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root-knot nematode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9초

식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당근뿌리혹선충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No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pgyne hapla with Plant Extract)

  • 김형환;추호렬;박정규;이상명;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9-206
    • /
    • 1998
  • 만수국 혼식과 만수국, 잔디, 산검양옻나무, 붉나무 및 양파 등의 식물체 추출액이 토마토에서 당근뿌리혹선충의 기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셔 실험을 수행하였다. 만수국을 토마토와 혼식한 실험에서는 토마토 정식 15일전에 만수국을 이식한 구가 15일 후에 이식한 구보다 당근뿌리혹선충의 발생이 적었으며, 잎과 뿌리의 추출액 처리가 혼식보다 더욱 효과적이었다. 즉 만수국 잎추출액의 원액을 토마토 정식 5일전에 처리한 구의 난낭수는 2.2개, 뿌리추출액의 원액을 처리한 구는 5.6개로서 무처리구의 129.4개보다 현저히 적었다. 또한 잔디 추출액처리의 경우에도 무처리구의 난낭수가 87.2개였던데 비하여 원액 처리구는 21개, 2배 희석액 처리구에서는 28.4개로 적었다. 산검양옻나무, 붉나무 및 양파추출액도 당근뿌리혼선충의 발생을 현저히 억제시켰는데, 무처리구의 난낭수 193.6개에 비하여 산검양옻나무 추출액 원액 5일전 처리구에서는 1.6개, 붉은나무 추출액 원액 처리구는 1.6개, 양파추출액 원액 처리구는 6.2개로서 매우 효과가 있었다.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식물체의 추출액을 토마토 정식전에 처리하는 것이 동시 또는 후에 처리하는 것보다 효과적이었으며 추출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형성된 난낭수가 적었다.

  • PDF

Streptomyces sampsonii KK1024를 이용한 뿌리혹선충 (Root-knot nematode)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Streptomyces sampsonii KK1024)

  • 김상수;강선이;김진시;이용성;홍성현;;김길용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150-1157
    • /
    • 2011
  • 친환경 뿌리혹선충 방제제로써의 활용을 위해 전남 무안 해안가 토양으로부터 chitin 및 gelatin 분해활성이 있는 Streptomyces sampsonii KK1024를 분리하였다. KK1024는 키틴분해효소, 단백질분해효소, 젤라틴분해효소 및 지질분해효소 활성이 있음이 조사되었다. KK1024의 뿌리혹선충 유충 치사 및 알 부화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배양액 50% 처리 시 유충 치사율이 3일째 81%, 알 부화율이 5일째 2%로 나타났다. 또한, 조효소 $183.7{\mu}g\;mL^{-1}$ 처리 시 유충 치사율이 3일째 96%, 알 부화율이 5일째 5%를 나타냈다. 부탄올 추출물질 1% 처리 시 3일째 유충 치사율이 90%, 알 부화율이 0%로 나타났다. 미생물 배양액이 선충 피해 방제와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식물 지상부 무게 및 크기에서 미생물 배양액 처리구가 배지, 비료, 농약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선충 피해 방제에 있어서 미생물 배양액 처리구가 난낭 수, 뿌리혹 수, 토양 내 유충 수에서 농약 처리구 보다는 높게 나타났지만, 배지 및 비료 처리구 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다양한 분해효소 및 살선충 물질을 생성하는 Streptomyces sampsonii KK1024는 뿌리혹선충을 생물학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제제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Nematicidal and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y of Enterobacter asburiae HK169: Genome Analysis Provides Insight into Its Biological Activities

  • Oh, Mira;Han, Jae Woo;Lee, Chanhui;Choi, Gyung Ja;Kim, 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6호
    • /
    • pp.968-975
    • /
    • 2018
  • In the course of screening for microbes with nematicidal activity, we found that Enterobacter asburiae HK169 displayed promising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along with plant growth-promoting properties. Soil drenching of a culture of HK169 reduced gall formation by 66% while also increasing root and shoot weights by 251% and 160%, respectively, compared with an untreated control. The cell-free culture filtrate of the HK169 culture killed all juveniles of M. incognita within 48 h. In addition, the nematicidal activity of the culture filtrate was dramatically reduced by a protease inhibitor, suggesting that proteolytic enzymes contribute to the nematicidal activity of HK169. In order to obtain genomic information about the HK169 isolate related to its nematicidal and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ies, we sequenced and analyzed the whole genome of the HK169 isolate, and the resulting information provided evidence that the HK169 isolate has nematicidal and plant growth-promoting activities. Taken together, these observations enable the future application of E. asburiae HK169 as a biocontrol agent for nematode control and promote our understanding of the beneficial interactions between E. asburiae HK169 and plants.

Screening and Histopathological Characterization of Korean Carrot Lines for Resistance to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Seo, Yunhee;Park, Jiyeong;Kim, Yong Su;Park, Yong;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1호
    • /
    • pp.75-81
    • /
    • 2014
  • In total, 170 carrot lines developed in Korea were screened for resistance to Meloidogyne incognita race 1 to select parental genetic resource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nematode-resistant carrot cultivars. Using the gall index (GI), gall formation was examined on carrot roots inoculated with approximately 1,000 second-stage juveniles of the nematode 7 weeks after inoculation. Sixty-one carrot lines were resistant (GI ${\leq}1.0$), while the other 109 were susceptible (GI > 1.0) with coefficient of variance (CV) of GI for total carrot lines 0.68, indicating low-variation of GI within the lines examined. The histopathological responses of two carrot plants from resistant and susceptible lines were examined after nematode infection. In susceptible carrots, giant cells formed with no discernible necrosis around the infecting nematodes. In the resistant carrot line, however, no giant cells formed, although modified cells were observed with extensive formation of necrotic layers through their middle lamella and around the infecting nematodes. This suggested that these structural modifications were related to hypersensitive responses governed by the expression of true resistance genes. Therefore, the Korean carrot lines resistant to the nematode infection are potential genetic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carrot cultivars resistant to M. incognita race 1.

새로운 채소류의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Resistance of Newly Introduced Vegetable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김동근;류영현;허창석;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9권4호
    • /
    • pp.294-299
    • /
    • 2013
  • 새로운 채소류를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 윤작작물로 추천하기 위하여 7과 13속, 25종, 총 39품종을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땅콩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감수성인 것은 비름과(Amaranthaceae)의 아마란서스와 근대, 낙규과(Basellaceae)의 바우세, 피나무과(Tiliaceae)의 모로헤이야, 메꽃과(Convolvulaceae)의 공심채, 십자화의 청경채, 홍채태(Brassica campestris var. chinensis), 다채(B. campestris var. narinosa), '다청채'(B. campestris var. chinensis x narinosa), 갓, 곱슬겨자(B. juncea), 교나(B. juncea var. laciniate), 채심(B. rapa subsp. arachinenesis), 가이란(B. oleracea var. alboglabra), 로케트샐러드(Eruca sativa), 국화과(Asteraceae)의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엔다이브(Cichorium endivia), 아티쵸크(Cynara cardunculus var. scolymus), 상추(Lactuca sativa)였다. M. incognita에는 저항성이나 M. arenaria에는 감수성인 것은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맛짱, 콜라비(B. oleracea var. gongyloides) cv. 적콜라비, 치커리(C. intybus) cv. 적치커리였다. 두 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것은 치커리(C. intybus) cv. 슈가로프, 구루모, 통콘네로네(radichio treviso), 십자화과의 케일(B. oleracea) cv. 만추콜라드, 슈퍼맛짱 브로콜리(B. oleracea italica), 잎브로콜리(B. oleracea var. botrytis italiana), 꿀풀과(Lamiaceae)의 차즈기, 들깨였다. 2종류의 뿌리혹선충에 모두 저항성인 채소류는 뿌리혹선충이 감염된 시설재배지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저항성 윤작작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Effect of Chitinase-Producing Paenibacillus illinoisensis KJA-424 on Egg Hatching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Jung, Woo-Jin;Jung, Soon-Ju;An, Kyu-Nam;Jin, Yu-Lan;Park, Ro-Dong-;Kim, Kil-Yong;Shon, Bo-Kyoon;Kim, Tae-H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2권6호
    • /
    • pp.865-871
    • /
    • 2002
  • A bacterium having strong chitinolytic activity on $0.2\%$ colloidal chitin-containing agar medium was isolated from coastal soil in Korea.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of conserved segment of a 165 rRNA gene,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as Paenibacillus illinoisensis KJA-424. The population of P. illinoisensis KJA-424 and chitinas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for the first 2 days of incubation. On SDS-PACE analysis with $0.01\%$ glycol chitin, three protein bands (63, 54, and 38 kDa) with chitinolytic activity were detected tooted. The effect of P illinoisensis KJA-424 on the egg hatch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was investigated. After 7 days of incubation with the chitinase-producing P. illinoisensis KJA-424, none of the eggs hatched, whereas a $39.8\%$ egg hatching rate was observed in the water control. Inverte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s demonstrated that P. illinoisensis KJA-424 deformed and destroyed the eggshell of M. incognita. In conclusion, chitinase-produced by p. illinoisensis KJA-424 caused the lysis of M. incognita eggshell and resulted in the inhibition of egg hatching in vitro.

생강 뿌리썩음증상의 병징학, 기생체간 상호작용 및 약제방제 (Symptomatology, Interacton and Management of Rhizome Rot of Ginger by Xenobiotics)

  • 도쉬;마투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1-265
    • /
    • 1987
  • 뿌리썩음증상은 병징에 따라 3가지로 대별되었다. 뿌리썩음증상은 Pythium aphanidermatum을 선접종 후 Fusarium solani를 후접종 하였을 때 가장 심하였다. 뿌리혹선충과 Phthium aphanidermatum과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근경 발아는 각 처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Alliette 0.25%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토양관주에 의한 치료 및 예방효과는 Alliette, Burgandy mixture, 다이센 M-45, 디포라탄이 우수하였으며, 수량도 증가하였다.

  • PDF

유채박 이용 시설하우스 연작재배 시 뿌리혹선충 밀도억제효과 (The Effect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by Using Rapeseed Meal in Continuous Cultivation at Greenhouse)

  • 이후관;이영화;김광수;장영석;최인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3-100
    • /
    • 2015
  • 유채 종자에서 기름을 착유한 후 부산물인 유채박을 토양에 처리하여 토양 내 선충을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를 보면, 유채박을 혼합한 토양이 OM, $Av.P_2O_5$, Ca, Mg, CEC 등의 수치가 증가하였으며, 유기물함량은 무처리 토양보다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채박의 glucosinolate 함량은 제주재래종 유채박이 $199.97{\mu}mol/g$로 선망 유채박의 함량보다 $76.62{\mu}mol/g$ 더 많았으며, 특히 progoitrin, gluconapin, glucobrassicanapin, 및 sinigrin 등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기 때문에 유채박의 선충밀도 감소에 효과가 있으며 '선망' 유채박보다 제주재래종 유채박이 선충밀도를 더 줄여주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Soilborne Diseases of Mulberry and their Management

  • Sharma, D.D.;Naik, V.Nishitha;Chowdary, N.B.;Mala, V.R.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2호
    • /
    • pp.93-106
    • /
    • 2003
  • Soilborne diseases pose a serious problem for mulberry cultivation during nursery plantation and established gardens, which cause severe loss in revenue generation of mulberry growers as compared to foliar diseases. Various soilborne diseases affect mulberry. Among them, root knot and root rot affect the established plantation resulting in severe loss in leaf yield apart from deterioration in leaf quality, which is a pre-requisite in successful sericulture to get the good quality of cocoons. Besides, stem-canker, cutting rot, collar rot and die-back, affect the initial establishment and survivability of mulberry plantation in nursery. The problem is difficult to handle, due to the complex nature of the diseases and also involvement of various biotic and abiotic factors. This is compounded by the occurrence of disease complex (especially nematode + soilborne pathogenic microbes) in established mulberry gardens, which facilitates quick spread of the disease and enhance the plant mortality, resulting substantial loss in leaf yield. Therefore, prevention and timely control measures need to be taken up to protect the mulberry plants from different soilborne plant pathogens. In this review article, symptomatology, epidemiology, disease cycle and control measures of soilborne diseases of mulberry are discussed.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 고추를 선발하기 위한 효율적인 검정법 확립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creening Method for Resistance of Chili Pepper Plants to Meloidogyne incognita)

  • 황성민;장경수;최용호;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2호
    • /
    • pp.282-293
    • /
    • 2016
  •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p.)은 고추(Capsicum spp.)를 포함한 여러 가지과 작물에서 경제적인 손실을 일으키는 주요 식물 병원균 중 하나이다. 이러한 뿌리혹선충에 의한 작물의 피해는 친환경적인 방제법인 저항성 품종의 재배로 줄일 수 있다. 선충병에서는 식물에서 선충의 후대생산이 억제되었을 때 그 식물을 저항성으로 간주한다. 시판 중인 고추(Capsicum annuum) 품종 102개의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감수성 대조 품종인 'PR 희망찬'에 형성된 난낭의 수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실험한 고추 품종 중 44개 품종(43.1%)은 저항성을 그리고 18개 품종(17.6%)은 중도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나머지 40개 품종(39.3%)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뿌리혹선충(M. incognita)에 의해 발생하는 고추 뿌리혹선충병에 대한 효율적인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험한 품종 중 저항성 정도가 다른 6개 품종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들 6개 고추 품종의 접종원 농도, 고추 생육 시기 및 이식 후 배양 기간 등의 발병 조건에 따른 뿌리혹선충에 대한 저항성 차이를 조사하였다. 발병 조건에 따른 품종들의 저항성 차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M. incognita에 대한 고추의 저항성 정도를 검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온실($25{\pm}5^{\circ}C$)에서 21일 동안 재배한 고추 유묘를 원예용 상토와 모래의 혼합토(1:1, v/v)에 이식하고 7일 동안 재배한 고추 유묘에 뿌리혹선충 M. incognita 알 5,000개를 접종하고 온실에서 45-60일 동안 재배하고, 뿌리에 형성된 난낭의 수를 조사하여 감수성 대조 품종인 'PR 희망찬'에 형성된 난낭 수와 비교하여 저항성을 판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