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

검색결과 4,227건 처리시간 0.032초

17세기 이전 조선시대 찬물류(饌物類)의 문헌적 고찰 (An Investigation of Side-dishes found in Korean Literatures before the 17th Century)

  • 정낙원;조신호;최영진;김은미;원선임;차경희;김현숙;이효지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31-748
    • /
    • 2007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 kinds and names of side dishes along with their recipes and ingredients occuring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side dishes were classified 79 kinds of Guk, 23 kinds of Jjim and Seon, 15 kinds of Gui, 3 kinds of Jeon, 7 kinds of Nureumi, 3 kinds of Bokkeum, 30 kinds of Chae, 11 kinds of Hoe, 7 kinds of Jwaban, 6 kinds of Mareunchan, 12 kinds of Pyeonyuk and 5 kinds of Jeonyak, Jokpyeon and Sundae. The earliest records were found on Guk, Jjim, Jwaban, Po and Pyeonyuk Gui, Namul and Hoe were recorded after the 1500's and Nureumi, Jeon, Jeonyak, Jokpyeon and Sundae were developed relatively late in the late 17th century. As to the kinds of side dishes, Guk was the most common. Guks cooked before the 17th century used different recipes and more types of ingredients than today, including some that are not used today. For Jjim, various seasonings were added to main ingredients such as poultry, meat, seafood and vegetable. Most of the records found for Jjim used chicken as the main ingredient. Gui was recorded as Jeok or Gui and there weren't many ingredients for Gui before the 17th century. Gui was usually seasoned with salt or soy bean sauce and broiled after applying oil. Vegetables were broiled after a applying flour-based sauce. The Jeon cooked at that time was different from the one that is cooked today in that cow organs or sparrows were soaked in oily soy bean sauce before being stewed. Nureumi, which was popular in the 17th century, but rarely made today, was a recipe consisting of adding a flour or starch-based sauce to stewed or broiled main ingredients. Chae was a side dish prepared with edible plants, tree sprouts or leaves. Chaes like Donga and Doraji were colored with Mandrami or Muroo. Hoe was a boiled Hoe and served after boiling seafood. Jwaban was cooked by applying oil to and then broiling sparrows, dudeok, and mushrooms that had been seasoned and dried. For dried Chans, beef or fish was thin-sliced, seasoned and dried or sea tangle was broiled with pine nuts juice. There are some recipes from the 17th century whose names are gone or the recipes or ingredients have changed. Thus we must to try to rebuild three recipes and develop recipes using our own foods of today.

교잡된 Cordyceps militalis 균주의 RAPD 분석 및 생리활성물질인 cordycepin 함량 측정 (RAPD Analysis and Cordycepin Concentration of Hybrided Cordyceps militaris Strains by Mating)

  • 정진우;김성윤;김문옥;이재윤;최영현;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6-90
    • /
    • 2009
  • KACC에서 분양받은 C. militaris 4균주와 야생에서 채집된 6균주 그리고 교배 육성한 4균주를 대상으로 DNA분석에 의한 분류동정을 시행하였다. 표준균주 10균주와 교잡균주 4균주에서 조사된 전 부위(ITS1, 5.8S rDNA, ITS2)에서 많은 염기서열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같은 종으로 확인된 표준균주들과 수집균주들과 비교한 바 같은 균으로 분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잡에 쓰여 졌던 표준 균주에서 교잡된 교잡균주 중 가장 우수한 교잡균주 mat1과 교잡에 사용되었던 표준균주(MPNU10306, MPNU10366)를 선택하여 RAPD 분석을 하였으며, RAPD에서 나타난 각 균주간의 다양한 유전적 변이가 관찰되었다. 이는 새로운 C. militaris종 균주로 판단되어지며, HPLC 분석에서도 교잡에 쓰여 졌던 표준균주보다 교잡한 C. militaris 균주가 cordycepin 생산량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교잡균주가 cordycepin 함량을 보다 더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고 상업적 가치가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지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Houttuynia cordata Thunb. powder)

  • 박우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39
    • /
    • 2014
  • 국수를 만들 때 다양한 기능성을 가진 어성초의 적절한 첨가 비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점도 특성, 국수를 만든 다음 조리시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은 대조구에 비하여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95^{\circ}C$에서의 점도가 낮아졌다. 그러나 최고점도와 $95^{\circ}C$에서 15분 후의 점도와의 차이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조리면은 대조구에 비하여 중량과 부피가 감소하였으나 어성초 분말 0.5%, 1.5% 첨가구는 중량에 있어서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어성초 분말을 0.5% 첨가한 국물의 흡광도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나 다른 어성초 분말 첨가구는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어성초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조리면의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시험구의 색도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대조구, 어성초 분말 0.5%, 1.5%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보아 어성초 분말을 첨가한 국수 제조시에 0.5%까지 첨가하는 것은 국수의 품질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복령 균핵의 알칼리추출물에서 정제한 면역활성 증강물질의 작용과 화학구성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Immunostimulants Purified from Alkali Extract of Poria cocos Sclerotium)

  • 이상달;조수묵;박정식;한상배;전영진;김환묵;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4호통권91호
    • /
    • pp.293-298
    • /
    • 1999
  • 복령 균핵을 여러단계로 추출하여 얻은 다당류들의 면역 증강활성을 생쥐 비장세포에서 혼합임파구 반응으로 측정하였다. 이들 중 탄산나트륨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고 이를 DEAE-셀롤로오스와 Sephadex G-50 크로마토그래피로 면역활성증강물질을 정제하여 PCSC22를 얻었다. PCSC22는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약 78:22의 비율로 이루어진 단백다당체이었으며 GP-HPLC로 측정된 평균분자량은 약 8 kDa이었다. PCSC22 분획은 단당들의 구성성분들 중 mannose(92%)가 가장 많고 galactose(6.2%)와 약간의 arabinose(1.3%)도 함유하고 있는 heteromannan 이었다. 단백질 부분은 총 15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 중 aspartic acid, serine, valine 등의 합이 약 47%로 주요 성분이었다. PCSC22는 B 임파구의 항체형성능력과 macrophage의 일산화질소 분비능력을 함께 증강시켰다.

  • PDF

Optical Properties of Opal Glass on the Various Contents of Chemical Composition

  • Nguyen, Tuan Dung;N., Bramhe Sachin;Kim, Ji Ho;Kim, Taik-Nam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6
    • /
    • 2013
  • Opal glass samples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were synthesized and transparent glass was obtained after melting. The effects of $TiO_2$, $BaF_2$, and $CeO_2$ content on the color of the opal glass were studied by observing images of the opal samples and analyzing the results via ultraviolet visible spectroscopy and color spectrometry. The aesthetic properties of the opal glass were determined by studying th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in the 400 nm to 700 nm range. The basic chemical composition of opal glass was $SiO_2$ 52.9 wt%, $Al_2O_3$ 12.35 wt%, $Na_2CO_3$ 15.08 wt%, $K_2CO_3$ 10.35 wt%, $Ca_3(PO)_4$ 4.41 wt%, $MgCO_3$ 1.844 wt%, $LiCO_3$ 2.184 wt%, and $TiO_2$ 0.882 wt%. The glass samples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weight percentage of $TiO_2$, $BaF_2$, and $CeO_2$. The transmittance of visible light was decreased from 95 % to 75 % in the glass samples in which $TiO_2$ content was increased from 0 to 3.882 wt%. In the blue spectrum region, as the content of $TiO_2$ increased, the reflectance value was observed to become higher. This implies that $TiO_2$ content induces more crystal formation and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glass. The opalescence of opal samples that contained $CeO_2$ or $BaF_2$ is stronger than that in the samples containing $TiO_2$. Opal glass samples comprising $TiO_2$ had tetragonal lattice structures; samples including $CeO_2$ as an additive had cubic lattice structures (FCC, $CeO_2$).

순천만 갯벌 토양의 섬유소 분해능 및 체외효소 활성 (Cellulose Degradation and Extracellulat Enzymatic Activity of the Mud Flat in Sunchon Bay)

  • 백근식;최지혁;성치남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0-135
    • /
    • 2000
  • 순천만 갯벌의 3개 지점의 표층(5cm)과 심층(20 cm)토양의 물리화학적 요인과 종속영양세균의 분포, 섬유소 분해율과 체외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온도, 수분함량, 인산염 인 그리고 유기물함량은 각각 -1~$30^{\circ}C$, 42.1~53.1%, 0.0779~0.1961mg/g, 그리고 1.99~7.64%로 나타나었다. 섬유소 films의 분해율은 7.7%~100%/month 범위로 1~2월에 최저 그리고 8~9월에 최고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0.87{\times}10^6 ~ 3.6{\times}10^7 $CUFs/g dry soil의 범위에 속해Tdmu 심층의 경우 표층에 비해 낮았다. MUF-기질의 분해율로 측정한 phoshatase, $\alpha$-D-gluocosidase, $\beta$-D-glucosidase, cellobiohydrolase 활성의 변화는 각각 152.23~1779.80 nMi/hr 2.67~202.18 nM/hr, 5.03~258.26 nM/hr, 3.42~63.07 nM/hr으로 모두 하계에 상대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섬유소 분해는 수온상승이 주된 요인이었으며, 정점간, 깊이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외효소의 활성은 온도 및 섬유소 분해율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섬유소 분해와 체외효소의 활성과 높은 상괸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하천관개지역 광역논에서의 영양물질의 물질수지 (Nutrient Balance in the Paddy Fields Watershed with a Source of River Water)

  • 이정범;이재용;이사굉;장정렬;장익근;김진수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5호
    • /
    • pp.11-19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concentration and load of nutrients such as total nitrogen (TN), nitrate nitrogen ($NO_3$-N) total phosphorous (TP), and phosphate phosphorous ($PO_4$-P) in a 23.4-ha paddy fields watershed with river water source. Water samples for irrigation water, drainage water, ponded water and groundwater were collected, and irrigation and drainage water were measured at 5~10 day intervals during normal days and at 2~6 hours intervals during three storm events. The amount of irrigation water in the study area was over 2,000 mm, which is almost identical to that in the area irrigated from a large reservoir but much more than that in the area irrigated from a pumping station. Mean flow-weighted concentrations of TN and TP in irrigation water were 2.8 and 0.15 mg/L, respectively, higher than those in the area irrigated from a large reservoir or a pumping station. The ratios of irrigation load to total inflow load for TN and TP were 88 %, and the ratios of surface outflow load to total outflow load for TN and TP were over 90 %, indicating that total nutrient load may be greatly affected by water management. The nutrient loads per area in the study area were estimated as TN 21.1 kg/ha and TP 1.1 kg/ha. Especially, the TP load per area in the study area was smaller than that in the area irrigated from a large reservoir or a pumping station. This may be because outflow load is not high likely due to sedimentation of particulate P and irrigation water load is high due to high TP concentration in irrigation water and high amount of irrigation water.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Augmented Reality(AR)-based Tourism Contents using Local Cultural Resources)

  • 이종욱;박현아;박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22-130
    • /
    • 2018
  • 스마트 관광이 활성화됨에 따라서 관광산업에 증강현실을 접목하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는 주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문화유산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왔기 때문에 산업화에 의해 파괴되거나 변형된 근현대의 유, 무형 문화유산에 대한 체험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현대의 건축물 및 생활사 등을 다양한 인터랙티브 요소를 통해 체험할 수 있는 증강현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충무로 AR>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특히 어플리케이션 제작 대상지인 충무로 지역은 19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영화 산업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고 이에 대한 일반인들의 역사 관광에 대한 니즈가 존재하기에 선정하였다. <충무로 AR>은 '79년 조감독의 하루'라는 시나리오를 토대로 총 5개의 PoI (Point of Interest)를 선정하고 각 지점에서 증강현실 콘텐츠 체험, 과거배경에서 사진찍기, 스탬프 수집의 인터랙티브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충무로 AR>의 현장 설문을 통하여 참가자들이 느끼는 기술적 용이성, 유용성, 만족도 등을 알아보았다. 설문 결과 유용성 항목에서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몰입감과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관광에 적용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 문화유산을 활용한 증강현실 기반 관광 콘텐츠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강우시 도로유출수 수질특성 및 입경분포 (Water Qual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s of Road Runoff in Storm Event)

  • 이준호;조용진;방기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777-784
    • /
    • 2005
  • 도시지역은 불투수층 면적비율이 높아 작은 강우에도 초기유출(first flush)이 강하게 발생하고 유출되는 오염물질 농도도 높다. 도로유출수에는 미세입자물질, 중금속, 유기물질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도로유출수의 수질과 입자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자 교통량이 비교적 많은 도로 2개 지점을 대상으로 총 6회의 강우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2개 조사 지점에서 분석된 도로유출수 수질농도범위는 SS $45{\sim}2,396\;mg/L$, $COD_{Cr}\;40{\sim}931\;mg/L$, TKN $0.1{\sim}19.6\;mg/L$, TP $0.2{\sim}25.1\;mg/L$, Fe $0.33{\sim}8.15\;mg/L$, Cr $0.06{\sim}0.50\;mg/L$, Pb $0.06{\sim}0.97\;mg/L$, Cr $0.01{\sim}0.12\;mg/L$으로 조사되었다. 강우초기의 농도는 극단적으로 높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도로유출수 SS와 상관계수가 높은 수질항목으로는 $COD_{Cr}$, TP, Cu, Pb이고, 상관계수가 가장 낮은 항목으로는 TKN으로 분석되었다. 도로유출수의 입경을 분석한 결과 평균 f3경간의 범위는 $6.7{\sim}23.4\;{\mu}m$이고 90% 입경의 범위는 $36.2{\sim}105.2\;{\mu}m$로 분석되었다. 또한, 입경은 유출량에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균등계수를 분석한 결과 평균범위는 $6.4{\sim}10.2$로 입경 분포범위가 크게 나타났다.

한국과학영재학교와 민족사관고 학생의 여가활동실태 분석 (Analysis of Korea Science Academy and Min Jok Leadership Academy Students's Leisure Activity Actual Condition)

  • 이훈식;송강영;안정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1-109
    • /
    • 2007
  • 한국과학 영재학교 학생들과 민족사관고 학생들의 여가활동 실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영재학교 166명 (남:122, 여:44), 민사고 184명(남:71, 여:113)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1) 남학생들은 스포츠에 여학생의 경우 영재학교는 취미교양 활동에 민사고는 관람 감상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여가활동을 하게 된 직접적인 동기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갈등 해소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75\sim80%$정도가 여가활동이 건강과 체력 유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3) 혼자서 여가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30%정도였고, 계획 없이 여가활동을 실시한다는 응답도 영재학교 남학생 51%, 여학생 40%, 민사고는 남학생 40%, 여학생 48% 정도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4) 평일에 주로 영재학교 남학생들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였고, 민사고 남 여학생 및 영재학교 여학생 집단은 취미 교양활동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5) 남학생의 경우 영재학교 38%, 민사고기 54% 학생들이 평일에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고, 여학생은 70% 정도가 컴퓨터 게임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 남학생들이 민사고 남학생들 보다 컴퓨터 게임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다. 6)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시험이나 과제로 인한 시간부족을 꼽았고, 게을러서 여가 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19\sim25%$나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