석. 화학교육, 14(2), 116-127.
25 신지영(2017). 날씨 현상에 관한 논증 수업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 개념의 특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여상인(2001).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증발과 응결 현상에 대한 이해. 과학교육논총, 13, 209-224.
27 이신애, 임희준(2016). 수업준비와 전문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 205-215.
28 김진범(2003).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에 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이송연, 김성혜, 백성혜(2010).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 연구. 대한화학회지, 54(6), 787-79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