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e-pole array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방조제 누수지점 탐지를 위한 SP및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의 적용 (Application of SP and Pole-pole Array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to the Seawater Leakage Problem of the Embankment)

  • 송성호;이규상;김진호;권병두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5호
    • /
    • pp.417-424
    • /
    • 2000
  • We applied SP monitoring and resistivity surveys using the pole-pole electrode array to seawater leakage problems in the Youngsan estuary dam and the Eoeun embankment to estimate and detect the zone of seawater leakage. The embankment is generally affected by tidal variation and has low resistiv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high saturation of seawater. For this reason, SP monitoring and the pole-pole array resistivity surveys, which are relatively more effective to the conductive media, were carried out to delineate the leakage zones of sea water through the embankment. We checked out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temperature variations along the inner part of Youngsan estuary dam to detect the zone of seawater leakage and found that the measured EC value agreed to that of seawater in the leakage zone and the temperature was lower than that of the vicinity of leakage zone. SP monitoring results were coincided with tidal variations at each embankment. At the leakage zones in the Youngsan estuary dam and the Eoeun embankment, SP anomalies are in the range of -60~-85 mV and -20~-50 mV, respectively, and true resistivity values obtained by 2-D inversion are 3~15 ohm-m and below 0.3 ohm-m, respectively. Both SP monitoring and the pole-pole array resistivity method are found to be quite effective for investigation of seawater leakage zones in the embankment.

  • PDF

혼합배열을 사용하는 시추공간 전기비저항 탐사 (The Crosshole Resistivity Method Using the Mixed Array)

  • 조인기;한성훈;김기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4호
    • /
    • pp.250-256
    • /
    • 2002
  •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는 지하의 전기비저항 분포를 영상화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정밀 물리탐사법으로 지반조사 및 환경 오염대의 조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비저항 토모그래피 탐사의 경우 다양한 전극배열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배열법은 나름대로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단극배열의 경우에는 신호대 잡음비는 높으나 분해능이 벌어지며, 쌍극자배열의 경우에는 분해능은 높지만 신호대 잡음비가 너무 낮다. 단극-쌍극자 배열의 경우에는 중간정도의 분해능과 신호대 잡음비를 갖는다. 최근 개발된 변형된 단극-쌍극자 배열의 경우에는 단극-쌍극자 배열 수준의 신호대 잡음비와 분해능을 갖는다. 그러나 단극배열을 제외한 이들 전극배열법은 전류 및 전위 전극의 위치에 따라서는 겉보기 비저항이 발산할 수도 있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단극배열의 경우에는 측정된 겉보기 비저항이 이상체의 전기비저항을 그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류전극과 전위전극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단극-쌍극자 배열과 변형된 단극-쌍극자 배열을 혼용하는 소위 혼합배열이라는 새로운 전극배열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새로운 전극배열법은 신호대 잡음비 및 분해능은 단극-쌍극자 배열의 수준을 유지하며, 측정 시추공상에서 겉보기 비저항이 발산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측정되는 겉보기 비저항은 항상 이상체의 전기비저항을 잘 반영한다.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를 위한 변형된 전극배열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ified Electrode Arrays in Two-Dimensional Resistivity Survey)

  • 김정호;이명종;송윤호;정승환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4권3호
    • /
    • pp.59-69
    • /
    • 2001
  •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극배열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단극과 쌍극자를 사용하는 기존의 전극배열로부터 5 종류의 변형된 전극배열법을 제안하였다. 변형된 단극 배열법은 원거리 접지전극이 필요한 단극 배열법의 비효율성을 보완하기 위한 전극배열법이다. 4 종류의 쌍극자를 이용하는 변형된 전극배열법은 쌍극자 또는 단극-쌍극자 배열이 갖는 문제점, 즉 낮은 측정값에 의한 낮은 신호대 잡음비를 개선하여 높은 측정값의 획득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수치 모델링과 2차원 역산을 이용한 수치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기적 잡음에 의한 영향과 분해능에 대하여 고찰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전극배열의 효용성을 입증하였다.

  • PDF

전기, 전자탐사법을 이용한 간척개발 사업지구 내 방조제 안전점검 (Safety Inspection of Sea Dike in Reclamation Project Area Using 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urvey)

  • 송성호;성백욱;김영규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54-261
    • /
    • 2006
  • We applie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using modified pole-pole array and small-loop electromagnetic survey to delineate the zone of seawater inflow through a tide embankment. The tide embankment is generally affected by tidal variation and has low resistivity characteristic due to the high saturation of seawater. For this reason,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using modified pole-pole array, which is relatively more effective to the conductive media, was carried out to detect the inflow zone of seawater and small-loop electromagnetic survey using multi-frequency with 300 to 20,010 Hz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both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using modified pole-pole array and small -loop electromagnetic survey, these survey methods are found to be quite effective for investigation of seawater inflow zone in the sea dike.

  • PDF

SP 및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방조제 누수지점 탐지 (A Study to Estimate the Seawater Leakage Zone of the Embankment using SP and Pole-pole Array Resistivity Survey)

  • 송성호;이규상;김진호;장의웅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특별심포지움
    • /
    • pp.19-4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해수에 의한 누수지점 파악을 위하여 방조제 4개소에 대해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 SP탐사 및 SP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해석 자료들을 조석변화와 비교한 결과 본 방법들이 방조제 누수지점 파악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저수지의 경우는 그라우팅 보강공사가 계획된 1개소에 대하여 그라우팅 보강 전후에 각 각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와 SP탐사를 실시하여 누수구간에 대한 탐사기법 적용성 검토 및 그라우팅 효과를 비교한 결과 저수지의 경우에도 SP탐사의 적용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방조제의 경우는 해수의 영향으로 안정된 전기비저항 값을 얻기 어려워, 단극배열을 이용하여 측정전위값을 크게 만들어 높은 SiN비를 확보한 결과 지하의 정보가 단순화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적용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방조제 제체를 통한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전위를 대상으로 SP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와 조석변화를 비교한 결과, SP값의 변화가 조위 변화와 일치되어 나타나므로 SP탐사가 누수지점의 탐지뿐만 아니라 누수 추세를 밝히는데 효과적인 탐사법으로 판단된다.

  • PDF

단극배열을 이용한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법의 문제점 (A problem in the cross-hole resistivity method using pole-pole array)

  • 조인기;최경화
    • 지구물리
    • /
    • 제1권1호
    • /
    • pp.51-58
    • /
    • 1998
  • 단극배열을 사용하는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통형 2차원 이상체에 대한 이론해로부터 겉보기 비저항 및 2차전위 분포양상을 계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에서 2차원 이상체가 전도체일 경우는 물론이고 부도체일 경우에도 모두 모암의 비저항보다 낮은 겉보기 비저항을 나타낸다. 따라서 단극배열을 사용하여 획득한 시추공-시추공 전기비저항 탐사자료만으로 시추공 사이에 존재하는 이상체의 전도도에 관한 해석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서는 3차원 자료획득 및 해석이 필요하며, 이의 실현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적어도 동일 시추공 자료를 이용해야만 이상체의 전도도에 관한 해석이 가능해 진다.

  • PDF

2극법 전기비저항 탐사 자료의 효율적인 해석방법 (Pole-pole array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nd an effective interpretational scheme of its data)

  • 조동행;이창열;지상근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년도 정기총회 및 특별심포지움
    • /
    • pp.112-131
    • /
    • 2000
  • 2극법 전기비저항 탐사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리검층과 아주 천부의 고고학적 조사를 제외하면 그다지 이용되지 않고 있다. 이는 2극법 전기비저항 탐사에 의한 측정치의 분해능이 다른 전극배열에 비해서, 특히 쌍극자 쌍극자법, 쌍극자 단극자법, 단극자${\cdot}$쌍극자법에 비해서 뒤떨어진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과 검토에 의하면 상기한 단점은 다음과 같이 보완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여러 전극배열의 전기비저항 탐사에서 각각의 응답은 2극법 응답의 1 차 결합이므로, 여타 전극배열법의 응답은 2극법 응답의 단순한 조합에 의해서 도출할 수 있다. 잡음 때문에 이러한 사실을 실제 적용하기는 어렵다고 보고된 예가 있지만, 필자가 실제의 천부 탐사 자료를 검토해 보았을 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고 확신하게 되었다 즉 최종의 지질학적 해석을 내리기 전에, 2극법 자료에서 분해능이 향상된 자료를 도출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유용하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마치 자력탐사 또는 중력탐사에서 2 차 미분도에 의한 분해능 향상과 유사하다.

  • PDF

국내 맥상광체조사를 위한 3차원 전기비저항 모델링자료의 3차원 역산 해석 (3-D Inversion of 3-D Synthetic DC Resistivity Data for Vein-type Ore Deposits)

  • 이호용;정현기;정우돈;곽나은;이효선;민동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699-708
    • /
    • 2009
  • 최근 들어 국내 광산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새로운 광상탐사 및 기존 광상의 연장성 확인 등의 목적으로 물리탐사를 적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금속광상 탐사의 경우, 광화대가 주변에 비해 높은 전기전도도를 갖기 때문에 이를 탐지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 탐사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현실 여건상 대부분 2차원 탐사가 수행된다. 그러나 국내 금속광상의 대부분이 맥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광맥의 폭이 변한다거나 광맥이 단층에 의해 끊어져 있는 등 매우 복잡한 3차원 구조를 띤다. 따라서 3차원 광체구조에 대하여 2차원 탐사 및 2차원 해석을 수행할 경우 왜곡된 해석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3차원 광체구조에 대한 3차원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주향에 수직한 여러 측선에 대하여 2차원 쌍극자-쌍극자 탐사를 수행하여 얻은 자료와 3차원 단극자-단극자 배열을 이용하여 얻은 자료들을 각각 3차원 역산한 후 이들을 2차원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3차원 맥상광체로는 맥폭이 변하는 모형과 맥이 단층에 의해 어긋난 모형 등을 가정하였다. 2차원 쌍극자-쌍극자 배열자료에 대해 3차원 역산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3차원 단극자-단극자 배열자료와 비교하면 단극자-단극자 탐사자료가 전체적인 구조는 잘 보여주나 배열의 특성상 쌍극자-쌍극자 탐사자료만큼 정확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제 탐사시 주향의 방향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주향에 수직한 2차원 측선들에 대해 쌍극자-쌍극자 탐사를 수행하고 이를 3차원 해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표면에 광체가 드러나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이미 개발이 완료된 상태이며, 현재 남아있는 광상은 지하 깊은 곳에 매몰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주향에 대한 정보를 알기 어려우므로 비록 해상도는 떨어지더라도 3차원 단극자-단극자 탐사를 수행하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Design and Analysis of a Vibration-Driven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Using Multi-Pole Magnet

  • Munaz, Ahmed;Chung, Gwiy-Sang
    • 센서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2-179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analysis of a vibration-driven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that uses a multi-pole magnet. The physical backgrounds of the vibration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er are reported, and an ANSYS finite element analysis simulation has been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t alignments of the magnetic pole array with their flux lines and density. The basic working principles for a single and multi-pole magnet are illustrated and the proposed harvester has been presented in a schematic diagram. Mechanical parameters such as input frequency, maximum displacement, number of coil turns, and load resistance have been analyzed to obtain an optimized output power for the harvester through theoretical study. The paper reports a maximum of 1.005 mW of power with a load resistance of $1.9k{\Omega}$ for 5 magnets with 450 coil turns.

A Study of 0.5-bit Resolution for True-Time Delay of Phased-Array Antenna System

  • Cha, Junwoo;Park, Young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4호
    • /
    • pp.96-103
    • /
    • 2022
  •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increasing the resolution of True-Time-Delay (TTD) by 0.5-bit for phased-array antenna system which is one of the Multiple-Input and Multiple Output (MIMO) technologies. For the analysis, a 5.5-bit True-Time Delay (TTD) integrated circuit is designed and analyzed in terms of beam steering perform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effective bits, the designed 5.5-bit TTD uses Single Pole Triple Throw (SP3T) and Double Pole Triple Throw (DP3T) switches, and this method can minimize the circuit area by inserting the minimum time delay of 0.5-bit. Furthermore, the circuit mostly maintains the performance of the circuit with the fully added bits. The idea of adding 0.5-bit i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bits and array elements. The 5.5-bit TTD is designed using 0.18 ㎛ RF CMOS process and the estimated size of the designed circuit excluding the pad is 0.57×1.53 mm2.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phase shifter which has distortion of scanning angle known as beam squint phenomenon, the proposed TTD circuit has constant time delays for all states across a wide frequency range of 4 - 20 GHz with minimized power consumption. The minimum time delay is designed to have 1.1 ps and 2.2 ps for the 0.5-bit option and the normal 1-bit option, respectively. A simulation for beam patterns where the 10 phased-array antenna is assumed at 10 GHz confirms that the 0.5-bit concept suppresses the pointing error and the relative power error by up to 1.5 degrees and 80 mW,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5-bit TTD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