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smin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율무, 홍화, 아욱종자의 혈전용해 효소활성 및 감마선 조사의 영향 (Fibrinolytic Activities and Effects of Gamma-Irradiated on Seeds from Coix lacryma-jobi L. Carthamus tinctorius L. and Malva verticillata L.)

  • 권수정;임채영;김재성;박민희;이숙영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20-27
    • /
    • 2006
  • 미생물 및 동물에 비해 식물에서는 혈전용해효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며, 기존의 혈전용해효소가 가지는 혈전에 대한 비특이적, 부작용, 고가 등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혈전용해효소의 개발을 위하여 율무, 홍화, 아욱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수용성 단백질의 혈전용해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식물들로부터 추출된 조효소 용액은 기존 혈전 용해효소인 plasmin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여 fibrin 평판법으로 확인한 결과 피브린 응집을 효과적으로 분해하였다. 그 중 율무종자의 수용성 추출물의 혈전용해 활성은 양성 대조군인 plasmin과 비교하여 1.3배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체 수용성 단백질은 50-75% 에탄올을 이용하여 농축하였으며 율무의 혈전용해효소는 fibrin zymography를 수행하여 확인하고 직접 추출하였다. SDS-PAGE에 의하여 추출효소의 분자량을 측정한 결과 7.8 kDa으로 단일 polypeptide임을 확인하였으며,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온도의 효과는 $50^{\circ}C$ 이상에서는 비교적 안정하였으나 더 낮은 온도에서는 급격히 효소활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각종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에 의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APMSF, PMSF, pepstatin A 그리고 TPCK에 강력하게 저해되는 것으로 보아 추출효소는 chymotrypsin과 유사한 serine protease의 하나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EGTA와 EDTA 처리에 의해서는 효소활성의 저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더욱이, 종자저장 중에 미생물에 의한 부패, 활력저하, 생리활성물질의 감소와 장기저장에 따른 에너지소비 증가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저선량의 감마선 조사를 통해 율무, 홍화, 아욱의 종자로부터 혈전용해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과 및 선량에 따른 차이를 조사하였는데 비조사 종자인 대조구와 비교하여 1 Gy, 4 Gy, 16 Gy, 32 Gy선량에서는 낮은 활성을 보였으면 반면에 8 Gy와 64 Gy의 선량에서는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Y선 조사가 종자의 혈전용해 활성을 향상시킬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모든 결과로 볼 때 율무의 추출 효소는 chymotrypsin-like serine protease에 속하는 혈전용해효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돼지의 체외수정시 정자와 난자내 Plasminogen Activators Activity의 변화

  • 사수진;이상영;정희태;양부근;김정익;박춘근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24-224
    • /
    • 2004
  • Plasminogen activators (PAs)는 자궁분비액, 난포액, 정장물질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세포외 분비액(extracellular fluids) 및 plasma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세포외 전구효소인 plasminogen을 plasmin으로 전환시키는 단백질분해효소이다. PAs는 섬유소용해, 배란, 착상 및 수정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적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돼지의 체외수정 과정시 정자와 난자에서의 plasminogen activators activity의 변화를 SDS-PAGE와 zymography를 이용하여 검토하였다. (중략)

  • PDF

청국장으로부터 혈전용해균주의 분리 및 동정 (Screening and Imentification of the Fib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ook-jang)

  • 김용택;김원극;오훈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
    • /
    • 1995
  • Bacterial strains showing the fibrinolytic activity were screened from Chungkook-jang and Natto (Japanese traditional soy food). The strains isolated from Natto revealed a high level of fibrinolytic activity, wherease nearly half of the isolates from Chungkook-jang did not show the relevant activity. However, one strain isolated from Chungkook-jang showed the highest fibrinolytic activity (1.84 plasmin unit), and subsequently identified as Bacillus species. The fibrinolytic strain was designated as Bacillus sp. CK 11-4.

  • PDF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simvastatin의 효과 (Effect of Simvastatin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 김환규
    • KSBB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265-27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simvastatin에 의한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효과와 그 가능한 기작에 대해 조사하였다. U-373-MG 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simvastatin의 효과를 확인한 결과, $0.01\;{\mu}M$의 simvastatin에서는 U-373-MG 세포의 이동이 약 43% 증가되었으나 $1\;{\mu}M$$20\;{\mu}M$에서는 세포의 이동이 각각 28%와 35% 억제되었다. 세포의 침윤 역시 $0.001\;{\mu}M$의 simvastatin에서는 23%, $0.01\;{\mu}M$에서는 26%의 침윤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1\;{\mu}M$$10\;{\mu}M$에서는 세포의 침윤이 각각 45%와 54%가 억제되었다. $0.001\;{\mu}M$$0.01\;{\mu}M$의 simvastatin 처리에 의해 MMP-2의 분비량이 각각 30%와 59% 증가되었으나, $10\;{\mu}M$$20\;{\mu}M$의 simvastatin 처리에 의해 MMP-2의 분비량은 각각 31%와 60% 감소되었다.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에 미치는 simvastatin의 효과도 MMP-2에 미치는 효과와 유사하였다. Simvastatin이 MMP-2와 MMP-9 단백질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0.001{\sim}1\;{\mu}M$의 simvastatin에서는 MMP-2와 MMP-9 생성이 증가되었으나 $10{\sim}20\;{\mu}M$에서는 MMP-2와 MMP-9의 생성이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낮은 농도의 simvastatin은 혈관신생을 유도하고 높은 농도의 simvastatin은 혈관신생을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아위버섯 추출물의 혈전용해, 트롬빈저해,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Fibrinolytic, thrombin inhibitory,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Pleurotus ferulea)

  • 김은정;김준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2015
  • 아위버섯을 혈관계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개발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아위버섯 물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혈전용해활성과 트롬빈 저해활성, 항산화활성 및 항염증활성을 확인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33 plasmin unit의 높은 혈전용해 활성과, 94.45%의 높은 트롬빈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물 추출물은 37.01%의 항산화활성을 나타냈으며,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98.13%의 가장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냈다. 실험 결과로부터 아위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높은 혈전용해활성, 트롬빈 저해활성 그리고 클로로포름 분획물은 높은 항염증활성을 나타내 심혈관계 질환 관련 치료나 예방을 위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with Fibrinolytic Activity from Fermented Foods

  • Yoon, Seon-Joo;Yu, Myeong-Ae;Sim, Gwan-Sub;Kwon, Seung-Taek;Hwang, Jae-Kwan;Shin, Jung-Kue;Yeo, In-Hyun;Pyun, Yu-R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4호
    • /
    • pp.649-656
    • /
    • 2002
  • Fibrinolytic microorganisms were screened from 42 samples of Korean fermented food (7 kinds of Chungook-jang, 14 kinds of commercial Doen-Jang, 5 kinds of home-made Doen-jang, and 16 kinds of Jeot-gal), 15 samples of Japanese fermented food (5 kinds of home-made soybean paste, and 10 kinds of Natto), and 19 samples of Indonesian fermented food (Tempe) as well as starters of Meju (500 microflora from Korea, and 22 from China). Initially, 11 isolates with strong fibrinolytic activity were selected for further characterization.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the 11 isolates ranged from 89 to 199% of standard plasmin. Four strains, M5l from Korean fermented food (Meju), I 1-1, I 1-4, and I 5-1 from Indonesian fermented food (Tempe), were chosen based on the degree of activity and reproducibility, and identified as Staphylococcus sciuri, Citrobacter or Enterobacter, Enterococcus faecalis, and Bacillus subtilis, respectively. The first two isolates are pathogenic stains while the latter two are considered as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Fibrinolytic activity of E. faecalis, characterized and designated as BRCA-5, reached a maximum, when the producer was cultivated in Ml7 broth supplemented with 1.0% glucose for 5 h at 37$^{\circ}C$ with shaking at 180 rpm. Compared to commercial fibrinolytic enzymes, the cell-free culture supernatant of 5. faecaiis BRCA-5 showed stronger activity than plasmin and streptokinase, but similar degree of specific activity as nattokinase and urokinase, aud it also demonstrated anticoagulant and antiplatelet activity ex vivo. These features of E. faecalis make it an attractive agent as a biomaterial for health-promoting foods.

청국장에서 분리한 혈전용해효소 생산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terization of the Fibrinolytic Enzyme Producing Bacterium isolated from Naturally Fermented Chungkookjang)

  • 손병희;오계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476-48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혈전용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인 MK-15를 분리하고 동정하는 것이다. 먼저 세균 MK-15는 자연 발효된 콩으로부터 농화분리하였으며, 이 세균에 대한 형태학적 및 다양한 생리학적 특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MK-15의 배양 상등액으로부터 혈전용해효소 활성을 fibrin plate 방법으로 solid fibrinolytic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콩배지에서 자란 MK-15의 혈전용해활성은 대조군으로 사용된 plasmin의 혈전용해활성에 비하여 약 2.5배 높았다. 16S rRNA를 분석한 결과 균주 MK-15는 Bacillus subtilis 군과 99.9%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 세균은 Bacillus sp. MK-15로 명명하였으며. 균주 MK-15는 GenBank에 [DQ163021]로 등록하였다.

  • PDF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D4-7이 분비하는 혈전용해효소의 특성 및 열안정성에 미치는 첨가물의 효과 (A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D4-7 Isolated from Chungkook-Jang; It′s Characterization and Influence of Additives on Thermostability.)

  • 김상숙;이주훈;안용선;김정환;강대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1-276
    • /
    • 2003
  • 한국의 전통 대두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혈전용해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동정한 결과 B.amyloliquefaciens D4로 명명하였다. 혈전용해효소의 대량분비를 위해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을 사용한 돌연변이를 유도하여 B. amyloliquefaciens D4-7 변이주를 얻었으며, plasmin 1 U/ml 6.5배 정도의 높은 혈전분해능을 나타내었다. B. amyloliquefaciens D4-7는 분리대두단백배지에서 혈전용해효소 분비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B. amyloliquelaciens D4-7가 생산하는 혈전용해효소의 최적 활성조건은 pH 10, 5$0^{\circ}C$이었고, pH 7.0 에서 pH 11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안정하였으며, $50^{\circ}C$에서 30분간 방치하였을 경우 50%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또한, NaCl, glycerol 또는glucose 첨가에 의해 혈전용해효소의 저장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s of Plasminogen on Sperm-Oocyte Interaction during In Vitro Fertilization in the Pig

  • Sa, Soo-Jin;Kim, Tae-Shin;Park, Soo-Bong;Lee, Dong-Seok;Park, Chun-Keun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2권2호
    • /
    • pp.97-104
    • /
    • 2008
  • Plasminogen activators (PAs) are serine protease that cleave plasminogen to form the active protease plasmin. PA/plasmin system playa role in mammalian fertilization and motility and acrosome reaction of sperm.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PAs in porcine gametes and investigate a possible role of plasminogen in in vitro fertilization in the pig. When boar spermatozoa were preincubated in a fertilization medium (mTBM) for 0, 2, 4 or 6 h, the activity of tPA-PAI ($110{\sim}117\;kDa$), tPA ($62{\sim}70\;kDa$), and uPA ($34{\sim}38\;kDa$) was observed in the sperm incubation medium and sperm sample. PA activities in the sperm incubation medium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incubation times, while PA activities in sperm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at the same times. In addition, the rate of acrosome reaction in spermatozoa increased by increasing culture times. When oocytes were separated from porcine cumulus-oocytes complexes at 0, 22 or 44 h of maturation culture, no PA activities were observed in cumulus free-oocyte just after aspiration from follicles. However, the activity of tPA-PAI ($108{\sim}113\;kDa$) and tPA ($75{\sim}83\;kDa$) was observed at 22 h of in vitro culture and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the culture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porcine oocytes were activated by sperm penetration or calcium ionophore, plasminogen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ZP dissolution time (sec) in activated oocytes by sperm pene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pplementation of plasminogen to fertilization medium may playa positive role in the improvement of in vitro fertilization ability in the pig.

Characterization of a Novel Fibrinolytic Enzyme, BsfA, from Bacillus subtilis ZA400 in Kimchi Reveals Its Pertinence to Thrombosis Treatment

  • Ahn, Min-Ju;Ku, Hye-Jin;Lee, Se-Hui;Lee, Ju-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090-2099
    • /
    • 2015
  • Recently, the cardiovascular disease has been widely problematic in humans probably due to fibrin formation via the unbalanced Western style diet. Although direct (human plasmin) and indirect methods (plasminogen activators) have been available, bacterial enzyme methods have been studied because of their cheap and mass production. To detect a novel bacterial fibrinolytic enzyme, 111 bacterial strains with fibrinolytic activity were selected from kimchi. Among them, 14 strains were selected because of their stronger activity than 0.02 U of plasmin. Their 16S rRNA sequence analysis revealed that they belong to Bacillus, Leuconostoc, Propionibacterium, Weissella, Staphylococcus, and Bifidobacterium. The strain B. subtilis ZA400, with the highest fibrinolytic activity, was selected and the gene encoding fibrinolytic enzyme (bsfA) was cloned and expressed in the E. coli overexpression system. The purified enzyme was analyzed with SDS-PAGE, western blot, and MALDI-TOF analyses, showing to be 28.4 kDa. Subsequently, the BsfA was characterized to be stable under various stress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4-40oC), metal ions (Mn2+, Ca2+, K2+, and Mg2+), and inhibitors (EDTA and SDS), suggesting that BsfA could be a good candidate for development of a novel fibrinolytic enzyme for thrombosis treatment and may even be useful as a new bacterial starter for manufacturing functional fermented f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