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fat

검색결과 382건 처리시간 0.024초

구릿대(Angelica dahurica) 잎의 유용성분 분석 (Analysis of Components of Angelica dahurica Leaves)

  • 이양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92-496
    • /
    • 2007
  • 구릿대 잎의 한약소재 및 식품 영양학적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일반성분과 환원당, 유리당, 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유도체의 조성 그리고 무기질 함량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이 76.30%로 가장 높았으며 탄수화물 7.58%, 조단백질 4.01%, 조회분 7.87% 그리고 조지방은 4.23%의 비율로 함유하였다. 환원당은 1,687.10 mg/100 g이였으며, 유리당 총 함량은 57.3 mg/100 g으로 나타났다. 구성아미노산은 139.25 mg/100 g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 215.99 mg/100 g으로 alanine이 61.52 mg/100g으로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 유도체는 101.39mg/100 g으로 ${\gamma}-aminoisobutyric$ acid가 78.26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무기질은 K가 2,135.03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Cu(916.47 mg/ 100 g), Mg(39.35 mg/100 g), Me(2.97 mg/100 g) 등이 분석되었다.

RI검출 바이오칩의 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인자 검지에 대한 타당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RI Biochip Application to Detection of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 고경철;최미희;박상현;조경현;이기택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29
    • /
    • 2009
  • Microarrays can be used to screen thousands of binding events in a parallel and high throughput fashion and are of major importance in disease diagnosis and drug discovery. The use of radioisotope is conventionally regarded as one of the most sensitive detection methods. Atherosclerosis is a common disorder affecting arterial blood vessels. It happens when fat, cholesterol, and other substances made in the arterial blood vessels form a hard substances called plaque. Lipoprotein-associated phospholipase $A_2$ ($Lp-PLA_2$), a phospholipase $A_2$ enzyme, is used as a marker for cardiac disease. The detection of $Lp-PLA_2$ was accomplished by using radioactive [$^3H-acetyl$] PAF as a substrate and a feasibility study on RI biochip application to detection of $Lp-PLA_2$, a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was performed. Inhibitive activity of a native plant extract was also determined by using the RI biochip. It was found to be applicable to a high-throughput screening of inhibitors for developing atherosclerosis therapeutic agents.

Enhanced oxidative stability of meat by including tannin-rich leaves of woody plants in goat diet

  • Garcia, Elisa Mariana;Lopez, Agustin;Zimerman, Maria;Hernandez, Olegario;Arroquy, Jose Ignacio;Nazareno, Monica Azucen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439-1447
    • /
    • 2019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etary incorporation of tanninrich woody species on meat oxidative stability,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oats. Methods: Two tannin-rich species were tested using a three-treatments feeding trial, where treatments consisted of: Larrea divaricata and Acacia aroma both at 12.5% in dry matter basis of the diet and a control diet (alfalfa hay). All feeding diets were iso-protein and iso-energy. Carcass conformation, carcass compactness, carcass fatness and subcutaneous fat deposition were evaluated. Intake, liveweigh, Longissimus thoracis et lumborum muscles of goats were analyzed in order to evaluate quality parameters such as pH value, instrumental color evaluation, water holding capacity, total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activity, meat oxidative stability and fatty acid profiles in meat. Results: Feed intake, liveweight gain, carcass, and meat traits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Changes in meat lipid profile among treatments were observed for oleic and elaidic acid contents. Meat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although, meat oxidative status after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s well as under refrigerated and frozen conditions were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both supplemented groups. Conclusion: The inclusion of Acacia aroma and Larrea divaricata leaves in goat diet enhanced meat oxidative stability. Modulation of the ruminal biohydrogenation of fatty acids produced by condensed tannins of these plant species need to be further investigated.

Determination of Fat Accumulation Reduction by Edible Fatty Acids and Natural Waxes In Vitro

  • Issara, Utthapon;Park, Suhyun;Park, Sungkw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30-445
    • /
    • 2019
  • Natural edible waxes mixed with plant oils, containing high levels of unsaturated fatty acids (FAs), are known as oleogels. Oleogels are used for replacing saturated FAs in animal-derived food with unsaturated FAs. However, the health effects of edible waxes are not yet clearly defi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s and natural waxes on the adipogenesis in 3T3-L1 cells. The 3T3-L1 cells were differentiated and treated with FAs and waxes. These FAs [Palmitic acid (PA), Stearic acid (SA), Oleic acid (OA), Linoleic acid (LA), and Alpha-linolenic acid (ALA)] and waxes [beeswax (BW) and carnauba wax (CW)] were prepared at varying concentrations, and cell toxicity, triglyceride accumulation, lipid droplets size, and distribution inside of cells were determined. Adipogenic gene expression including $PPAR{\gamma}$, FASN, $C/EBP{\alpha}$, SREBP-1, and CPT-1 was determined.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FAs and waxes led to a decrease in the adipocyte cells viability and metabolic performance. SA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riglyceride accumulation (p<0.05), whereas ALA showed the lowest (p<0.05). Both BW and CW at 3.0 ppm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pid accumulation than in the control and other groups (p<0.05). ALA had significantly downregulated adipogenic gene expression levels, excluding those of CPT-1,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 groups (p<0.05). Moreover, BW demonstrated similar adipogenic gene expression levels as ALA compared to CW. Consequently, ALA and BW may have health benefits by reducing adipogenesis and can be used in processed meat.

Association between dietary intake, body measurements, and urinary bone resorption markers in young adults with osteopenia and osteoporosis: a cross-sectional study

  • Mi-Hyun Kim;Mi-Kyeong Choi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82-292
    • /
    • 2023
  • Objectives: Bone health in early adulthood, as individuals approach peak bone mass, plays a critical role in preventing osteoporosis later in lif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lifestyle and dietary factor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urinary bone resorption markers in young adults.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00 healthy Korean adults (50 men and 50 women) in their 20s and early 30s. Bone mineral density (BM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dietary intake (24-hour recall), and urinary bone resorption indicators (deoxypyridinoline and N-terminal 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were analyzed.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osteopenia and osteoporosis groups (OSTEO group: 30% men and 60% women)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Results: Men in the OSTEO group were significantly tall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 0.05). Women in the OSTEO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body weight and body composition (muscle and body fat)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1). Men in the OSTEO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animal calcium (Ca) than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5). Women in the OSTEO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ietary fiber, vitamin A, Ca, plant Ca, and potassium intake than did those in the normal group (P < 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ffeinated beverage consumption, eating habits, or urinary bone resorption indicators between the OSTEO and control groups of either sex. Conclusions: In our study of young South Korean adults, we observed low bone density levels, with particularly low BMD in taller men and underweight women. We found a higher nutrient intake in the OSTEO group,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reverse causality, a phenomenon often found in cross-sectional studie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urther elucidate dietary factors related to osteoporosis in young adults through prospective cohort studies involving a larger population.

예취시기가 답이작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건초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Dates on Hay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in Paddy Field)

  • 김영두;채재석;박태일;장영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72-376
    • /
    • 1992
  • 답이작 지대에서 이탈리안라이스라스의 자연건조에 의한 건초생산 시기를 결정하고자 예취시기를 달리한 후 건조시간, 건초함량율, 수량 및 영양가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4월중순 이후부터 증가율이 컸으며 엽중비율은 4월20일에는 55.6%이었으나, 5월30일에는 18.9%로 생육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다. 2. 5월10일 이후부터 예취후 4일 건조시에 건초함량율은 17.1%~20.5%이었으며 건초 손실율은 10.2~15.0%이었다. 3.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TDN 함량은 생육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나 조직유 및 NFE함량은 증가하였다. 4. 건물수량은 2회수량은 2회예취인 4월20일+5월30일 예취의 977kg /10a보다 1회예취인 5월20일, 5월30일 예취가 17~18% 증수하였으며 TDN 함량도 5~11% 증수하였다.

  • PDF

사료 발효원으로 느타리버섯 종균이 흰점박이꽃무지 생육에 미치는 영향 (Role of oyster mushroom as an alternative fermentation source in the growth of white-spotted flower chafer(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 김미혜;박장우;김미정;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9권4호
    • /
    • pp.471-478
    • /
    • 2021
  • 흰점박이꽃무지(Protaetia brevitarsis seulensis) 유충의 대체사료인 한약재 부산물 발효원인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rganism, EM)과 느타리버섯 종균(Oyster mushroom fungi, OM)을 비교하였다. 각 발효된 사료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조회분을 제외한 조단백, 조지방, 조섬유 함량이 OM 발효사료에서 높게 나타났다. 각 발효된 사료로 사육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각 발효사료별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체중을 주별 비교 분석한 결과, 3주차 관찰시기부터 EM과 OM을 이용한 사료에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 평균중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유충 사육 시 생존율은 발효사료의 경우 동일하게 96.7%이나, 비발효사료의 경우 9.8%로 매우 낮았다. 본 실험결과, 흰점박이꽃무지의 생육에 먹이 원의 발효는 꼭 필요했으며, OM은 EM을 대체할 수 있는 흰점박이꽃무지 대체사료의 발효원으로 더 안정적이었다.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케일의 생육 및 글루코시놀레이트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ficial Light Sources on Growth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Hydroponically Grown Kale in Plant Factory)

  • 이광재;허정욱;정충렬;김현환;조정수;이준구;이경자;남상영;홍의연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77-82
    • /
    • 2016
  • 본 연구는 식물공장 인공광원이 수경재배 케일의 생육, 수량 및 글루코시놀레이트(GL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인공광원으로 LED B:W(1:1, BW), R:B:W(2:1:3, RBW), BW+형광등(1:1+FL, BW+FL) 등 3처리를 하였다. 수확 엽수와 엽중은 BW+FL이 BW와 RBW보다 우수하였다. 엽장은 BW+FL에서, 엽폭은 RBW가 우수하여 다른 처리와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과 'L' 값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a' 값과 'b' 값은 BW+FL에서 가장 낮았다. GLS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glucobrassicin, glucoiberin, gluconasturtiin, sinigrin, progoitrin, glucoraphamin, epiprogoitrin 순으로 많았으며, 총 GLS 함량은 RBW에서 가장 높았다. 잎의 수분 함량,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 회분 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광은 생육과 2차 대사산물의 합성에 차이가 나타내며, 기능성 향상을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목초액 단기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항산화 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rt-Term Ingestion of Wood Vinegar on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Trained Rats)

  • 이수천;김동기;김재우;서효빈;이윤경;전병덕;이동운;류승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30-336
    • /
    • 2009
  • 본 연구는 목초액의 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항산화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대상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는데 실험그룹은 비운동 대조군과 운동 대조군, 목초액 섭취 비 운동 대조군, 목초액 섭취 운동 대조군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체중과 혈중성분 변화, 글리코겐 함량, SOD 활성 수준, MDA 함량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체중과 체지방(장간막, 복막후, 부고환)은 각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G와 FFA 농도도 목초액 섭취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Glucose 농도는 대조군 보다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목초액 섭취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목초액 투여 운동군에서의 SOD 활성은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운동 대조군에서의 MDA 함량은 비운동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대조군과 목초액 투여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운동과 목초액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흑조위축병에 나병된 옥수수의 형질변화와 사료가치 (Agronomic Characters and Feed Value of Corn Infected by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 이석순;이진모;최상집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9-235
    • /
    • 1988
  • 옥수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한 남부 지방에서 나병성인 수원 19호와 포장저항성인 진주옥을 공시하여 흑조위축병 나병정도가 옥수수의 여러 가지 재배 형질, 사료가치 및 무기양분의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교잡종 모두 흑조위축병에 100%나병되었으나 간장의 단축정도는 수원 19호가 진주옥보다 더 심하였고, 개체별 간장과 담근먹이 무게 사이에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2. 간장이 단축될 경우 두 교잡종 모두 상위 5마디의 절간장이 크게 단축되었다. 그러나, 간장단축이 심할 경우에도 수원 19호는 마디수가 감소되지 아니했으나 진주옥은 마디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3. 간장이 단축될수록 두 교잡종 모두 자수착생주율, 평균자수중, 자수당립수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같은 정도로 간장이 단축될 경우 자수착생주율은 진주옥이 수원 19호보다 더 높았다. 100립중은 수원 19호는 간장이 작을수록 감소하였으나 진주옥은 간장과 상관없이 일정하였다. 4. 간장이 단축될수록 두 교잡종 모두 담근먹이의 조단백질과 조섬유 함량은 증가하였고, 조지방은 차이가 없었으며, 가용성 무질소물은 감소하였다. 5. 간장이 단축될수록 간+엽초와 전식물체의 N, P, K, Mg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엽신 및 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엽신의 Ca농도는 간장이 단축될수록 감소하였고, 간+엽초와 전식물체의 Ca은 증가하였으며, 자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