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flavonoid

검색결과 1,001건 처리시간 0.026초

추출온도에 따른 국내 벼 품종 미강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by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of Some Commercially Available Cultivars of Rice Bran in Korea)

  • 이정희;오세관;김대중;윤미라;천아름;최임수;이점식;김연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벼 품종(삼광, 미광, 칠보, 청해진미 및 조운)의 도정 부산물인 미강에 대한 추출 온도에 따른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polyphenol, flavonoid)과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을 비교 분석하여 기능적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미강의 항산화 성분을 측정한 결과, 총 polyphenol 함량에서는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총 flavonoid 함량은 추출 온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제외한 총 항산화력(ABTS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사되어진 품종들의 미강 최적 추출조건은 청해진미로 $25^{\circ}C$에서 추출하였을 경우에 가장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얻을 수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최적의 기능성 성분을 활용할 수 있는 추출 온도를 제공함으로써 도정 부산물의 최적 추출조건 및 품종별 쌀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볶음귀리의 추출물 종류에 따른 생리활성 성분 및 항산화 효능 분석 (Evaluation of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roasted oats in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이지혜;이병규;이병원;김현주;박지영;한상익;이유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11-116
    • /
    • 2018
  • 본 연구는 볶음 귀리의 항산화 효능이 최적화된 추출물 제조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리활성 물질의 함량분석과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품질 특성 분석결과 볶음 귀리는 폭과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볶음 온도에 따라 명도가 낮아지는 특징을 보였다. 주요 항산화 성분인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250^{\circ}C$, 30분 볶음조건에서 가장 높았으며, 메탄올, 발효주정, 물 추출물에서 각 134.7, 13.9, 38.7 mg GAE/g 이였다. 귀리의 주요 활성성분인 아베난쓰라마이드 함량은 $200^{\circ}C$, 15분 볶음 메탄올 추출물에서 $266{\mu}g/g$으로 가장 높았고, 같은 조건의 발효주정 추출물에서는 $26.8{\mu}g/g$, 증류수 추출물에서는 불검출 되었다. 항산화 효능을 측정하는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능 실험에서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메탄올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250^{\circ}C$, 30분 볶음조건에서 DPPH 라디칼 제거 활성은 18.8 mg TEAC/g, ABTS 라디칼 제거 활성은 33.4 mg TEAC/g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에 직접적으로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에서도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ROS 제거능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귀리의 볶음 공정은 화학적, 물리적 특성 변화에 따라 색, 향미, 조직감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항산화 효능이 증대되어 건강제품개발 및 볶음차 등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네시아 식물 3종(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Hot Water Extracts from 3 Types Indonesia Plants (Hibiscus Petals, Moringa Oleifera Gymnosperm, and Nipa Fruticans Wurmb))

  • 최지혜;황진우;이성규;허수학;강현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2-47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원료 중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차용)을 열수로 추출하여 항산화 능을 비교하여 어떠한 시료가 효능이 높은지 조사하고, 또한 기능성 화장품 소재나 기능성 식품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관해서도 연구하는 것이었다. 방법: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 추출물을 열수 추출하여 polyphenol, flavonoid의 함유량 및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와 1,1-diphenyl-2-picryl hydrazyl(DPPH) radical의 소거 능력을 측정하여 항산화 기능을 검사하였고,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여 시료들의 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해죽순 열수 추출물의 polyphenol 함유량은 109 ㎍/mg으로 히비스커스 꽃잎(13 ㎍/mg)과 모링가 겉씨(19 ㎍/mg)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flavonoid 함유량은 다른 모링가와 히비스커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ABTS와 DPPH radical 소거능 또한 해죽순이 높았으며, 상기시료들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는 비슷하였다. 결론: 위의 히비스커스 꽃잎, 모링가 겉씨, 해죽순의 열수 추출한 결과물이 항산화 작용이 높고 독성이 거의 없어서 화장품 물질이나 자연유적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국내 재래종 고추 및 개량종 고추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혈전 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tidiabetic,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Native Korean and Improved Pepper Varieties)

  • 임은세;박성임;김종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385-392
    • /
    • 2024
  • 고추(Capsicum annuum L.)는 전 세계적으로 식용 및 의약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재래종 5종(유월초, 수비초, 수미향, 고운빛, 및 칠성초)과 개량종 5종(다복, 청양, 충성, 올복합 및 신홍길동)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추출물의 색차, polyphenol 함량, 항산화, 항당뇨 및 항응고 활성을 비교하였다. 개량종 고추 추출물은 재래종 고추 추출물에 비해 높은 적색과 낮은 황색을 보였다. 고추 추출물의 polyphenol 및 flavonoid 함량 분석결과, 유월초와 수미향 추출물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들은 우수한 DPPH 음이온 소거 활성, ABTS 양이온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을 보였다. Nitrite 소거능의 경우 칠성초, 유월초 및 다복 품종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항당뇨 활성은 수비초, 수미향 및 고운빛 추출물에서 우수하였다. 항혈전 활성 평가에서, 유월초 추출물은 5 mg/ml 농도에서 용매대조군과 비교하여 thrombin time을 1.61배 연장시켰으며, 다복 추출물은 prothrombin time 및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을 각각 1.33배 및 2.21배 연장시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든 고추 추출물은 5 mg/ml 농도까지 적혈구 용혈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재래종 고추를 이용한 항산화, 항당뇨 및 항혈전 소재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 재래종 고추 품종이 나고야 의정서 발효에 대응하면서 막대한 종자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는 개량종 고추를 대치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생리활성 평가 (Evaluation of Biological Activity in Pepper (Capsicum annuum L.) Breeding Lines)

  • 정미리;황영;김혜영;조명철;황인국;유선미;정헌상;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2-64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40여종의 육성계통 고추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을 분석 및 활성 평가를 함으로써 우수 고추 품종 개발을 위한 database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capsaicinoid의 함량은 0.1에서 204.2 mg/100 g으로 나타났으며 ascorbic acid 함량은 279.1에서 1695.5 mg/100 g으로 넓은 분포 범위를 보였다. Polyphenol 함량은 2.6에서 10.2 mg/g 수준으로, flavonoid 함량은 1.4에서 5.7 mg/g 수준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는 육성계통 고추 breeding line No. 2500은 다른 계통에 비해 가장 높은 DPPH와 ABTS 라디칼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olyphenol과 flavonoid 함량 및 환원력이 다른 육성계통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암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01이 암세포 증식 저해율 84.5%로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항염증 효과는 breeding line No. 3232가 75.2%로 가장 높은 nitric oxide 생성 억제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육성계통에 따른 고추의 기능성 성분을 분석하고 다양한 생리활성을 평가하여 우수 품종 개량을 위한 성분 및 활성 database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Novel Orange Peel Extract and It's Fractions on Leukemia HL-60 Cells

  • Diab, Kawthar AE;Shafik, Reham Ezzat;Yasuda, Sh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053-7060
    • /
    • 2015
  • In the present work, novel orange peel was extracted with 100%EtOH (ethanol) and fractionated into four fractions namely F1, F2, F3, F4 which were eluted from paper chromatographs using 100%EtOH, 80%EtOH, 50%EtOH and pure water respectively. The crude extract and its four fractions were evaluated for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ssay. Their cytotoxic activity using WST assay and DNA damage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were also evaluated in a human leukemia HL-60 cell line. The findings revealed that F4 had the highest TPC followed by crude extract, F2, F3 and F1. However, the crude extract had the highest TFC followed by F4, F3, F2, and F1. Depending on the values of $EC_{50}$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F4 possessed the strongest antioxidant activity while F1 and F2 displayed weak antioxidant activity. Further, incubation HL-60 cells with extract/fractions for 24h caused an inhibition of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3 and F4 exhibited a high antiproliferative activity with a narrow range of $IC_{50}$ values ($45.9-48.9{\mu}g/ml$). Crude extract exhibited the weakest antiproliferative activity with an $IC_{50}$ value of $314.89{\mu}g/ml$. Analysis of DNA fragmentation displayed DNA degradation in the form of a smear-type pattern upon agarose gel after incubation of HL-60 cells with F3 and F4 for 6 h. Overall, F3 and F4 appear to be good sources of phytochemicals with antioxidant and potential anticancer activities.

지리산오가피와 흰털오가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제거 활성 및 대식세포에서의 산화질소 생성능 비교 (Comparative Radical Scavenging and Nitric Oxide Production Capacity of Water Extracts of Acanthopanax divaricatus var, Albeofructus and Eleutherococcus divaricatus var. Chiisanensis)

  • 김동민;진보라;김지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4호
    • /
    • pp.337-3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오가피와 흰털오가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FRAP assay를 이용한 환원력을 비교 조사하였고, mouse의 대식세포인 Raw 264.7 cell에 LPS를 이용하여 자극시킨 후 생성되는 NO의 함량을 비교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흰털오가피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차이가 크지 않으며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방법을 이용한 환원력에서는 두 오가피 종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염증 활성을 비교하기 위해 확인한 NO 생성양은 지리산오가피가 고농도 처리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립신 처리에 따른 적송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rypsin-treated Pinus densiflora Ethanol Extract)

  • 문기은;박교현;이범주;김배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93-300
    • /
    • 2018
  • Objectives: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of Pinus densiflora ethanol extracts (PDEE) treated with trypsine as a protease. Methods: Various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conte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DPPH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est material. To compare the antibacterial activity, paper disc diffusion assay was performed against two resident bacteria in human skin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Results: As for the total contents of polyphenol and flavonoid, and the electron-donating ability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oth PDEE and trypsin-treated Pinus densiflora ethanol extract (T-PDEE)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in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T-PDEE showed slightly higher activity than PDEE, which indicated protease treatment seemed to affect in antioxidant activity. In the result of paper disc diffusion assay, antibacterial activity was confirmed in all two types of skin resident bacteria. T-PDEE was more active than PDEE and it seems that treatment of protease may increas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PDEE. Conclusion: All of these results, we confirmed that treatment of protease to PDEE can increase the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it can be explained thought that this would be applicable as a cosmeceutical material in the future.

감잎의 성장시기별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activity of Persimmon Leaves during Growth)

  • 정승일;조정근;목지예;김상준;박지민;전인화;김현수;장선일
    • 생약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5-263
    • /
    • 2010
  • Kojongsi persimmon (Diospyros kaki) is the major cultivar of astringent persimmon in southern of Korea. Kojongsi persimmon leaf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acute and chronic diseases in Oriental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he extract of Kojongsi persimmon leaf during growth.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 persimmon leaf extracts during growth on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electronic donating ability (DPPH), nitrite (NO) scavenging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The next, we investigated the possible cell protective effects of the persimmon extract treatment against ultraviolet B (UVB)-induced injury in HaCaT keratinocytes.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in leaf extract of Kojongsi persimmon were increased in time-dependent manner. In Jun, DPPH and NO radical scavenging and SOD-like activities in the leaf extract of Kojongsi persimmon was increased to the highest. However, the antioxidant activities in persimmon varieties were not any difference. The cell cytotoxicity by UVB irradation in HaCaT keratinocyt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th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treatment of leaf extract of Kojongsi persimmon in HaCaT keratinocytes was shown to protective effect against UVB-induced cell cytotoxic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af extract of Kojongsi persimmon has potent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UVB-induced keratinocyte injury. Thus, these properties may be contributed in the care of acute and chronic diseases.

수확시기에 따른 오미자의 항산화 활성과 리그난 성분 함량 변화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Lignan Contents in Schisandra chinensis by Harvesting Times)

  • 최소라;김창수;김종엽;유동현;김정만;김영선;송은주;김영국;안영섭;최동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14-420
    • /
    • 2011
  • We investigated antioxidant activity and lignan contents by harvesting times to expand use of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on.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seed was higher than those of flesh bu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harvesting times. As $RC_{50}$ value, that was, the concentration of sample required for 50% reduction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was 13.7~24.2 ${\mu}g/m{\ell}$ in seed thus it showed a high antioxidant activity. Among lignan components, schizandrin content was the highest and followed by gomisin N and gomisin A in all of flesh and seed. Also these components in seed were 4~9 times more contained than those of flesh. All of them were decreased by harvesting times in flesh. But the contents of schizandrin and gomisin N were high in August 3rd and September 15th in seed, respectively. As the results, the seed of S. chinensis had high antioxidant activity and lignan contents so it could be potentially developed as a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