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to Estimate the Seawater Leakage Zone of the Embankment using SP and Pole-pole Array Resistivity Survey

SP 및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방조제 누수지점 탐지

  • Song Sung-Ho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Lee Kyu-Sang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Kim Jin-Ho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 Jang Eui-Woong (Korea Agricultural &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 송성호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이규상 (농업기반공사 지하수사업처) ;
  • 김진호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 장의웅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We applied both SP monitoring and pole-pole array resistivity surveys and SP survey and dipole-dipole array resistivity survey to leakage problems in several embankments and dike, respectively, to estimate and detect the zone of leakage. The embankment is generally affected by tidal variation and has low resistivity characteristics due to the high saturation of seawater. According to this situation, SP monitoring and resistivity survey using pole-pole electrode array, which is relatively more effective to the conductive media, were carried out to delineate the leakage zones of sea water through the embankment. We checked out electrical conductivity(EC) and temperature variations along the inner part of the embankment to detect the zone of seawater leakage and found that the measured EC value agreed to that of seawater in the leakage zone and the temperature was lower than that of the vicinity of leakage zone. SP monitoring results were coincide with tidal variations at each embankmen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both SP monitoring and the pole-pole array resistivity method are quite effective for investigation of seawater leakage zones in the embankment.

본 연구에서는 해수에 의한 누수지점 파악을 위하여 방조제 4개소에 대해 단극배열 전기비저항탐사, SP탐사 및 SP 모니터링을 실시하였고, 해석 자료들을 조석변화와 비교한 결과 본 방법들이 방조제 누수지점 파악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저수지의 경우는 그라우팅 보강공사가 계획된 1개소에 대하여 그라우팅 보강 전후에 각 각 쌍극자배열 전기비저항 탐사와 SP탐사를 실시하여 누수구간에 대한 탐사기법 적용성 검토 및 그라우팅 효과를 비교한 결과 저수지의 경우에도 SP탐사의 적용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방조제의 경우는 해수의 영향으로 안정된 전기비저항 값을 얻기 어려워, 단극배열을 이용하여 측정전위값을 크게 만들어 높은 SiN비를 확보한 결과 지하의 정보가 단순화되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적용성이 높음을 확인하였고, 방조제 제체를 통한 누수에 의해 발생되는 유동전위를 대상으로 SP 모니터링을 실시한 결과와 조석변화를 비교한 결과, SP값의 변화가 조위 변화와 일치되어 나타나므로 SP탐사가 누수지점의 탐지뿐만 아니라 누수 추세를 밝히는데 효과적인 탐사법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