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Misconceptions about Astronomy Concepts by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 예비교사의 천문 개념에 대한 오개념 분포 분석

  • Je-Jun Han (Jeollabukdo Namwon Office of Education)
  • 한제준 (전라북도남원교육지원청)
  • Received : 2023.11.27
  • Accepted : 2023.12.29
  • Published : 2023.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tronomy-related concepts formed b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analyze the distribution of misconcep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on 43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second year of an elementary teacher training college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isconceptions about astronomy concepts showed a diverse distribution. In particula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ill had misconceptions regarding seasonal changes, which were pointed out in many previous studies.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formed concepts at the level of simple memorization of astronomy concepts and were having difficulty applying the concepts they knew to various cas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uture astronomy-related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 understanding astronomical phenomena through the application and application of various cases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and astronomy education in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teacher training should also reflect this conten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천문 관련 개념을 조사하여 오개념의 분포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는 우리나라 중부지방에 위치한 초등교사 양성 대학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4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천문 개념에 대해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특히 많은 선행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계절의 변화와 관련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은 여전히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천문 개념에 대해 단순 암기 수준의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사례에 알고 있는 개념을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천문 관련 교육이 단순 암기가 아닌 다양한 사례의 적용과 응용을 통해 천문 현상을 이해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 양성 과정이나 교사 연수에서도 이를 반영하여 천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2.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 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지, 24(2), 216-225. 
  3. 김순미(2013).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멘 탈 변화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893-910.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5.893
  4. 명전옥(2001). 예비 교사들이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 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5. 박지연, 이경호(2004). 과학개념변화 연구에서 학생의 개념에 대한 이해: 오개념(misconception)에서 정신모형(mental model)까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21-637. 
  6. 이원국, 채동현(1993). 천문학 현상에 대한 유년적 개념의 근원. 한국지구과학회지, 13(1), 1-11. 
  7.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8. 장명덕, 정철, 정진우(2001).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2(4), 268-277. 
  9. 채동현(1992).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학생들의 유년적사고. 한국지구과학학회지, 13(2), 283-289. 
  10. 채동현(1998). 새로운 계절 변화 실험모형이 초등 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23-32. 
  11. 채동현, 임성만(2011).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524-534. 
  12. 채동현, 황정(1993). 천문현상에 관한 유년적 사고, 학년, 성적사이의 상호관계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4(2), 173-182. 
  13. 최현동, 권치순(2011).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천문에 관한 내용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1), 32-42.  https://doi.org/10.15523/JKSESE.2011.4.1.032
  14. 하옥선, 이용복(1997). 지구 자전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2. 
  15. Akerson, V., Flick, L., & Lederman, N. (2000). The influence of primary children's ideas in science on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4), 363-38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200004)37:4<363::AID-TEA5>3.0.CO;2-#
  16. Bailey, J. M., & Slater, T. F. (2003).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Astronomy Education Review, 2(2), 20-45.  https://doi.org/10.3847/AER2003015
  17. Didkidoy, I. N., & Kendeou, P. (2001). Facilitating conceptual change in astronomy: A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two instructional approaches. Learning and Instruction, 11(1), 1-20.  https://doi.org/10.1016/S0959-4752(00)00011-6
  18. Gomez-Zwiep, S. (2008).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science misconceptions: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9(5), 437-454.  https://doi.org/10.1007/s10972-008-9102-y
  19. Halim. L., & Meerah, S. M. (2002). Science traine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ts influence on physics teaching.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20(2), 215-225.  https://doi.org/10.1080/0263514022000030462
  20. Lelliott, A., & Rollnick, M. (2010). Big ideas: A review of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1974-2008.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3), 1771-1799. 
  21. Schneps, M. H. (1998). A private universe[Videotape]. 
  22. Slater, S. J. (2014).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st Of Astronomy STandards (TOAST). Journal of Astronomy & Earth Sciences Education, 1(1),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