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축령산 등산로 주변 잡초 식생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Phytosociological Study of Weed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Mt. Chungyeong

  • 발행 : 2003.12.01

초록

경기도의 축령산은 해발 879m로 광주산맥에 이어져 한국의 중부지역 북동부에 위치한다. 축령산 일대에는 한국의 특산식물 및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종이 흔히 분포하는 지역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북방계 식물과 남방계 식물의 한계선이 교차하는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그러나 서울에서 거리가 가깝고 경관이 뛰어나 많은 관광객들의 탐방이 이어지고 있다. 대규모 관광객들의 지속적인 탐방은 등산로를 중심으로 주변 식생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위적인 훼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등산로 주변의 잡초 군락에 대해 2001년 8월에서 2002년 9월까지 식물사회학적인 조사를 수행하여 등산로 주변에 형성된 군락을 유형화하고 그 환경조건을 분석하였다. 등산로 주변 잡초 군락은 6군락 4하위 단위로 구분되었다: A. 질경이 군락, A-a. 개망초 하위군락. A-b. 길뚝사초 하위군락. B. 큰개별꽃 군락, B-a. 대사초 군락. B-b. 가는네잎갈퀴 군락, C. 칡 군락, D. 조록싸리 군락, E. 산딸기 군락, F. 주름조개풀 군락. 이상의 군락을 구성하는 총 식물의 종류는 28과 83속 17변종 120종으로 조사되었다. 주요 출현 식물은 질경이, 개망초, 주걱망초, 칡. 조록싸리, 산딸기, 쑥, 제비쑥. 큰까치수염 등 주로 호광성이며 답압에 강한 식물들로 나타났다. 모든 조사구를 Bray-Curtis 서열법에 의해 서열화한 결과는 대체로 식물사회학적 표 조작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Mountain Chungyeong, 879m in altitude, is located in the northeast of the middle area in Korea. Around Mt. Chungyeong, many Korean endemic and rare plants are populated, so it is considered a very important biogeographical area where the temperature zones of northern and southern plants are crossed. Because it is close to Seoul, a capital of Korea, it is a common mountain where many tourists visit frequently. Continuous tourist's visit may cause a bad influence on vegetation around the climbing paths. Therefor, weed community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Mt. Chungyeong, where visitors exert a bad influence directly on its community by coming in and out, was surveyed phytosocialogically. Our surveys have been accomplished from August, 2001 to September, 2002. weed communities formed around the climbing paths on Mt. Chungyeong were divided into several patterns and analysed. They have been divided into 5 communities and 5 subcommunities. Community A: Plantago asiatica community, A-a: Erigeron annuus subcommunity, A-b: Carex. lanceolata subcommunity, B: Pseudostellaria palibiniana community, B-a: Carex siderosticta subcommunity, B-b: Galium trachyspermum subcommunity, C: Pueraria thunbergiana community, D: Lespedeza maximowiczii community, E: Rubus crataegifolius community, F: Oplismenus undulatifolius community, The flora surveyed in these communities was constituted of 47 families, 101 genera, 17 varieties, and 149 species. Wild plants such as Plantago asiatica, Erigeron annuus, Erigeron strigosus, Pueraria thunbergiana, Lespedeza maximowiezii, Rubus crataegifolius,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Artemisia japonica and Lysimachia clethroides were mostly light loving plants and higher resistant plants against the stamping pressure. Our result from the ranking all surveyed areas by the Bray-Curtis ordination method was very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hytosocialogical table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기상청 (2003.6월) http://www.kma.go.kr
  2.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371쪽
  3. 산림청(1998) 임업통계연보 제28호. 204-210쪽
  4. 송종석(1997) 한국의 경작지 및 휴경지의 잡초군락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0(3): 191-200
  5. 송종석, 안상홍(1999) 구 안동시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군락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2(3): 169-179
  6. 안영희, 김봉찬, 김문홍 (2001) 명지산 생태계 관리를 위한 식물사회학적 식생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2): 125-138
  7. 안영희(2003)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한 청계산 식생구조 분석.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6(1): 15-27
  8. 오용자(1981) 수동면 지역의 식물상. 자연보존연구 보고서 제3집. 한국자연보존협회 25-88쪽
  9. 이남주, 임양재(1988) 천마산 동부 능선 남북사면의 삼림식생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1(4): 213-225
  10. 이유미, 김성식(1997) 명지산의 식물상 및 희귀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3):366-386
  11.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2002)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 학회지 16(1): 104-123
  12.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3. 장창기, 김윤식, 정경숙(1999) 인간 간섭에 따른 소요산 관속식물상의 변화 연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제18집. 한국자연보존협회. 1-18쪽
  14. 佐タ木好之(1979) 植物社會學, 共立出版珠式會社, 東京. 148pp
  15. 生態學實習想談會(1967) 生態學實習書, 朝倉書店, 東京. 336pp
  16. 沼田眞(1962) 植物生態野外觀察の方法. 築地書館. 東京. 396pp
  17.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einer Vegetationskunde. 3. Aufl., Springer, Wien, New York. 865pp
  18. Bray, J. R. and J. T. Curtis(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y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https://doi.org/10.2307/1942268
  19.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1.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nskunde. Eugen Ulmer, Stuttgart. 136pp.
  20. Pielou, E. 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1ey & Sons, New York. 286pp.
  21. Walter, H., E. Harnickell and D. Mueller-Dombois(1975) Climate diagram maps. Springer, New York. 36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