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wder tea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7초

상대습도 및 저장 온도가 분말녹차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lative Humidity and Storage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Green Tea Powder)

  • 이정민;임상욱;조성환;최성길;허호진;이승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83-88
    • /
    • 2009
  • 분말 녹차를 상대습도(23, 69, 81%)와 온도(-20, 4, $20^{\circ}C$)를 달리하여 3달간 저장한 후, 1.5 g에 100 mL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 카테킨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상대습도 23%, $4^{\circ}C$의 조건에 저장한 경우에서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바놀 함량, 아스코르브산 함량이 가장 높았는데 각각 287.1mg/g, 44.9 mg/g, 36.9 mg/g의 값을 보였다. 이는 저장 초기의 각각의 측정값인 267.5 mg/g, 49.4 mg/g, 24.2 mg/g에 비해 총 페놀과 아스코르브산은 증가하였고, 총 플라바놀 함량은 감소하였다. 카테킨류의 경우에도 상대습도 23%, $4^{\circ}C$에 저장하였을 때 가장 높았는데 주된 카테킨인 EGC와 EGCG는 초기의 16.9와 27.3 mg/g에서 3달 후에는 각각 24.3과 36.5 mg/g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카페인도 같은 조건에서 초기의 20.7 mg/g에서 3달 후에는 30.7 mg/g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상대습도가 높고 온도가 $-20^{\circ}C$$20^{\circ}C$에 저장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각 성분들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분말 녹차의 상대습도와 저장 온도가 녹차의 품질 보존에 매우 중요하며, 낮은 습도에서 냉장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녹차의 품질 유지에 유리함을 의미한다.

녹차 건분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이 9개월령과 12개월령 흰쥐의 부위별 뇌조직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r Antioxidant Vitamin Supplementation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9 Month- and 12 Month-old Rat Brain Regions)

  • 장남수;최지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31-43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건분 식이나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가 뇌 조직의 항산화능 증진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보고자, 생후 9개월령과 12개월령 Sprague-Dawley종 실험동물에게 3% 녹차 건분식이와 항산화 비타민 보충식이를 3주간 공급하였다 희생 후 뇌 조직을 대뇌, 소뇌, 선조체, 해마로 나누어 malondialdehyde (MDA)의 함량과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SOD) , glutathione peroxidase (GSH-Px)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3% 녹차 건분 식이의 공급은 선조체 내 SOD활성과 대뇌 내 GSH-Px활성을 12개월령에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녹차군과 항산화 비타민군의 항산화능에는 서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령에 따라 부위별 뇌조직의 MDA 함량은 증가하였고, GSH-Px 활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3% 녹차 건분 식이의 항산화능 증진효과가 녹차 건분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에 기인한 것일 수 있으며 , 가령에 따라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가 효소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한일 말차(抹茶)의 클로로필 함량 및 패턴 비교 (Comparison of Chlorophyll Contents and Patterns of Korean and Japanese Powder Green Tea)

  • 김기선;고즈쿠에노부유키;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86-592
    • /
    • 2003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몇 가지 품질의 말차를 이용하여 물의 온도와 교반 시간에 따른 크로로필 함량과 클로로필 패턴을 분석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일 말차 각 3종류에 대한 클로로필 함량은 일본산 중품(S5 ; 8.34mg/g), 하품(S6 ; 8.23mg/g)이 가장 많았고 한국산 중품(S2 ; 4.87mg/g)이 가장 적었다. 2. 물의 온도에 대하여는 한국산 말차 중ㆍ하품(S2와 S3)을 제외하고는 85$^{\circ}C$와 95$^{\circ}C$에서 클로로필 함량이 가장 많았다. 3. 교반 시간에 따른 클로로필 함량은 일본산 말차 상ㆍ중ㆍ하(S4 ; 7.87mg/g, S5 ; 8.27mg/g, S6 ; 8.08mg/g)은 60초 교반이 가장 많은 반면 한국산 말차 상품과 하품(S1 ; 6.72mg/g, S3 ; 5.02mg/g)은 15초 교반이 많았다. 4. 클로로필 패턴에 있어서는 페오포비드, 클로로필 a, b 페오피틴 a, b의 5종류의 peak를 확인하였고, 일본산 상품 말차(S4)가 한국산 상품 말차(S1)보다 클로로필 a의 함량이 약 10% 많았다. 그러나 페오피틴 a는 S1이 S4보다 약 20%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5. 한국산 말차 중 클로로필 패턴의 비율을 보면 상푸(S1)의 클로로필 a의 비율이 47.42%로서 가장 많은 반면 중품(S2)은 30.70%, S2는 23.20%, S3는 37.68%로서 품질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일본산 말차의 경우, 클로로필 a는 상품(S4)이 51.57%, 중품(S5)이 63.51%, 하품(S6)이 63.89%이었고 페오피틴 a는 S4, S5, S6가 각각 14.90%, 14.21%, 13,26%로서 한국산 말차에 비하여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 PDF

발효정도가 다양한 녹차의 첨가가 유과의 저장 중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 Powder with Different Fermentation Statu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during Storage)

  • 박재남;권석임;박진규;한인준;송범석;최종일;김재훈;변명우;김종군;이주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7-372
    • /
    • 2008
  • 본 연구는 발효정도가 다른 가루녹차 첨가가 유과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불발효차(부초차, 옥로차), 반발효차(오룡차), 발효차(홍차)를 첨가하여 유과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과샘플들은 수분, 조지방 함량 측정, 조직감 분석, TBA 측정, 관능평가에 사용하였다. 수분 및 조지방 함량에 있어 각각의 실험구들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조직감 역시 실험구들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또한 가루녹차가 첨가된 모든 실험구들에서 저장기간 동안 TBA 값의 증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불발효차의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종합적인 관능적 수용도에 있어 불발효차가 반발효차와 발효차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불발효차 첨가가 유과 제조 시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화개지역 녹차분말의 성분 분석 및 품질특성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 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6-42
    • /
    • 2005
  • 화개지역 4곳의 농가에서 재배한 재래종 녹차를 제다회사에서 녹차분말로 제다하여 일반성분, 비타민 C함량, 무기질 성분을 분석하였다. 녹차의 품질은 색차계로 녹차의 색도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녹차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은 $9.2\%\~l1.8\%$, 조회분은 $4.9\~6.1\%$, 조지방 함량은 $5.2\~6.3\%$, 단백질 함량은 $22.5\~26.43\%$, 탄수화물은 $50.4\~55.1\%$를 차지하였다. 녹차분말의 총 비타민 C함량은 $312\~392mg/100g$이었으며 산화형이 $155\~224mg/100g$로서 비타민 C함량의 $48\~55\%$를 차지하였다. 녹차의 무기질 함량은 나트륨$(340\~580mg/100g)$, 마그네슘$(242\~320mg/100g)$, 칼륨$(223\~278mg/100g)$, 칼슘$(145.7\~238.7mg/100g)$의 순서로 함량이 높았다. 녹차의 폴리페놀 함량은 $7.8\%\~9.3\%$로서 녹차A가 가장 높고, B가 $7.8\%$로 가장 낮았고, C와 D는 각각 $8.5\%,\;8.8\%$로 큰 차이가 없었다. 녹차의 색상은 명도(L) $52.3\~69.6$, 황색도(b)는 $14.23\~23.34$, 적색도(a)는 A가 $0.11\~-5.61$로서 녹차 C와 D가 녹차 A와 B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우수한 색상을 나타내었다. (p<0.05). 녹차분말의 관능검사 결과, 맛을 제외한 색, 향, 뒷맛, 총괄평가에서 녹차 D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p<0.05) 다음으로는 녹차 C가 색, 향, 총괄평가에서 녹차 A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전체적으로 단백질과 비타민 C함량이 높은 녹차분말 C와 D가 색상과 관능검사에서도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녹차첨가가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 김재훈;김선임;김종군;임득균;박진규;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82-486
    • /
    • 2006
  •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녹차를 첨가하여 청국장을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녹차가 청국장의 풍미 증진을 위한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완전발효차와 반발효차 첨가시 청국장 발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국장 제조를 위한 원료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는 녹차종류에 관계없이 녹차첨가에 의해 시각적 품질이 감소하였으나, 불발효차 및 증제차의 경우 이취개선 효과로 인해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녹차첨가로 인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 특히, 불발효차 및 증제차 첨가는 청국장의 이취를 감소시켜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녹차를 이용하여 재배한 팽이버섯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Cultivated with Green Tea)

  • 이란숙;차환수;박종대;장대자;김상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90-194
    • /
    • 2008
  • 팽이버섯 배지에 녹차 분말 또는 녹차 조카테킨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팽이버섯 자실체를 형성시킨 후 자실체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버섯의 수확량은 무첨가구에서 최고의 수량을 보였으며 녹차분말 10% 첨가구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 반면, 경도는 무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녹차 분말 5% 및 10% 첨가구와 녹차 조카테킨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카테킨 및 카페인 함량 분석은 팽이버섯 추출물을 용매분획한 후 HPLC로 정량한 결과, 모든 시험구에서 카테킨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카테킨 등 폴리페놀성 물질의 팽이버섯으로의 이행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카페인은 팽이버섯으로 이행되어 녹차 분말 무첨가구는 $2.12\;{\mu}g/g$, 녹차분말 10% 첨가구는 $196.23\;{\mu}g/g$이 검출되었다.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패턴 분석 결과는 녹차 첨가에 의해 머무름 시간 3초와 6초 사이에 새로운 peak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녹차 10% 첨가구에서는 뚜렷한 향기의 변화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팽이버섯 배지에 녹차분말 또는 녹차 조카테킨 추출물 첨가에 의해 버섯의 경도가 증가되었으며 녹차 성분 중 카페인이 이행되어 새로운 기능성 버섯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녹차잎분말을 이용한 마루판의 유해 TVOC 제거효과 (Scavenging Effect of Injurious VOC from Flooring using Green Tea Leaves Powder)

  • 강석구;이화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6호
    • /
    • pp.49-58
    • /
    • 2008
  • 본 연구는 내구성이 우수하며 포름알데히드방출이 적은 페놀수지 사용 메란티합판을 마루판용 대판으로 사용하고 북미산 벚나무 단판을 표면재료로 사용한 마루판의 제조과정에서 접착제 및 도료에 녹차잎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마루판으로부터 방출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과 포름알데히드의 감소효과와 녹차잎 분말의 적정 첨가량을 구명하였다. 1) 녹차잎 분말의 폴리페놀화합물량은 9.85%였다. 2) 녹차잎 분말은 FT-IR 결과 벤즈알데히드와 에틸헥사알콜과 반응하여 화학결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페놀수지메란티대판에 벚나무단판오버레이 마루판 제조를 위한 접착제와 UV도료에 전건중량기준으로 2.5%의 녹차잎 분말을 각각 첨가하는 것이 총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의 방산제거 효과가 매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0L 소형챔버법에 의한 녹차잎 분말 2.5%를 접착제와 도료에 각각 첨가한 온돌용 마루판의 7일째 TVOC는 $0.089mg/m^2hr$이고 포름알데히드는 $0.001mg/m^2hr$를 나타내 최우수등급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해녀의 녹차분말 섭취가 혈중 지질, 혈소판 응집성 및 항산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intake on blood lipids, platelet aggregation, antioxidant and liver parameters in Jeju volunteer diving woman)

  • 김미숙;강민숙;류성희;문영인;강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4호
    • /
    • pp.324-331
    • /
    • 2013
  • We investigated dietary effects of green tea powder (GTP) on plasma lipids, platelet aggregation, hemolysis, plasma TBARS, and liver enzymes. Thirty one volunteer diving women living on Jeju island consumed 4 g green tea powder daily for a period of four weeks and data for the study subjec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diagnostic criteria for blood pressure (BP)(${\geq}$ 140/90 mmHg), plasma total cholesterol (TC)(${\geq}$ 200 mg/dL), and triglyceride (TG)(${\geq}$ 150mg/dL). Subjects with high BP had significantly higher TC and TG than those with normal BP. Subjects with higher TC had higher TG, and those with higher TG had lower HDL cholesterol. Platelet aggregation in the initial slop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ubjects with normal BP, normal TC, or normal TG than their counterparts in high BP, TC, and TG. HDL cholesterol after GTP intake increased only in subject groups with normal BP, normal TC, or normal TG, and plasma TG after GTP intake decreased only in groups with higher BP, higher TG, or higher TC. Plasma TC and TG in subjects with normal BP increased after GTP intake. GTP intake caused a decrease in the initial slope of platelet aggregation in all subject groups with little effect on maximum aggregation. Total bilirubi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nd GOT increased in all subject groups after GTP intake. Beneficial effects of short term intake of green tea powder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subject conditions in terms of blood pressure, plasma lipids, and other cardiovascular conditions. However, with the hypolipidemic, antithrombotic, and antioxidant actions of its bioactive flavonoids, long term usage of GTP or brewed green tea may provide preventive effects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

치자와 복분자분말을 첨가한 연근차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Tea added with Gardenia jasminoides Powder and Rubus coreanus Miquel Powder)

  • 조수진;이지은;노정옥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97-604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tea (LT) prepared with Gardenia jasminoides powder (GLT) and Rubus coreanus Miquel powder (RLT). The proximate compositions, physicochemical properties, mineral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s of samples were measured. GLT sample showed higher contents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moisture (p<0.001) as well as pH (p<0.001) compared to LT and RLT. In terms of color, lightness (L) and yellowness (b) of GLT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whereas redness (a) of GLT was the lowest. The results of mineral analysis showed that the mineral contents of K, Ca, and Fe of LT were the highest, whereas the content of Mg of GLT was the highest. The results of browning color intensity of all samples showed that LT had the lowest. GLT showed higher contents of water soluble solids than LT and RLT.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color, flavor, aftertaste, feeling of throat, and overall preference of LT and GLT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RLT. From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addition of Gardenia jasminoides powder was effective for preparation of lotus root tea in the aspects of consumer accep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