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lution indicator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5초

광주지역 먹는물 공동시설의 미생물 특성 및 분포조사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Public Drinking Water Facilities in Gwangju City)

  • 박주현;김선정;이윤국;김난희;강유미;배석진;김종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82-191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ct indicator bacteria in drinking spring water samples in Gwangju City and to identify their genus using the VITEK-II system. Methods: The subjects were ten drinking spring water sites in Gwangju. Samples of spring water were taken every month from September 2019 to August 2020. We analyzed for the indicator bacteria Yersinia and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pring water. Result: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on indicator bacteria, general bacteria in st1-st7 with sterilization facilities in the spring and summer were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0-2 CFU/mL and 0-12 CFU/mL. In st9, where a sterilization facility was not installed, the most general bacteria were detected (160 CFU/mL). Total coliform and fecal coliform showed unsatisfied rates of 16.7 and 11.1% in spring and 14.7 and 11.8% in summer, respectively. The unsatisfied rates of total coliform for the designated and non-designated spring water facilities were 3.8 and 47.1%, respectively, and for the fecal coliform group they were 2.5 and 35.3%. The difference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 sterilization facility. Yersinia spp. was not detected in all drinking spring water. Forty-one strains in 25 species were isolated from ten sites. The results classified as major dominant species are Pseudomonas spp. 14.6%, Pantoea spp. 9.8%, Serratia spp. 9.8%, Acinetobacter spp. 9.8%, Citrobacter spp. 7.3%, Bordetella spp. 7.3%, Delftia spp. 4.9%, and Enterobacter spp. 4.9%.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 that various species derived from fecal pollution and artificial pollutants were detected in the non-specified public spring water facilities that many people use, the facilities need institutional complements such as continuous management or complete shutdowns.

국제환경법상 우리나라의 법적 지위 - 선진국과 개도국의 구분을 중심으로 - (Legal Status of Korea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Law - Mainly focused on the Classification of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

  • 서원상
    • 환경정책연구
    • /
    • 제6권4호
    • /
    • pp.1-28
    • /
    • 2007
  • 한 국가의 환경오염이 정치적 경계선에 불과한 국경에 한정되지 않고 인접국 또는 지구의 환경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역으로 지구환경보호에 관한 국제적 논의결과는 곧바로 국내 환경법과 환경정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국제환경법은 '차별적 공동책임'이라는 원칙하에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차별적인 의무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차별적 공동책임은 모든 국가에게 공동의 환경보호책임을 확인하면서도 지구환경문제에 대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역사적 책임의 차이와 환경문제를 다룰 수 있는 경제적 기술적 능력의 차이를 인정하여 국제의무를 차별화한다는 것이다. 그 예로써 선진국의 개발도상국에 대한 환경기술이전과 재정 지원 등이 논의되어 왔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지위이다.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지위에 따른 국제환경의무의 차이만큼이나 우리나라의 국제적 환경정책 또한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 어느 국제법도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구분 기준을 명확히 확립하지 못하였다. WTO는 개발도상국 지위결정을 자기선택에 맡기고 있으며, 국제환경법에서는 협상능력에 따라 그 지위가 좌우되곤 한다. 결국 일반국제법 차원에서 우리나라의 지위가 고정될 수 없으며 정부는 선진국 또는 개발도상국의 지위를 전략적 차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우리나라가 스스로 개발도상국임을 주장하여 국제의무의 부담을 줄이는 것도 좋은 선택일 수 있겠지만, 각종 경제지표 및 환경오염지표에서 10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규모에 비추어볼 때 우리나라의 현실은 선진국에 가깝다고 보여진다. 친환경기술 및 상품의 개발이라는 적극적 정책이 개도국 주장이라는 방어적 정책보다 우선이다.

  • PDF

처리기술에 근거한 산업폐수 배출허용기준 국내 적용성 연구( I ) : 미국 TBELs 적용사례 검토 (Assessment of Technology-Based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 Limitations and Standards for the Application in Domestic Industries ( I ) : Case-study, Applying TBELs in US)

  • 김경진;손대희;허진;김광인;권오상;염익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10
  • Technology-Based Effluent Limitations (TBELs) is a permit limits for a pollutant that is based on the capability of a treatment technology to reduce the pollutant to a certain concentration. Widely practiced for regulations of industrial wastewater in US, TBELs has been accepted as an effective means that can achieve balanced goals between complete elimination of pollutants discharge and economic feasibility for industries. The review of TBELs application in US and the applicability of TBELs to the domestic industry categories was given in three papers. In the first paper, the development and practices of TBELs in US were reviewed including case studies. The developments of TBELs in US in the four major categories, the metal products & machinery, the petroleum refining, the porcelain enameling and the meat & poultry products were reviewed. The applicability of TBELs to the domestic industrial categories was also assessed. In the second paper, the pollution loads analysis for domestic industrial wastewater was conducted based on risk assessment indicator using Toxic Weighting Factors (TWFs). This is an essential part to determine the priority of TBELs application for the domestic industrial categories. In the last paper, the application of TBELs to the domestic industries was demonstrated through a case-study for the pulp/paper/paperboard category. Direct application of TBELs of US into the Korean regulation system may not be desirable because the specific goals and the environment for the regulations for the two countries may not be identical. For example, unlike US, Korea does not adopt the individual permit system for pollution sources. However, among the unproductive and exhaustive controversies over the uniform regulations regardless of the industrial categories in Korea, the introduction of the principles of TBELs are inevitable and more extensive study for applications of TBELs optimized for Korean regulation system will be necessary.

식용 어패류 조직중의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과 화학물질 오염에 의한 변화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y and its Changes to Chemical Pollution in Edible Shells and Fishes)

  • 송미란;최선남;박관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06-212
    • /
    • 1998
  • 본 연구는 식용으로 사용되는 어패류의 화학오염지표로서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의 활성을 사용 할 수 있는 가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어류의 간췌장 및 패류의 소화선에서 기초적 GST 효소활성은 시험한 동물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시험한 어패류 중 큰이랑 피조개에서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메기 및 홍합이 그 다음이었다. 백합 및 이스라엘 잉어에서는 낮은 기초적 활성을 보여 주었다. 큰이랑 피조개를 전형적인 PAH물질인 3-methylcholanthrene에 1주일간 노출 시켰을 경우 GST의 활성은 약 30% 감소하였으며 노출중단 2주경에는 회복되었다. 다른 대부분의 동물종에서는 GST의 활성이 3-MC에 의하여 증가하였다. 홍합의 경우 기초 활성의 약 200%수준으로 증가하여 노출중단 후에도 1주일간 지속되다가 서서히 감소하였다. 이스라엘 잉어에서도 홍합과 유사한 반응이 관찰되었다. Phenobarbital은 홍합 및 이스라엘 잉어에서 GST활성을 증가시켰다. Clobibrate, butylated hydroxyanisole 및 oxolinic acid 등은 효소활성의 변화를 유발하지 아니하였다. 한편 phenol은 이스라엘 잉어에서 활성을 감소시켰다. 이 결과를 종합하면 식용 어패류의 정상적 GST활성은 동물종에 따라 큰 차이가 나며 화학물질 오염에 따른 변화도 증가, 감소 및 불변으로 다양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이 효소의 활성을 측정함으로서 PAH나 phenol과 같은 환경 오염물질에 의한 오염정도를 추정할 수 있는 지표로의 사용이 가능하리라고 본다.

  • PDF

차량 검사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자동차 유형별 배출 가스량 원단위 산정 (Emission Rates Estimation by Vehicle Type in Seoul Using the Vehicle Inspection Data)

  • 이효선;한여희;박신형;황호현;김영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77-191
    • /
    • 2021
  • 전 세계가 직면한 심각한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도로 이동원의 배출 가스이다. 차량 배출 가스 저감을 위해 여러 국가가 노력하고 있으며 서울시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40% 감축 목표를 설정하여 활발한 배출 가스 감축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의 시행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정책적 지표가 필요하다. 국내 배출 가스량은 대부분 환경부 산하국립환경과학원의 속도 함수인 배출계수에 의해 산정되지만 동적 변수인 속도는 친환경차량목표 보급 대수 산정 지표로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 자동차 등록정보와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 검사 정보를 활용하여 서울시 배출 가스량 원단위를 산정하였다. 차종, 연료, 주행거리 등 주요 변수에 따른 배출 가스 경향성을 파악하여 그룹화하고 자동차 검사에서 측정하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매연을 기준으로 하였다. 그 결과 모델연도와 주행거리에 따라 배출 가스량 원단위가 유의미한 추세를 보였다. 이는 서울시 친환경 차량 전환 시 모델연도가 오래되고 주행거리가 긴 영업용 차량을 우선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적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LCA기법을 이용한 PET의 환경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 Assessment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y LCA)

  • 박찬혁;정재춘;최석순;김성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13권1호
    • /
    • pp.115-123
    • /
    • 2005
  • 본 논문은 PET의 하나인 물질재활용에 대해 전과정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재생업체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목록분석을 실시한 후 Eco-Indicator 95의 영향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각 영향범주별 환경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공정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온난화로 밝혀졌다. 이는 폐플라스틱인 PET에 대해 물질재활용의 각 단위공정별 환경영향평가 결과에서 전력과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융 및 재생원료화공정의 환경부하가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CO_2$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은 NOx이었다. 이는 전력사용과 수송과정의 경유사용에 기인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에 대한 영향평가결과는 오존층 파괴의 영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영향범주들이 음(-) 값이며 이는 환경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T를 물질재활공정과 이를 다시 재생원료로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할 때 환경부하삭감효과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 PDF

오존최대농도지표를 이용한 오존단기예측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Short-term Model for Ozone Using OPI)

  • 전의찬;김정욱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45-554
    • /
    • 1999
  • We would like to develop a short-term model to predict the time-related concentration of ozone whose reaction mechanism is complex. The paper targets Seoul where an ozone alert system has recently been employed. In order to develop a short-term prediction model for ozone, we suggested the Ozone Peak Indicator(OPI), an equivalent of the potential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with precursors being the only limiting factor, and we calculated the Ozone Peak Indicarot as OPI={$ rac{(O_3)_{max}cdot(H_{eH})_{max}(Rad)_{max}$ to preclude the influence of mixing height and solar radiation on the daily maximum ozone concentration. The OPI on the day of the prediction is to be calcultated by using the relation between OPI and the initial value of precursors. The basic prediction formula for time-related ozone concentration was established as $O_3(1)={(OPI)cdot Rad(t-2)H_{eH}}$, using the OPI, solar radiation two hours before prediction and mixing height. We developed, along with the basic formula for predicting photochemical oxidants, "SEOM"(Seoul Empirical Oxidants Model), a Fortran program that helps predict solar radiation and mixing height needed in the prediction of ozone pollution. When this model was applied to Seoul and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bserved and the predicted ozone concentrations was made through SEOM, there appeared a very high correlation, with a coefficient of 0.815. SEOM can be described as a short-term prediction model for ozone concentration in large citie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initial values of precursors, and changes in solar radiation and mixing height. SEOM can reflect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and region can yield relatively good prediction results by a simple data input process.t process.

  • PDF

NASICON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SOx 가스 감지센서 (SOx Sensor Using NASICON Solid Electrolyte)

  • 최순돈;이광범
    • 센서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25-34
    • /
    • 1996
  • NASICON 전해질을 이용하여 대기환경 측정용의 SOx센서를 개발하였다. 다음 형태의 $Na_{2}SiO_{3}(Pt)$ 기준전극을 사용한 갈바니 셀을 조립하였다. Pt | $Na_{2}SiO_{3}$ | NASICON | $Na_{2}SO_{4}$ | Pt, $SO_{2}$, air $SO_{2}$ 와 NASICON의 반응을 피하기 위해 $Na_{2}SO_{4}(Pt)$를 지시전극으로 사용하였으며, $400{\sim}550^{\circ}C$ 범위에서 $5{\sim}95ppm$ 농도의 $SO_{2}$ 가스를 주입하고 나서 EMF를 측정하였다. $50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측정된 EMF는 계산치와 일치하였으나, $500^{\circ}C$ 이하에서는 불완전한 평형 때문에 센서의 거동이 불안정하였다. 감응시간은 약 10분 정도 이내였다. 이전지의 안정도와 응답시간으로 보건데, $Na_{2}SiO_{3}(Pt)$를 기준전극으로 하고 순수 $Na_{2}SO_{4}(Pt)$를 지시전극으로한 NASICON 고체전해질은 SOx 측정용의 상업적인 센서물질로써 가능성이 있다.

  • PDF

운항실습선에 적용한 CO2 배출량 저감대책 (Countermeasures for reduction for CO2 emission from training ship)

  • 이상득;고대권;정석호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9호
    • /
    • pp.981-986
    • /
    • 2015
  • 지구온난화에 대한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선박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내 연구 수준은 기초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으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의 여러가지 저감대책 중에서 운항손실과 투자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자제어엔진 사용, 트림 최적화, 프로펠러 연마 및 친환경 방오도료의 사용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저감대책들을 운항실습선에 적용하여 시험 운항을 실시하였고 연료소비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대책들은 약 1~5%의 연료소비율 저감 효과가 있었고 이를 에너지효율운항지수 산출에 적용하면 약 1~5%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국제적 환경규제를 제정할 때 우리나라에게 유리하도록 대응하기 위해서는 에너지효율운항지수에 대한 연구에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가막만의 빈산소 퇴적층 형성과 저서성 유공충 군집변화 연구 (The Formation of Hypoxia Sediment and Benthic Foraminiferal Chang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 이연규;정다운;강소라;김용완;김신;정은호;이정식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4권1호
    • /
    • pp.53-64
    • /
    • 2012
  •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hypoxia sediment by eutrophication and changes in benthic foraminiferal assemblage, micropaleontological and geochem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on one sediment box core (K-1) recovered in the northern Gamak Bay, which is one of the aquacultural areas in the South Sea of Korea. In this analysis, the PON content in the sediment rapidly increased, while the C/N ratio and the C/S ratio decreased since 1977.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utrophication commenced in 1977 in the northern Gamak Bay, and consequently, the hypoxia sediment is 20 cm thick. Ammonia beccarii-Buccella frigida assemblage occurs before the formation of hypoxia sediment. Trochammina hadai-Buccella frigida assemblage appeared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hypoxia and Trochammina hadai assemblage with a low abundance and diversity is observed in the hypoxia sediment. The agglutinated species T. hadai is regarded as a bio-indicator (opportunistic species) of the organic pollution in northern Gamak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