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ago asiatica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3초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 보호작용에 관한 연구(I)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I))

  • 박수남;최정원;김소이;전소미;김진영;양희정;이근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1-19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6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활성 측정,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법을 이용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효능 검색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과 주름개선 효능검색으로 elastase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소리쟁이 전초(Rumex crispus $FSC_{50};\;10{\mu}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활성은 질경이 전초(Plantago asiatica, $OSC_{50};\;0.006{\mu}g/mL$), 소리쟁이 전초($0.04{\mu}g/mL$), 세포보호활성은 $50{\mu}g/mL$ 농도에서 소리쟁이 전초($\tau_{50};\;1,140 min $, 후박나무 잎(Machilus thunbergii, 216 min) 및 노박덩굴 잎/줄기/꽃(Celastrus orbiculatus, 20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mu}g/mL$ 농도에서 tyrosinase 저해활성은 뽕나무 줄기(Morus alba, 94.8%), elastase의 저해 작용은 소리쟁이 전초(81.8%), 뽕나무 줄기(74.6%), 노박덩굴 잎/줄기/꽃(63.1%)에서 큰 활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리쟁이, 질경이, 후박나무 잎, 뽕나무 줄기 및 노박덩굴 잎/줄기/꽃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제품화를 위하여 좀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국립공원 덕유산 능선부 등산로 주변 잡초군락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a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the Ridge of Deogyusan National Park)

  • 안영희;정연택;이성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1-196
    • /
    • 2004
  • 국립공원 덕유산 일대에는 한국의 특산식물 및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이 흔히 분포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방계 식물과 남방계 식물이 교차하여 나타나는 식물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주변 경관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들의 탐방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탐방은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변 식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훼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등산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해 2003년 7월에서 2003년 8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등산로 주변에 형성된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분석하였다. 등산로 주변 잡초 군락은 8군락 4하위 단위로 구분되었다: A. 질경이군락, A-a. 길뚝사초하위군락, A-b. 쑥하위군락, B. 조릿대군락, B-a. 대사초하위군락. B-b. 박새하위 군락, C. 산딸기군락, D. 비비추군락. E. 미역줄나무군락, F. 억새군락 G. 지리대사초군락, H. 조록싸리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식물의 종류는 34과 83속 12변종 92종 총 104 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출현 식물은 질경이, 쑥, 산딸기, 조릿대, 억새 등 주로 호광성이며 답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경기도 축령산 등산로 주변 잡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Mt. Chungyeong)

  • 안영희;송종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2-241
    • /
    • 2003
  • 경기도의 축령산은 해발 879m로 광주산맥에 이어져 한국의 중부지역 북동부에 위치한다. 축령산 일대에는 한국의 특산식물 및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이 흔히 분포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방계 식물과 남방계 식물의 한계선이 교차하는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서울에서 거리가 가깝고 경관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들의 탐방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탐방은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변 식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훼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등산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해 2001년 8월에서 2002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등산로 주변에 형성된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분석하였다. 등산로 주변 잡초 군락은 6군락 4하위 단위로 구분되었다: A. 질경이 군락, A-a. 개망초 하위군락. A-b. 길뚝사초 하위군락. B. 큰개별꽃 군락, B-a. 대사초 군락. B-b. 가는네잎갈퀴 군락, C. 칡 군락, D. 조록싸리 군락, E. 산딸기 군락, F. 주름조개풀 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28과 83속 17변종 120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출현 식물은 질경이, 개망초, 주걱망초, 칡. 조록싸리, 산딸기, 쑥, 제비쑥. 큰까치수염 등 주로 호광성이며 답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수종(數種)의 한약재(韓藥材) 전탕액(煎湯液)이 동물 간조직내 항섬유효능검색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Studies on Search of Antifibrotic Effect by Several Herbs Extract in Rat Liver Tissue)

  • 서동진;이춘우;김홍기;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6-133
    • /
    • 2001
  • Antifibrotic drugs could be delayed or inhibited massive collagen deposition in liver tissue or inhibited collagen synthesis. we investigated antifibrotic effects by several herbs(Schisnadra chinensis, Ganoderma japonicum, Sedum sarmentosum, Alisma canaliculatum, Plantago asiatica) extract with observations of collagen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and collagen synthesis in sera. Rats were used for experimental animal that were devided 3 groups(sham control, BDL/S, BDL/S-ER). Rats were operated for inducing liver fibrosis(cirrhosis) by bile duct obstruction. Several herbs were prepared by water extraction and were applicated p. o. $3ml/day$ during 4 weeks. After observation period, rats were sacrificed and liver tissue and sera were collected. In result, the mortality of rats was 35% in BDL/S group and 20% in BDL/S-ER The color of bile juice in BDL/S-ER was bright yellow and murky yellow in BDL/S group. The significantly lower weight of liver($16.21g{\pm}5.3,\;20.58{\pm}2.4$) and spleen($1.96g{\pm}0.96,\;3.93{\pm}0.21$) were shown in BDL/S-ER than that of BDL/S(p<0.05) group. The value of collagen in liver tissue(25.7%) in BDL/S-ER was observ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DL/S group (Tab. 2). AST. ALT, ALP, t-bilirubin, BUN levels were low in BDL/S-ER as compared with those of BDL/S group, but the significance was not proven. The trichrome stained liver tissue in BDL/S-ER group was observed mild bile duct proliferation and fibrosis compared with BDL/S group. In conclusion, natural products inhibited new collagen synthesis and delayed massive collagen deposition in liver tissue, so that they have noticeable antifibrotic effects in experimental liver fibrosis(cirrhosis).

  • PDF

국내 지황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The Incidence of Virus Diseases in Rehmannia glutinosa in Korea)

  • 권선정;윤주연;조인숙;최국선
    • 식물병연구
    • /
    • 제25권1호
    • /
    • pp.38-42
    • /
    • 2019
  • 최근 국내 지황에서는 Rehmannia mosaic virus (ReMV), Youcai mosaic virus (YoMV), Broad bean wilt virus 2 (BBWV2), Plantago asiatica mosaic virus (PlAMV), Rehamnnia virus 1 (ReV1) 등 5종의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다. 국내 주요 지황 재배지역의 포장에서 지황 바이러스의 발병률을 조사하기 위해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여섯 지역의 포장에서 바이러스병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황에 나타나는 주요 바이러스 증상은 잎에 모자이크와 노란 반점 및 변색이었으며 생육이 저조해지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총 145개의 시료를 채집하여 5종 바이러스에 대한 유전자 진단을 실시한 결과, 전 시료에서 2종 이상의 바이러스가 복합 감염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황은 뿌리로 영양번식하는 재배 특성 상 품종별 종근에서도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조사하였으며, 종근에서도 5종의 바이러스가 검정됨에 따라 지황에서의 바이러스병 관리를 위해서는 무병 종근의 생산 및 보급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형방지황탕(荊防地黃湯)의 기원(基源), 변천과정(變遷過程) 및 구성원리(構成原理) (The Origins, Changes, and Compositive Principles of Hyungbangjihwang-tang)

  • 류소현;이수현;박성욱;신승원;이의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12
    • /
    • 2022
  • Objectiv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origins, changes, and the constructive principles of Hyungbangjihwang-tang(荊防地黃湯). Methods Hyungbangjihwang-tang and other related prescription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pathological indications,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including 『Gogeumuigam(古今醫鑑)』, 『Sanghannon(傷寒論)』, 『Uihagjeongjeon(醫學正傳)』, 『Donguisusebowon·Sasangchobongwon(東醫壽世保元·四象草本卷)』, 『Donguisusebowon·Gabobon(東醫壽世保元·甲午本)』, 『Donguisusebowon·Sinchukbon(東醫壽世保元·辛丑本)』. Results and Conclusions The origins of Hyungbangjihwang-tang can be seen in three sections depending on the classification of medicinal herbs. Schizonepeta tenuifolia Briq.(荊芥),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防風), Notopterygium incisum Ting(羌活), Aralia cordata Thunb.(獨活), and Plantago asiatica L.(車前子) originated from Hyungbangpaedok-san(荊防敗毒散) included in 『Gogeumuigam』. Poria cocos Wolf.(茯苓) and Alisma canaliculatum(澤瀉) originated from Ohryoung-san(五苓散) included in 『Sanghannon』. Rehmannia glutinosa for hueichingensis(熟地黃) and Cornus officinalis S. et Z.(⼭茱萸) originated from Yukmijihwang-tang(六味地黃湯) included in 『Uihagjeongjeon』. Hyungbangpaedok-san was transformed into "Paedok-san" in 『Chobongwon(草本卷)』, Hyungbangpaedok-san in the 『Gabobon(甲午本)』 and 『Sinchukbon(辛丑本)』. Yukmijihwang-tang was mentioned as a Soyangin medicine in the 『Chobongwon』 and was later transformed into a Suhwagije-tang(水火旣濟湯) in 『Gabobon』. The meaning of Yukmijihwang-tang inherited in 『Sinchukbon』 as Dokhwaljihwang-tang and Hyungbangjihwang-tang. The medicinal herbs in Hyungbangjihwang-tang can be categorized in three sections by their functions, Schizonepeta tenuifolia Briq.,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 Notopterygium incisum Ting, Aralia cordata Thunb., and Plantago asiatica L. scatter the Pyohan(表寒) and make the Pyoeum(表陰) drop. Poria cocos Wolf.(茯苓) and Alisma canaliculatum(澤瀉) make the Pyoeum(表陰) drop through Lee-su(利水). Rehmannia glutinosa for hueichingensis(熟地黃) and Cornus officinalis S. et Z.(⼭茱萸) tonify Shin-won(腎元). The each principles of medicinal herbs corresponds to the stage of the "Cold-related Diarrhea in Soyangin Spleen Cold-based Exterior Cold disease(少陽人 脾受寒表寒病 亡陰病 身寒腹痛亡陰證)".

천연물 추출물이 대식세포 및 호염구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roduct Extracts on Inhibition of Macrophage and Basophil)

  • 박재현;장지민;차상률;백효신;이주연;이유희;류세민;양세란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89-197
    • /
    • 2022
  • 천식은 호흡곤란, 기침, 가슴통증과 같은 증상을 가지는 만성질환으로써 세포내 염증으로 인한 조직 리모델링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천식은 잘 조절되지 않을 시 치료제의 부작용을 경험할 수 있으며 일상 기능 및 삶의 질 저하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천식은 여러 면역세포들에 의한 염증반응이 주원인으로 대식세포와 호염구 또한 천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식세포는 여러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여 염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산화질소를 통한 DNA 손상과 점액 생성을 유도하여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호염구는 호산구 침윤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히스타민 및 IgE에 대한 높은 친화력을 가진 FcεRIα 수용체로 인해 천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8여 가지의 천연물의 각 분획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가지고 이러한 세포들의 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지 실험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인 Raw 264.7 세포에서 LPS에 의한 산화질소 생성 억제력 및 레트 호염구세포인 RBL-2H3 세포에서 IgE 감작에 의한 β-hexosaminidase 생성 억제력을 평가하였다. 4가지 천연물 추출물이 산화질소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19가지 천연물 추출물이 β-hexosaminidase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이 중 두 실험 모두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던 천연물 추출물은 질경이(Plantago asiatica), 병풀(Centella asiatica),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이렇게 3가지이었다. 본 연구는 여러 천연물 추출물이 천식에 관여하는 대식세포 및 호염구 활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천식뿐 아니라 대식세포 및 호염구가 관여하는 타 질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천연물 추출물에 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한다.

질경이 첨가가 국수와 떡의 저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Shelf-life Extension of Noodle and Rice Cake by the Addition of Plantain)

  • 김건희;오석태;정해옥;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8-72
    • /
    • 1999
  • 식품 산업의 가공화, 인스탄트화에 따른 식품 보존을 위하여 합성식품보존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이 문제로 대두되면서 이를 대체할 천인 보존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야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구황 식물인 질경이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식품 부채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을 실험한 결과, 2,000 $\mu\textrm{g}$/ml 도에서 B. subtilis, L. monocytogenes 및 V. parahaemolyticus의 증식을 완전히 억제하였다. 질경이가 첨가된 국수와 떡은 대조군에 비하여 미생물의 집락이 적게 생겼으며 5, 3, 1% 순으로 총균수가 적었는데 대조군보다 총균수가 적었다. 질경이를 첨가한 국기 관능적 특성은 씹힘성과 전반적인 바람직한 정도는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는데 1% 첨가군이 5% 첨가군보다 더 좋았다. 떡의 경우는 모든 항목에서 3% 첨가군이 우수하게 평가되었다(P<0.05).

  • PDF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 Kil, B.S.;Han, D.M.;Lee, C.H.;Kim, Y.S.;Yun, K.Y.;Yoo, H.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2호
    • /
    • pp.149-155
    • /
    • 2000
  • The allelopathic effects of Artemisia lavandulaefolia were studied using several test plants and microbes.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compounds of A. lavandulaefolia inhibited seed germination, seedling and root growth of the test species such as Achyranthes japonica. Lactuca sativa,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Oenothera odorata, Plantago asiatica. Aster yomena, Elsholtzia ciliata, and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The root growth of test species was more affected than shoot growth by allelochemicals of 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had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effects. However,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ssential oil was dependent upon the microbial species and concentrations. Callus growth of Oryza sativa,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and Achyranthes japonica was sensitive by the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Twenty three chemicals were identified from A. lavandulaefolia essential oil by gas chromatography. Primary allelochemicals among them were 1, 8-cineole, 1-$\alpha$-terpineol, $\alpha$-terpinene. camphor, 2-buten-1-ol and azulene. We concluded that aqueous extract and essential oil of A. lavandulaefolia were responsible for allelopathic effects.

  • PDF

Allelopathic Effects of Chrysanthemum boreale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the Selected Plants

  • Kim, Tae-Yeong;Kil, Bong-Seop;Woo, Won-Hong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3권6호
    • /
    • pp.431-434
    • /
    • 2000
  • To examine the allelopathic potentials of Chrysanthemum boreale, aqueous extracts and essential oil of the plant were used in these experiments. Seed germination of the receptor species was inhibited by the aqueous extracts and the inhibitory effect wa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oncentration of extracts. In contrast, seedling elongation showed varied results. Achyranthes japonica, Bidens bipinnata, Raphanus sativus var. hortensis for. acanthiformis, Plantago asiatica, Pimpinella brachycarpa and Lactuca sativa were inhibited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extract, while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and Echinochloa crus-galli were stimulated by the extract. Dry weight was also inhibited proportionally by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aqueous extract, while some species were stimulated by a lower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The volatile substances of C. boreale did not affect the seed germination of receptor plants, but seedling elongation and dry weight of some species were inhibited dose-dependently. Root hair development of selected plants was inhibited along with the concentration of essential oil. The above mentioned results, therefore, confirmed that the natural substances from C. boreale had allelopathic potentials to other 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