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영유아교사의 인성교육 지도역량 요인에 대한 요구도 분석 (Demand Analysis of Factors of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고은경;전효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7-6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demands to improve their capacities. 152 kindergarten and child care teachers responded to 30 survey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3 sub-factors(commutative, practical, instrumental) of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of the teachers, as well as 16 detailed components, designed to check their current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investigate the priority elements that they desired to improve. Th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Borich request formula,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cross the teacher group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most highly demanded teaching competency by the teachers was using tools interactively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he teachers, among the sub-elements, requested (a) recording and evaluating character education systematically, (b) using local or national resources, (c) planning member's participation, and (d) performing character education related activities systematically. Secondly, more new teachers demanded instrumental competency and answered the need of parents' participation among the sub-elements, more than the more experienced teachers, respectively. The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promo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character education.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통한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함양 (Impact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Strategy on the Practical Character Competenc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in Middle School Science)

  • 조혜숙;권동욱;강유진;박종석;손정우;남정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81-691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과에 협력적 문제해결(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or Character competency, CoProC) 전략이 중학생의 실천적 인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전략을 적용한 학생들의 반성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역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여학생반을 대상으로 하여 2개 학급 49명은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집단(CoProC 집단)으로, 2개 학급 46명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및 실험 수업을 적용한 집단(비교 집단)으로 나누었다. 두 집단에는 한학기 동안 5개 주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CoProC 집단은 비교 집단 보다 실천적 인성 역량의 총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하위 항목에서는 협력, 소통, 책임, 긍정적 자기이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을 적용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실천적 인성 역량의 하위항목별 효과 크기(effect size)를 분석해보면, CoProC 집단은 비교 집단 보다 배려, 협력, 소통, 정직, 책임, 긍정적 자기이해, 자기조절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적용한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이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ProC 집단의 학생들이 수행한 5개 주제의 활동 중 초기와 후기의 수업에서 작성된 반성 글쓰기를 분석하여 협력적 문제 해결력의 사회적 역량에 한정하여 그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의 총점에서 큰 수준의 효과 크기를 보였다. 하위 항목인 구성원의 탐색과 이해는 작은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으며, 조직 구성 및 유지는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의사소통과 자기 행동 반성은 큰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과학교과 중심의 협력적 문제해결(CoProC) 전략은 과학적 탐구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해결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영유아교사 인성교육지도역량 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Competency Scale for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 고은경;전효정
    • 아동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129-144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s purpose was to develop a teaching competency scale for charact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examine its reliability. Methods: The study procedure was as follows: First, scale items were generated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s a deductive approach and focused interviews with 8 field experts in an inductive approach. Second, face validation was assessed by 7 academic experts, and statistical validation processes were done twice. The data used in the final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206 questionnair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tatistical validation included item response analysis, item discrimin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The 3 factors identified were as follows: Communicate teaching competenc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and instrumental teaching competenc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aching Competency Scale for Charact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cceptable. Conclusion: This new scale will be a useful tool to better support character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ontribute to providing a basis for developing more sophisticated tools.

영업사원의 필요역량 도출을 위한 실증적 연구: B2B, B2C 영업사원을 구분하여 (An Empirical Study on Eliciting a Competency Required by Salespeople: Differentiating B2B Salespeople and B2C Salespeople)

  • 안성민;박찬욱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03-115
    • /
    • 2016
  • Purpose - Our research started out with an assumption that a further study about the competency of B2B and B2C salespeople is needed, and has thus focused on enhancing their abilities throughout various fields. It seems that the ability of sales representative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age and revenue of the company. Since businesses find it apparent that the role of salespeople will become significant in the future, our research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exploring the necessary competencies for salespeople by conducting an in-depth interview as well as surve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methods of our research can be broken down into four steps - an interview on salespeople, eliciting salespeople's potential competency, surveys, and analysis. First, our research team conducted interviews on forty subjects. Second, we strived to elicit potential competency of salespeople based on data gained from previous studi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ird, we came up with our own survey templates. Last but not least, our research team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surveys to elicit necessary capabilities for the salespeople. Results - The results of our research show a clear distinction between B2B and B2C salespeople on all categories that we measured such as the character fitness, competence of emotion and sales marketing. As for B2B salespeople, the results indicated openness(M: 3.8265) in character fitness, and self-motivation(M: 4.1887), group cognition(M: 3.8735), teamwork(M: 3.9956) in competence of emotion, and previous research(M: 3.8735), proposal of values(M: 4.3873), cooperation with other team(M: 4.0441) in competence of sales marketing. The difference in capability required between B2B salespeople and B2C salespeople was very pronounced. Conclusions - For future studies, enhanced pool of subjects with various backgrounds is needed in order for our research to reach a wide range of population. The results from our research are advised to be used for eliciting the competency required by salespeople and for a practical application to further enhance their competency. Companies need continuous efforts to develop the skills of salespeople based on competence analysis and research of sales representatives.

전문대학 시각디자인과의 캡스톤디자인을 통한 직무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ducation through Capstone Design in the Junior College for the Visual Design Major)

  • 송지영;김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83-192
    • /
    • 2016
  • 본 연구는 국가직무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에서 제시한 시각디자인 직무를 적용한 캡스톤디자인 운영사례를 통해 시각디자인 전공 분야 학생들의 시각디자인 실무능력 변화와 캡스톤디자인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의과학대학교 시각디자인전공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과 담당교수, 그리고 산업체가 협업하여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에서 배운 전공 이론과 실기를 '연예인 로버트 할리의 캐릭터디자인' 개발에 직접 적용해 보고 그 결과물을 공모전에 지원하게 된다. 수집된 학생 설문 분석, 산업체 평가, 공모전 수상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캡스톤디자인에 참여한 시각디자인 전공 학생들은 NCS에서 제시한 지식, 기술, 태도의 관점에서 시각디자인 직무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졌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기술과 실무능력이 고취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캡스톤디자인 교육설계가 현장실무중심 시각디자인 교육과정 개발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교과중심 교육과정에서의 정보영역 교육과정 구성 방향 (Information Domain Curriculum Composition Direction in Subject-Centered Curriculum)

  • 신수범;한규정;고병오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09-315
    • /
    • 2021
  • 이 연구는 국내의 교과중심 교육과정체제에서 정보영역 교육과정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과중심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2개의 유형에서 정보영역이 어떻게 편제되어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국내 교육과정은 역량을 강조하지만 국가수준의 교육목표 제시, 교과학습모형, 교과서 등을 강조하고 있어서 교과중심 교육과정에 치우친 형태로 판단하였다. 정보영역 교과중심 교육과정 사례로 초등 실과과의 정보영역, 중학교 정보교과를 제시하였으며 SW융합교육과정은 진보적인 교육과정 사례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여건에서 SW AI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영역을 통해 학습자가 미래 지능형사회에서 주도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과학을 모학문으로 하여 교과중심 관점으로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신학대학교에서 성품 교육을 위한 실천적 코스 모델 개발 (Developing a Practical Course Model for the Personality Education in a Theological University)

  • 이미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6권
    • /
    • pp.75-11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신학대학교에서 성품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코스 모델의 개발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장차 신앙 공동체 및 나아가 전체 사회 공동체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도록 돕기 위함이다. 고도의 기술 혁명과 더불어 국내외적으로 진행되는 시대적 변화의 도전 앞에서, 기독교 고등 종교 교육기관으로서의 신학대학교는 개별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전문성과 더불어 지정의 차원 나아가 영적 성숙을 포괄하는 전인적인 성품 역량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신학대학교 학습자의 성품 역량은 학습자 개인의 자아실현뿐 아니라 신앙 공동체는 물론 사회 공동체의 복지와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장에서 오늘의 새로운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신학대학교에서의 성품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2장에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고도의 기술 혁명 시대에 고등 교육 기관에서 성품 교육 커리큘럼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3장에서는 신학대학교에서 초점을 두어야 할 성품 교육의 요소들과 코스의 방향 설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성품 교육을 위한 코스 설계(디자인)의 전 과정-기획의 필요성 수립 및 방향 결정, 코스의 개념 진술, 교육 목표 및 학습 목표의 설정과 진술, 학습경험(내용) 조직, 교수-학습 활동, 학습성과 평가 및 코스의 개선에 이르는 과정-을 '기독교 사회교육론' 학과를 예시로 들어 순차적으로 서술하였다. 코스 디자인 과정표를 통하여 코스 개발의 전 과정을 시각화하고, 개념지도, 내용 개요 및 단원의 조직 과정, 스코프-씨퀀스 챠트의 실천적 예시를 제공하였다. 5장에서는 위의 모든 과정을 총괄하여 학생들에게 제공되는 수업계획서 즉 실라버스의 주요 구성 요소를 통합적이고 축약적인 방식으로 예시하였다. 본 연구는 신학대학교의 전체 아카데믹 프로그램의 커리큘럼 평가와 설계가 아니라 개별 코스 개발에 대한 연구로써 학생들의 성품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 기획과정의 모델을 연구한 것이다. 본서의 시도가 기독교 고등 종교 교육기관에서 학습자의 성품 역량을 지향하는 코스 개발에 있어 하나의 방법론으로서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roject Approach in the Organization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Bieliaiev, Serhii;Ponomarova, Halyna;Repko, Inna;Stepanets, Ivan;Chagovets, Alla;Mykhailichenko, Mykol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620-628
    • /
    • 2021
  • The article is devoted to study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and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students' vocational training in higher pedag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The article aim is to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al methodological support and pedagogical diagnostic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Modelling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in a higher education pedagogical institution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 realization in the framework of increasing the level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in a higher education pedagogical institution as a factor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quality of pedagogical education. The research program of the project activity envisages stating and substantiating the problem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ramework of increasing the level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a higher pedagogical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approach, developing a model for the system of organiz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as well as monitoring the process and evaluating the results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in terms of developing teachers' scientific, methodological, information competency and enhancing students' progress in studying. The set of criteria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level of formation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competency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project fo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The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academ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inciples: systematic character, consistent diagnostics, practical focus, scientific organiz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Project Approach in the Organization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 Bieliaiev, Serhii;Ponomarova, Halyna;Repko, Inna;Stepanets, Ivan;Chagovets, Alla;Mykhailichenko, Mykol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703-711
    • /
    • 2021
  • The article is devoted to studying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and its impact on the quality of students' vocational training in higher pedag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The article aim is to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al methodological support and pedagogical diagnostic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Modelling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in a higher education pedagogical institution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 realization in the framework of increasing the level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in a higher education pedagogical institution as a factor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quality of pedagogical education. The research program of the project activity envisages stating and substantiating the problem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framework of increasing the level and quali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a higher pedagogical education institution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approach, developing a model for the system of organiz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as well as monitoring the process and evaluating the results of the project implementation in terms of developing teachers' scientific, methodological, information competency and enhancing students' progress in studying. The set of criteria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level of formation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competency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project for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The scientific and methodological work by applying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academy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principles: systematic character, consistent diagnostics, practical focus, scientific organizational and methodological support.

삼각측정법을 적용한 여성 공학도 인식에 관한 기초조사 (Basic Research on Women Engineering Recognition by Using Triangulation Method)

  • 박선희;김형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79-89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소재 D대학고 여성 공학도를 대상으로 삼각측정법을 적용한 여성 공학도 인식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바람직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언하는 것이다. 연구기간은 2007년 12월 15일부터 2008년 4월 4일까지 1,2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1차 조사대상은 D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인 여성 공학도 187명, 공과대학 여자 대학원생 3명, 공과대학 C학과 교수 2명이다. 1차 조사 후, 여성공학도 인식에 관한 구체적인 요인들을 찾고자 2차 조사대상은 휴학을 경험한 공대 여학생 5명, 4학년 졸업반 공대 여학생 5명, 공대를 졸업하고 기업체 취업한 여성 공학도 5명이다. 조사방법은 web survey, 개별 인터뷰, focus group meeting, e-mail survey 및 전화인터뷰 등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여성 공학도들이 대학교육에서 원하는 교육지원 요소는 여성공학도가 비전을 가질 수 있는 여성의 역할모델 제시, 남성과 함께 있는 커뮤니티에서 남성의 리더가 되었을 때 필요한 리더십교육, 협동으로 일을 할 때 필요한 기본적인 인성과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협동학습 또는 협력학습 프로젝트 경험, 마지막으로 전공 또는 직장인이 되었을 때 갖추어야 할 능력에 관한 실질적인 교육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