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nvironment Assessment of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y LCA

LCA기법을 이용한 PET의 환경성평가에 관한 연구

  • Park, Chan-Hyu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Chung, Jae-Ch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
  • Choi, Suk-S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
  • Kim, Sung-Hwan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Research)
  • Published : 2005.03.30

Abstract

In this study, life cycle assessment(LCA) technique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impact of material recycl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bottle. Life cycle inventor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recycling companies in Korea. Simapro 5.0 LCA software and Eco-indicator 95 index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biggest impact by the material recycling of PET bottle on the environmental category was the global warming. It is because melting and production of the recycled PET product consume a significant amount of electricity and energy. I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discharge, $CO_2$ emission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Ox. This is probably due to the use of diesel and gasoline in the consumption of electricity and transportation. All the environmental impact showed (-) value except the ozone layer depletion, which means that the material recycling of PET bottle is environmentally fair. The use of recycled PET product greatly reduced the environmental impact.

본 논문은 PET의 하나인 물질재활용에 대해 전과정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재생업체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여 목록분석을 실시한 후 Eco-Indicator 95의 영향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각 영향범주별 환경영향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공정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구온난화로 밝혀졌다. 이는 폐플라스틱인 PET에 대해 물질재활용의 각 단위공정별 환경영향평가 결과에서 전력과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융 및 재생원료화공정의 환경부하가 매우 높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오염물질 배출량을 살펴보면 $CO_2$가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은 NOx이었다. 이는 전력사용과 수송과정의 경유사용에 기인한 것이다. 폐플라스틱의 물질재활용에 대한 영향평가결과는 오존층 파괴의 영향을 제외한 거의 모든 영향범주들이 음(-) 값이며 이는 환경성이 매우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ET를 물질재활공정과 이를 다시 재생원료로서 사용할 경우를 비교할 때 환경부하삭감효과는 매우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