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toxic activit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2초

생분해성 광활성 물질 5-aminolevulinic acid의 제초활성 (Herbicidal Effect of 5-Aminolevulinic Acid, a Biodegradable Photodynamic Substance)

  • 천상욱;김영민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45
    • /
    • 2007
  • 미생물학적으로 생산된 것과 합성된 2종류의 ${\delta}$-aminolevulinic acid(ALA)가 배추의 생장과 엽록소 함량에 미치는 제초활성을 탐색하기 위해 실험실 및 온실시험을 수행하였다. 초기 유묘의 생장에 미치는 ALA의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여 반응을 보이며 높은 농도에서 유의적인 억제효과를 보였다. 발생 전 및 발생 후 처리된 ALA는 유의적인 정도의 광활성을 나타냈다. 많은 잎을 가진 엽령의 유묘는 적은 엽령의 유묘보다 ALA에 대해 더 내성을 보였다. 미생물학적으로 생산된 것과 합성된 ALA간의 제초효과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합성된 ALA의 잔류성과 물리화학적 특성은 미생물학적으로 생산된 ALA의 그것 보다 더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잡초발생 전후 처리한 ALA의 제초활성이 인정되었으며 그 화합물은 천연 미생물 제제로 가치 있는 친환경 잡초방제 수단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들깨(Perilla frutescens)와 쑥(Artemisia asiatics)잎으로부터 휘발성 타감 작용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Volatile Allelochemicals from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and Artemisia asiatica)

  • 임선욱;서영호;이영근;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2호
    • /
    • pp.115-123
    • /
    • 1994
  • 본 연구는 들깨와 쑥 잎의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하고, 그 성분을 동정하려 한 것이다. 휘발성분을 벼, 무우, 녹두, 상치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하여 휘발성 타감작용을 확인했다. 휘발성분을 headspace cold trapping-Tenax GC 흡착으로 분리하여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4종, aldehyde 3종, alcohol 3종, 탄화수소류 3종, 기타 성분 1종을 동정하였으며, 쑥으로부터는 terpenoid 9종, aldehyde 3종, alcohol 1종, 기타 성분 1종을 검출하였다. 한편, 수증기 증류-추출로 포집한 경우에는, 들깻잎으로부터 terpenoid 2종, alcohol 2종의 동정되었으며, 쑥 잎으로부터는 terpenoid 6종, alcohol 1종, 탄화수소류 1종, 기타 성분 2종이 검출되었다. 수증기 증류-추출로부터 나누어진 각 분획을 무우를 대상으로 생물검정한 결과 중성 분획이 가장 타감작용 활성이 컸다. 휘발성 타감작용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이를 GC-MS로 분석한 결과, 들깨로부터 terpenoid 7종과 alcohol 2종 등 9종을 동정하였고, 쑥으로부터 terpenoid 15종과 alcohol 3종, aldehyde 1종, 탄화수소류 2종, 기타 성분 3종 등 24종을 동정하였다.

  • PDF

Fusarium oxysporum이 생산하는 dehydrofusaric acid의 몇 가지 식물 생육에 대한 활성 (Phytotoxicity of dehydrofusaric acid isolated from Fusarium oxysporum against several plants)

  • 홍경식;최경자;김흥태;황인택;조광연;김진철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02-208
    • /
    • 2002
  • 피에서 분리한 Fusarium oxysporum균주로부터 여러 번의 chromatography를 통하여 좀개구리밥의 생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분리하였다. 질량분석과 핵자기공명분석을 통하여 이 물질은 dehydrofusaric acid로 동정되었다. Dehydrofusaric acid는 좀개구리밥의 생장에 대한 $EC_{50}$ 값이 $1.5{\mu}g/ml$로 매우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물질은 식용피, cress, 강피 및 동진벼의 뿌리의 생장도 억제하였으나, 식용피와 cress의 발아 및 네 가지 식물의 지상부의 생장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다.

우리 나라에서 수집한 새포아풀의 분류 및 특성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nual Bluegrass(Poa Annua L.) Collected from Golf Courses in Korea)

  • 태현숙;신동현;김길웅;신홍균
    • 한국잔디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잔디학회 2002년도 제15차 한국잔디학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3-5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better understandings about morphological, ecological, and genetical characteristics of annual bluegrass collected from different golf courses in Korea and eventually to establish a successful control strategy. Twenty five local lines of annual bluegrass collected from 20 golf courses in Korea were classified into annual or perennial type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welve local lines showing obvious morphological differences were selected and then genetically assessed using RAPD analysis. Classification of the 12 local lines through RAPD analysis were considerably similar to that determined by both of morphological differences and phenotype. Responses of the two types of annual blugrass to herbicides were also examined. Shoot growth of annual bluegrass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by flazasulfuron and the annual type was more susceptible than perennial type, regardless of flazasulfuron concentrations used. By pendimethalin treatment, there was no clear difference in susceptibility between the two types of annual bluegrass. However, by the treatment of dithiopyr, annual type was more sensitive than perennial type in both shoot and root growth. Nine tree species were screened to detect their allelopathic potential on turfgrasses and annual bluegrass. Acacia (Robinia pseudo-acacia) leaves showed selective inhibition in the shoot and root growth as well as their seed germination when treated with 2% and 10%(v/v) of the extract. However, the other leaf extracts except acacia inhibited non-selectively the growth of three turfgrass species such as bentgrass, perennial ryegrass and zoysiagrass and annual bluegrass. The PAL activities of annual bluegrass increased at 24 h after treatment of acacia leaf extract and peaked at 36 h and then decreased till 60h. The highest PAL activity was observed at 36h after treatment of 10%. The highest activity of CA4H in annual bluegrass was observed at 2h after treatment of acacia extract and the level was 4 time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henolic acids such as p-coumaric acid, salicylic acid and ferulic acid were increased with the treatment of acacia leaf extract. The chloroplast membrane and cell wall of annual bluegrass were destroyed by treatment of acacia leaf extract and its inner materials were released. The membranes in annual bluegrass cells might be destroyed by phytotoxic compounds from acacia leaf extract.

  • PDF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에 대한 살충활성과 방제효과 (Activity and control effects of insecticides to American serpentine leafminer, Liriomyza trifolii(Diptera: Agromyzidae))

  • 김길하;이영수;박선영;박용석;김정화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6-5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3종의 살충제에 대한 아메리카잎굴파리 (Liriomyza trifolii)의 발육단계별 약제감수성을 조사하고, 약제를 선발하여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아메리카잎굴파리 알에 대해서는 spinosad가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약제들은 살충활성이 낮았다. 갓 부화한 유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 chlorpyrifos, milbemectin이 90%이상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유충 ($2{\sim}3$령)에 대해서는 abamectin, cartap,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diflubenzuron +chlorpyrifos가 95% 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번데기에 대해서는 cartap + buprofezin이 98.6%의 놀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고, 성충에 대해서는 모든 약제가 70% 이하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알에 대해서 emamectin benzoate와 milbemectin은 각각 53.3, 47.9%로 중간정도의 엽면침투이행성을 보였으며, 나머지 약제들은 낮았다. 유충과 성충에 대한 침투이행효과는 시험한 6약제 모두 30% 이하이었다.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의 잔효성은 약제처리 후 10일째까지 각각 91.4, 90.4, 91.9%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4일째에도 85%이상의 살충활성을 나타냈다. 방제효과 시험에서 abamectin, cyromazine,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약제처리후 14일째까지 각각 96.0, 97.4, 94.5, 95.4%의 놀은 방제가를 나타냈다. Cartap과 cartap + buprofezin이 강남콩잎에 약해를 나타내었으나 그 외 약제들은 약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abamectin, emamectin benzoate, milbemectin은 아메리카잎굴파리의 방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잡초종(雜草種)에 대한 Paraquat 독성(毒性) : 내성종(耐性種)과 감수성(感受性) 종간(種間)의 반응(反應) 차이(差異) (Paraquat Toxicity in Weed Species : Difference in Physiological Responses between Tolerant and Susceptible Species)

  • 강병화;심상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4-231
    • /
    • 1995
  • Paraquat에 대한 잡초종(雜草種)의 다양한 반응(反應)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한다. Paraquat에 대하여 내성종(耐性種)과 감수성종(感受性種)은 가시적(可視的)인 피해율(被害率)의 차이(差異)를 비롯하여 체내(體內) 물질(物質) 변화(變化)의 차이(差異)는 물론 체내(體內) 효소(酵素) 활성(活性)의 차이(差異) 등을 나타났다. 내성종(耐性種)은 paraquat에 의한 photosystem II의 활성(活性) 저하(低下) 정도가 감수성종(感受性種)보다 작았으며, 지질(脂質)의 과산화(過酸化) 정도(程度) 역시 내성종(耐性種)에서 낮았다. 체내(體內) 물질(物質) 중 엽록소(葉綠素)는 paraquat에 의해 줄어들었으나 환원당(還元糖)의 경우는 paraquat의 농도(濃度)가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항산화제(抗酸化劑)인 glutathione의 경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함에 따라 함량(含量)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내성종(耐性種)과 감수성종(感受性種)의 구분은 뚜렷하지 않았다. 항산화효소(抗酸化酵素)인 glutathione reductase의 활성(活性)은 내성종(耐性種)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uperoxide dismutase의 경우는 paraquat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活性)이 증가하였다. 체내대사(體內代謝)의 주요 효소(酵素)들인 catalase, NADPH-cytochrome c reductase,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活性)은 catalase의 경우 저농도(低濃度)의 paraquat에 의해서는 활성(活性) 저하(低下) 정도(程度)가 낮은 반면 나머지 두 효소(酵素)는 저농도(低濃度)에서부터 급격한 활성저하(活性低下)가 나타났다.

  • PDF

오이 흰가루병 방제 효과가 우수한 계면활성제 (Surfactants Effective to the Control of Cucumber Powdery Mildew)

  • 유주현;최경자;임희경;김흥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2권4호
    • /
    • pp.195-199
    • /
    • 2009
  • 현재 산업적으로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계면활성제 중에서 임의로 선택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온실 내에서 자연적으로 흰가루병 발생을 유도한 성체 오이에 분무 살포한 후 병 방제효과를 측정함으로써 약해 유발이 없으면서 병 방제 효과가 우수한 계면활성제를 선발하였다. 이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DBEDC 희석액과 혼합처리하여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력의 변화를 조사함으로써 합제개발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시험한 20종의 계면활성제 중에서 pentaet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 pentaethylene glycol monodecyl ether와 pentaethylene monododecyl ether의 혼합물 및 pentaethylene glycol mono-9-octadecenyl ether 등이 약해를 거의 유발하지 않으면서 흰가루병에 대한 높은 방제 효과를 보였는데, 그 효과는 fenarimol 유제보다 우수하거나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pentaethylene glycol monododecyl ether는 예방효과가 우수한 DBEDC와 혼합처리 하였을 때 서로 상가적으로 작용하여 현저하게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Dithiopyr(MON-7200)의 제초작용특성(除草作用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2. Dithiopyr의 제초효과(除草效果) 변동요인(變動要因) (Studies on the Herbicidal Properties of Dithiopyr(MON-7200) - 2. Variation of Weeding Effect of Dithiopyr)

  • 양환승;최연철;최은석;김창봉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38-244
    • /
    • 1989
  • 신규(新規) 제초제(除草劑)에 dithiopyr의 제초효과(除草效果) 변화(變化)에 미치는 각종(各種) 재배(栽培) 화경조건(環境條件)의 영향(影響)에 대하여 조사(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Dithiopyr는 추천약량(推薦藥量)의 1/3수준(水準)인 0.04kg a.i./ha 약량(藥量)에서도 피, 물달개비 등에 대하여 89.3% 이상의 효과(效果)가 있었고, 0.08kg a.i./ha 약량(藥量) 이상부터는 100%의 방제율(防除率)을 보였다. 제초효과(除草效果)는 토성(土性), 누수량(漏水量), 온도(溫度), 담수심(湛水深), 관수시간(換水時間)의 차이(差異)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이앙전(移秧前) 처리(處理) 혹은 이앙(移秧) 후(後) 12일 이상(以上)의 처리(處理)보다는 5-8일 처리(處理)가 높았다.

  • PDF

약용작물의 Allelopathy 효과에 관한 연구 (Allelopathic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Echinoclhoa crus-galli Beauv.)

  • 김상열;김칠룡;박성태;김순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7-412
    • /
    • 1997
  • 약용작물의 allelopathy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피의 발아, 신초 및 뿌리생육 억제는 공시식물, 사용부위, 사용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피의 발아, 신초 생장 및 뿌리는 천궁 및 감초 뿌리추출물에 의해서 가장 억제가 되었다. 1g 농도에서 피의 발아, 신초생장, 뿌리생장이 각각 88%, 95%, 100%, 감초추출물에서 87%, 96%, 100% 억제되었다. 천궁의 부위별 억제정도는 뿌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0.5g에서 피는 완전히 억제가 되었으나 줄기 잎추출물에서는 억제효과가 크지 않았다. 용매극성별 피의 억제 정도는 에틸아세테이트에서 가장 크게 억제되었다. 피의 발아는 3분획 모두 억제가 되지 않았으나 신초 및 뿌리생장은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이 에틸에테르나 메탄올 분획보다 억제가 더 컸다. 이상의 결과에서 천궁뿌리에 함유하고 있는 allelochemicals은 중간정도의 극성을 띤 물질일 것으로 사료되며 allelochemicals의 분리정제에 귀중한 재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도 웅성불임제로서 Sodium Methyl Arsenate의 효과 (Effect of Sodium Methyl Arsenate as a Male Gametocide on Rice (Oryza sativa L.))

  • 조수연;손영희;최해춘;문헌팔;박래경;박남규;김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5-59
    • /
    • 1989
  • 웅성 불임제를 이용한 바 1대잡종 종자 생산체계를 대립하고자 웅성불임제인 sodium methyl arsenate의 적정 처리농도, 처리시기, 처리량 및 품종간 반응에 대하여 검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웅성불임 유발에 적절한 약제의 처리농도는 0.02%이었고, 웅성불임 유발률은 처리량에 관계없이 출수전 5일 이전 처리에서 99% 이상이었다. 2. 자방 생존률은 처리량이 적을수록 또 처리시기가 늦을수록 높은 경향으로 출수 전 5일 이후 처리에서 18.8∼33.8%이었다. 자방 생존률은 동일처리 조건에서도 품종에 따라 달랐으며 태백벼가 25.8%로 가장 높았고, 용문벼가 10.3%로 가장 낮았다. 3. 종자의 발아률은 약제 처리량이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4. sodium methyl arsenate 처리는 약해를 유발시키고 간장과 수장이 짧아지며 수당 입수가 감소하는 등의 생육 저해를 초래하였으며 특히 이삭의 추출이 불량하였는데 이러한 점들은 앞으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