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acrylonitrile)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5초

REM 모델에 의한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 완화스펙트럼의 pH 영향 (pH Effect on Relaxation Spectra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by REM Model)

  • 김남정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135-140
    • /
    • 2013
  •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여러 온도의 공기 중, 증류수, pH 3, 7, 11 용액에서 실행하였다. Ree-Eyring and Maxwell 모델로부터 얻은 완화스펙트럼 식에 실험적인 응력완화 곡선을 대입하여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완화스펙트럼을 얻었다. 완화스펙트럼의 계산은 Laplace 변환법을 사용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이들 시료의 완화스펙트럼은 유동단위의 분자량과 자체확산 분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응력완화 (Stress Relaxation of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Copolymers)

  • 김남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7권3호
    • /
    • pp.223-230
    • /
    • 2012
  • 응력완화 실험 곡선을 Eyring-Halsey 비뉴톤 모델의 이론식에 적용하여 poly(methyl acrylate)-poly(acrylonitrile) 공중합체의 유변학적 파라메타를 얻었다.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유동 파라메타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들 시료의 유동 파라메타는 유동 단위의 자체확산, 유동점성, 유동 활성화 에너지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Poly(styrene-co-acrylonitrile)블렌드에서 Macroinitiator로 합성한 Polystyrene-Poly(caprolactone) 블록공중합체의 상용제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Compatibilizing Effect of Polystyrene-Poly(caprolactone) Block Copolymer Synthesized from Macroinitiator in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Poly(styrene-co-acrylonitrile) Blend)

  • 정동권;정한모;양성봉;윤구식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247-255
    • /
    • 1992
  • Macroazoinitiator를 이용하여 Polystyrene-poly(caprolactone) (PS-PCL) 블록공중합체를 합성하고, poly(2, 6-dimethyl-1, 4-phenylene oxide) (PPO)/poly(styrene-co-acrylonitrile) (SAN, acrylonitrile의 함량이 25wt%) 블렌드에서의 상용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공중합체 중 PS블록과 PCL블록은 각각 PPO, SAN과 상용성을 가졌으며, 블록공중합체는 SAN의 PPO 영역으로의 용해 정도를 증가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상용화제가 포함된 나일론 6/Poly(acrylonitrile-co-styrene-co-acrylic rubber) 블렌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Nylon 6/Poly(acrylonitrile-co-styrene-co-acrylic rubber) Blends Containing Compatibilizer)

  • 김량욱;유선화;김창근
    • 폴리머
    • /
    • 제31권1호
    • /
    • pp.8-13
    • /
    • 2007
  • 나일론 6/poly(acrylonitrile-co-butadiene-co--styrene) (ABS) 블렌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ABS의 고무상인 폴리부타디엔 대신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를 고무상으로 포함하고 있는 poly(acrylonitrile-co-styrene-co-acrylic rubber) (ASA)를 사용하여 새로운 나일론/ASA 블렌드를 실험하였다. 고충격성을 갖는 블렌드 제조를 위하여 상용화제로 무수 말레산을 25 wt% 포함한 poly(styrene-co-maleic anhydride) (SMA)와 이를 3 wt% 이하 포함한 poly(styrene-co-acrylonitrile-co-maleic anhydride) (SANMA)를 사용하여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나일론/ASA 블렌드에서 상용화제의 함량에 따른 물성 변화는 나일론/ABS 블렌드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블렌드 내의 고무 함량이 20 wt% 이상일 때 안정된 물성의 고충격 블렌드가 제조되었다. 블렌드를 사출 성형 온도에서 사출 성형기 내에 체류시킨 후 제조한 시편의 충격 강도를 시험한 결과 SMA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경우 충격 강도의 감소가 관찰된 반면 SANMA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블렌드에서는 충격 강도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공중합체의 자체 확산 계수와 유동 자유 홀부피 (Self Diffusion Coefficients and Free Hole Volumes of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Copolymers)

  • 김남정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3호
    • /
    • pp.245-250
    • /
    • 2011
  • Poly(acrylonitrile)-poly(vinyl chloride) 공중합체 섬유의 비결정성 영역에서의 자체 확산 계수와 홀 부피를 응력완화 실험으로 규명하였다. 응력완화 실험은 용매기를 부착한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다. 이론적인 응력완화식 에 응력완화 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여러 가지 유동 파라메타를 계산하였다. 유동 파라메타로부터 섬유고분자 물질의 홀부피, 자체확산, 점성, 열역학파라메타 등을 계산하였다. 이들 시료의 유동 파라메타는 유동 단위의 홀 부피, 자체확 산, 유동 활성화 에너지와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Poly(N-isopropylacrylamide-co-acrylonitrile) 수화젤의 합성과 팽윤거동 (Syntheses and Swelling Behaviors of Poly(n-isopropylacrylamide-co-acrylonitrile) Hydrogels)

  • ;함명조;김영호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349-355
    • /
    • 2007
  • 열 응답성을 갖는 poly(N-isopropylacrylamide) (PNIPAAm) 수화젤의 팽윤 및 수축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물을 용매로 하여 AN 함량이 10 mol% 이내인 P(NIPAAm-co-AN) 공중합체 및 이들의 수화젤을 합성하였고, AN 함량이 공중합체 수화젤의 임계젤전이온도(CGTT) 및 팽윤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중합체 수화젤들은 $30{\sim}32\;^{\circ}C$에서 CGTT를 나타내었으며, A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CGTT는 저온 쪽으로 이동하였다. 이들 공중합체 수화젤을 CGTT 이하 온도의 물에서 팽윤시키면 AN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팽윤속도가 느려지고 평형 팽윤비 값이 작아지지만, CGTT 이상에서 수축시키면 AN 함량이 많은 수화젤이 더 빠르고 더 많이 수축하였다.

Lithium Ion Concentration Dependant Ionic Conductivity and Thermal Properties in Solid Poly(PEGMA-co-acrylonitrile) Electrolytes

  • Kim, Kyung-Chan;Roh, Sae-Weon;Ryu, Sang-Woog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권1호
    • /
    • pp.57-62
    • /
    • 2010
  • The lithium ion concentration dependant ionic conductivity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 (PEGMA)/acrylonitrile-based copolymer electrolytes with $LiClO_4$ have been studi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linear sweep voltammetry (LSV) and AC complex impedance measurements. In systems with 11 wt% of acrylonitrile all liquid electrolytes were obtained regardless of lithium ion concentration. Complex impedance measurements with stainless steel electrodes give ambient ionic conductivities $8.1\times10^{-6}\sim1.4\times10^{-4}S cm^{-1}$. On the other hand, a hard and soft films at ambient temperature were obtained in copolymer electrolyte system consists of 15 wt% acrylonitrile with 6 : 1 and 3 : 1 of [EO] : [Li] ratio, respectively. DSC measurements indicate the crystalline melting temperature of poly(PEGMA) disappeared completely after addition of $LiClO_4$ in this system due to the complex formation between ethylene oxide (EO) unit and lithium salt. As a result, free standing film with room temperature ionic conductivity of $1.7\times10^{-4}S cm^{-1}$ and high electrochemical stability up to 5.5V was obtained by controlling of acrylonitrile and lithium salt concentration.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Rubber/Polypyrrole 전도성 복합체의 제조와 전기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NBR/Polypyrrole Conducting Composite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 정미옥;허양일;이완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3호
    • /
    • pp.188-195
    • /
    • 2000
  • Host Polymer인 Poly(acrylonitrile-co-butadiene) (NBR)과 전도성 고분자인 Polypyrrole (PPY)과의 복합체를 유화 중합법으로 제조하였다. 여러 가지의 유화제 중에서 dodecyl sodium sulfate (DSS)를 사용하여 중합하였을 때 복합체의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복합체 필름은 압축성형법으로 제조되었으며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전도성고분자의 함량과 온도에 따라 4단자법으로 측정되었다. 제조된 복합체의 전기전도도는 PPY 함량이 25wt%일 때 1.17S/cm까지 증가되었으며 percolation threshold는 PPY의 함량 l5wt% 근처에서 나타났다.

  • PDF

고분자-알칼리 전해질이 코팅된 Poly(acrylonitrile) 분리막을 적용한 활성탄 수퍼커패시터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ctivated Carbon Supecapacitor Adopting Poly(acrylonitrile) Separator Coated by Polymer-Alkaline Electrolytes)

  • 김광만;이영기;고장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467-472
    • /
    • 2017
  • Poly(acrylonitrile) (PAN) 부직포 분리막 상에 poly(ethylene oxide) (PEO), poly(vinyl alcohol) (PVA), potassium poly(acrylate) (PAAK)의 각 고분자와 6 M KOH로 조성된 전해질을 코팅하고 이를 활성탄 수퍼커패시터에 적용하여 고분자 종류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특징적으로 PEO와 PVA는 그 고분자 사슬의 자체 구조로 인해 알칼리 전해액 성분 (KOH)과의 상호작용이 활성적이지 않은데 반하여, PAAK는 3 wt% 함량만으로도 주사슬 및 곁사슬에 분포하는 $COO^-K^+$ 이온쌍과 전해액 내 해리되어 있는 $K^+$$OH^-$ 이온들과의 상호작용이 활성적으로 진행되어 하이드로겔을 형성하며, 이것이 이온전도 및 수퍼커패시터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결과적으로 PAAK-KOH 전해질/PAN 분리막으로 포함한 활성탄 수퍼커패시터가 가장 우수한 축전용량 ($100mVs^{-1}$에서 $46.8Fg^{-1}$)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