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ileus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9초

재배기간이 짧은 갈색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의 육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and breeding of a new brown variety 'Geumhyang' with short cultivation period in Flammulina velutipes)

  • 김민자;장후봉;최재선;이관우;주경남;김이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2-96
    • /
    • 2015
  • 팽이버섯 신품종 '금향'은 '갈뫼'와 수집 야생균주인 'CBMFV-33'으로부터 분리한 단포자를 교배함으로써 육성된 품종으로, 갓 색이 진한 미색을 나타내며, 재배기간이 짧다. 병재배 시 배양 기간은 23일, 초발이 소요일수는 7일, 생육일수는 17일로 총재배기간이 47일이 소요되어 대조품종 '갈뫼'에 비해 7일이 단축되었다. 갓 직경은 '갈뫼'에 비해 크고, 갓 색은 진한 미색을 나타냈다. 수량은 850 ml 병 당 162 g으로 '갈뫼' 대비 8% 증수되었다. 또한 야생 팽이버섯처럼 식미감도 우수하여, 차별화된 색과 맛으로 백색 팽이버섯의 틈새시장 공략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느타리버섯 신품종 '대장3호'의 육성 (Breeding of a new oyster mushroom cultivar 'Daejang 3ho')

  • 이정우;한용식;신평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35-138
    • /
    • 2015
  • 갓색이 진한 장안5호와 기존에 다포자임의교배법으로 육성된 대가 길고 두꺼운 특징을 가지는 대장1호를 Di-mon교잡하여 '대장3호'를 육성하였다. 갓색은 진회색이며 갓모양은 깊은깔때기형이다. 대길이와 대굵기는 각각 77.4 mm와 13.5 mm로 춘추2호보다 두껍고 길었다. 초발이는 4-5일로 춘추2호와 비슷하였으며, 생육온도는 $14-17^{\circ}C$로 조금 낮은 편이었다. 춘추2호와 비교하여 수량은 13.9% 높았다. 생육시 습도가 높으면 춘추2호와 '대장3호'는 대표면이 회백색을 띄기도 하였다. URP-primer를 사용하여 RAPD를 하였으며, URP primer #03, #08, #10, #11에서 '대장3호'와 모균주, 그리고 다른 교잡균주들과 동일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대조직의 물리적 특성은 깨짐성과 응집성은 춘추2호보다 컸으며, 강도와 경도, 씹힘성은 춘추2호보다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광환경에 따른 잣버섯의 생육특성 (Growth properties of Neolentinus lepideus according to the light environment)

  • 장명준;이윤혜;조용구;구한모;오태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28
    • /
    • 2015
  • 광조사 유무에 따른 수량성 조사 결과 수량은 점등처리구에서 많았으나 상품수량은 소등처리구에서 많았고, 생육특성은 점등처리구가 소등처리구 보다 갓과 대의 형태 모두 작은 경향이었다. LED광원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자실체의 발육기간은 주황색광 및 적색광에서 길었고, 수량은 청색광 및 녹색광에서 많았다. 그리고 유효 경수는 청색광에서 많았으나 상품수량은 주황색광과 적색광에서 많았다. 이와 같은 결과 잣버섯의 경우 파장이 짧을수록 갓의 크기가 커지는 경향이었고, 파장이 길수록 대의 길이는 커지는 경향이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ikaryotic Mutants from Pleurotus ostreatus by UV Irradiation

  • Joh, Joong-Ho;Kim, Beom-Gi;Kong, Won-Sik;Yoo, Young-Bok;Chu, Kyo-Sun;Kim, Nam-Kuk;Park, Hye-Ran;Cho, Bong-Gum;Lee, Chang-Soo
    • Mycobiology
    • /
    • 제32권2호
    • /
    • pp.88-94
    • /
    • 2004
  • Protoplasts of the wild type strain of Pleurotus osteatus were mutagenized with UV light, and 3,000 colonies were examined for abnormal mycelial and fruiting phenotypes. Forty one strains displayed variant phenotypes in mycelia and fruiting processes. The variant phenotypes were classified into 6 groups: (1) auxotrophic strains, which are incapable of growing on minimal media and can only grow when provided with their specific requirements; (2) abnormal vegetative strains, which grow very slowly on minimal and complete media; (3) primordiumless strains, which fail to develop to the formation of primordia; (4) maturationless strains, which form primordia, but do not form mature fruiting bodies; (5) specifically colored strains, which have Specific bluish grey or bluish white pileus; (6) poorly spored strains, which fail to produce basidiospore or which produce few spores. These variant strains may be useful in genetic breeding programs and for the studies of fungal development and genetics.

버섯 자실체의 현존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 (Allometric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Standing Biomass of Basidiocarps)

  • 허은복;유영한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55-59
    • /
    • 2009
  • 버섯은 생태계에서 분해자로 역할을 담당하며, 그 양은 생태계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이다. 버섯의 생산량을 알기 위해서는 개체를 수확하여 그 무게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버섯 개체를 수확할 때 서식지를 훼손하고, 또한 한 지역에서 버섯의 동태를 장기적으로 관찰하는데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실체의 외부 형질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현존량을 추정하는 비례식을 만들었다. 사용한 버섯은 표고(L. edodes), 느타리(P. ostreatus), 팽이버섯(F. velutipes)과 종버섯(C. tenera)이다. 버섯의 자실체에서 형질 변수(갓 직경, PD; 갓 면적, PA; 대 길이, SL; 대 두께, ST)를 측정하고, 이 변수로부터 건조 생물량과의 회귀관계식을 구하였다. 그 결과 버섯 4종 모두 추정한 식에서 유의한 상관성을 보임으로써(p < 0.05), 외부 형질 변수로부터 유도된 비례식을 사용하여 버섯의 현존량을 예측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야생수집균주간 교잡으로 육성된 팽이버섯 갈색 신품종 '갈뫼'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 new brown commercial strain "Garlmoe" of Flammulina velutipes developed by crossing between wild collected strains)

  • 공원식;유영복;전창성;장후봉;최재선;김광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6권3_4호
    • /
    • pp.115-120
    • /
    • 2008
  • 야생에서 수집한 균주를 이용하여 우량 단핵계통을 선발하고, 선발한 단핵주를 이용하여 교잡을 통하여 새로운 품종 '갈뫼' 를 육성하였다. 갈뫼 품종은 균사배양 최적온도는 $25^{\circ}C$, 자실체발생 적온은 $14^{\circ}C$, 생육온도는 $7{\sim}180^{\circ}C$이었다. 갈뫼 자실체의 갓색깔은 갈색이며, 대기부는 진갈색으로 전형적인 야생팽이의 특성을 가셨고, 갓표면에 다소의 점성이 있었다. 갈뫼는 갈색 다수성 품종으로 발이가 고르고, 대가 곧고 강하며, 갓은 반반구형으로 생산력이 안정적이었다. 또한 갈뫼는 조리시 백색팽이 보다 씹는 저작감이 우수하므로 이를 홍보에 적극 이용할 필요가 있다.

  • PDF

Browning technology for shiitake in sawdust using LED source

  • Koo, Jinmo;Lee, Sang-Hwa;Lee, Sung-Hak;Park, Woo-Ram;Hwang, Jae Soon;Kim, Minkyeong;Jun, Hyungseo;Jung, Hee-Young;Jo, Woo-Si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31-333
    • /
    • 2018
  • The incorporation of Shiitake culture into sawdust is a widely utilized technique that can assist in reducing the cost and time consumption associated with oak cultivation. In sawdust cultivation, browning of the surface mycelia is an important stage with respect to the utility and longevity of the sawdust media. Surface browning forms a protective coating on the substrate, which can inhibit the invasion of pathogens and suppress water evaporation. Several different light sources (red LED, white LED, blue LED, and fluorescent light) were used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was carefully controlled (1.5, 10.5, $20.5{\mu}mol/m^2s$ for LEDs and 10, 100, 300 lux for the fluorescent light) to induce browning. The light sources were regulated via a 1 h on/off cycle in a controlled room environment at a temperature of $20^{\circ}C$, 60% humidity, and 1200 ppm $CO_2$ concentration for 60days. The browning effect varied depending on the source and the intensity of illumination. This effect was most effectively induced at $1.5{\mu}mol/m^2s$ for the red and blue LEDs. All light sources induced less browning at the highest intensity of illumination. This indicates that intensity values higher than $20.5{\mu}mol/m^2s$ in the case of the LEDs and 300 lux for the fluorescent light are not effective. After harvesting of the fruit bodies, we measured the weight, length, and width of the pileus and stipe in addition to their chromaticity and hardness. Treatment with $1.5{\mu}mol/m^2s$ blue LED produced the best harvest with the highest average chromaticity, weight (21.2 g), stipe length (30.8 mm), and hardness (377.9 g), with a fine length and width of the pileus.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면실박의 첨가비율에 따른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in bottle cultivation with addition of cottonseed meal)

  • 이찬중;이은지;박혜성;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62-166
    • /
    • 2019
  • 느타리버섯 재배에서 영양원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면실박의 첨가비율은 12%이상이면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면실박을 12~18% 첨가된 배지에서는 균사생장량은 13.9~14.0 cm로 균사생장이 대조구와 같거나 조금 빨랐다. 그러나 면실박을 10% 이하 첨가한 배지에서는 대조구보다는 균사생장이 느렸다. 면실박 첨가량에 따른 균사밀도는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높은 밀도를 보였다. CN율은 면실박 2%첨가에서 42.5, 면실박 10%첨가에서 26.8, 면실박 12%첨가에서 25.4였으며, 면실박 16% 첨가에서는 20.4 그리고 면실박 18% 첨가에서는 18로 대조구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갓 직경과 두께는 면실박 14%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대의 굵기는 면실박 12% 첨가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대와 갓의 경도는 면실박 16% 첨가된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면실박이 적게 첨가된 처리구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a, b 값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병당 수량은 대조구가 147.2 g/850 ml였고, 면실박 12% 첨가에서 147.6 g/850 ml으로 대조구보다 조금 높았다.

SNP-Based Genetic Linkage Map and Quantitative Trait Locus Mapping Associated with the Agronomically Important Traits of Hypsizygus marmoreus

  • Oh, Youn-Lee;Choi, In-Geol;Jang, Kab-Yeul;Kim, Min-Seek;Oh, Min ji;Im, Ji-Hoon
    • Mycobiology
    • /
    • 제49권6호
    • /
    • pp.589-598
    • /
    • 2021
  • White strains of Hypsizygus marmoreus are more difficult to cultivate than are brown strains; therefore, new white strain breeding strategies are required. Accordingly, we constructed the genetic map of H. marmoreus with 1996 SNP markers on 11 linkage groups (LGs) spanning 1380.49 cM. Prior to analysis, 82 backcrossed strains (HM8 lines) were generated by mating between KMCC03106-31 and the progenies of the F1 hybrid (Hami-18 × KMCC03106-93). Using HM8, the first 23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of yield-related traits were detected with high limit of detection (LOD) scores (1.98-9.86). The length, thickness, and hardness of the stipe were colocated on LG 1. Especially, length of stipe and thickness of stipe were highly correlated given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negative (-0.39, p value ≤ .01). And a typical biomodal distribution was observed for lightness of the pileus and the lightness of the pileus trait belonged to the LG 8, as did traits of earliness and mycelial growth in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Therefore, results for color traits can be suggested that color is controlled by a multi-gene of one locus. The yield trait was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raits for thickness of the stipe (-0.45, p value ≤ .01). Based on additive effects, the white strain was confirmed as recessive; however, traits of mycelial growth, lightness, and quality were inherited by backcrossed HM8 lines. This new genetic map, finely mapped QTLs, and the strong selection markers could be used in molecular breeding of H. marmoreus.

미송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의 최적 배지 조성과 버섯의 β-glucan 함량 비교 (Optimal Medium Composi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latifolia) Cultivation Using Douglas Fir Wood Chip and Comparison of The β-glucan Contents of The Fruiting Body)

  • 왕승진;김현석;위안진;윤병선;박화식;박형호;오득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28-438
    • /
    • 2014
  • 최근 다양한 언론매체 및 국내외 연구논문들을 통해 꽃송이버섯의 기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꽃송이버섯의 농가 대량재배 일반화를 위하여 최적톱밥 입자크기 및 ${\beta}$-glucan 함량이 높은 재배법 연구를 수행한 결과 T7 (1~2 mm 25%, 2~4 mm 50%, 4 mm 이상 25%) 배지와 같이 입자크기가 일정비율로 혼합된 배지에서 $11.5{\pm}1.0$ cm/44 days로 비교적 우수한 균사생장을 보였으며 자실체생산 역시 대조구보다 높은 $142.9{\pm}17.7g$의 생중량으로 상품성이 있는 꽃부분이 85%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배지조성 조건에 따른 ${\beta}$-glucan 함량은 모든 자실체에서 꽃부분에 비해 기부가 1.4~2.4배의 높은 함량을 보였고 이 중 이스트 300 ppm이 첨가된 PCF300 (미송 + 옥수수분말 + 소맥분 + 이스트 300 ppm) 배지의 꽃송이버섯 기부가 59.5%로 가장 높은 ${\beta}$-glucan 함량을 나타냈다. 그러나 꽃부분에서는 비교적 낮은 33.0%의 함량을 보여 꽃부분의 ${\beta}$-glucan 함량을 높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꽃송이버섯 재배시 T7조건인 1~2 mm 미송톱밥 25%, 2~4 mm 미송톱밥 50%, 4 mm 이상 미송톱밥 25%의 비율로 톱밥입자 크기를 조절한후 옥수수분말과 소맥분을 첨가하여 배지조제후 이스트 300 ppm첨가하면 ${\beta}$-glucan 함량이 높은 꽃송이버섯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