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tosterols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산 땅콩의 일반 품종과 고올레산 품종에 대한 지용성 영양성분과 산화안정성 비교 (Comparison of lipid constituents and oxidative properties between normal and high-oleic peanuts grown in Korea)

  • 임호정;김미소;김다솜;김회성;배석복;김재겸;신의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5-241
    • /
    • 2017
  • 본 연구는 가열 산화에 따른 일반 및 고올레산 땅콩 유지의 화학적인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땅콩 유지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80^{\circ}C$에서 25일간 가열 산화시켜 지방산 조성, 토코페롤, 식물스테롤 및 산화안정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일반 및 고올레산 유지의 주요 지방산은 올레인산과 리놀레산으로 이들의 비율(O/L)은 일반 품종 2.75, 고올레인산 품종 5.23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동안 가열산화에 의해 리놀레산이 파괴되어 단일불포화지방산 및 포화지방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일반 품종이 고올레산에 비해 리놀레산의 감소량이 유의적(p<0.05)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안정성을 나타내는 과산화물가와 산가를 측정한 결과 두 가지 유지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일반 품종은 과산화물가와 산가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올레산 품종은 상대적으로 다소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가열산화가 진행됨에 따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은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일반품종에서 감소되는 속도가 더 빠르게 나타났다. 고올레산 품종의 경우 높은 올레인산 비율과 낮은 리놀레산의 비율로 인해 일반 품종보다 우수한 산화안정성을 보였으며, 지방산 조성뿐 만 아니라 토코페롤과 식물스테롤의 함량 변화 역시 고올레산 품종에서 더 높은 잔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검토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pids Extracted from Forest Resources)

  • 김미소;박준형;임호정;김다솜;김회성;이경태;박용배;신의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529-53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림자원에서 추출한 유지자원의 이용에 대한 잠재력을 확인하고자 지용성 영양성분에 대한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이화학적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 영양성분의 경우 높은 불포화 지방의 비율(>80%)을 보였고, 지용성 비타민인 tocopherols과 식물성 스테롤인 phytosterol의 다양한 함량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화학적인 특성을 볼 때 1차 산화생성물인 산가와 과산화물가의 값은 안정적인 값이었으며, 2차 산화생성물의 지표인 p-anisidine value의 값을 확인하였다. 갈변도와 색도의 경우 유지 자체의 색도를 포함한 값으로 인해 신선도를 판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색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적용 분야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로써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산화안정성의 지표인 산소유도기간에서도 불포화지방산과 지용성 항산화제인 ${\alpha}$-T의 함량에 따른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인 결과를 산림유지 자원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다고 판단된다.

잔대 추출물과 이들 분획물들의 항산화 및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tive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 and Fractions from Adenophora triphylla)

  • 정미자;이상현;박용일;권기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1호
    • /
    • pp.1580-1588
    • /
    • 2016
  • 잔대의 70% 에탄올 추출물은 강한 항산화 효과 및 산화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뇌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가 있었다. 6개의 분획물 중에 잔대 추출물의 클로로포름 분획물(AT-CH)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작용 및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소거작용을 가지고 있었고 $H_2O_2$에 대항하여 뇌신경 세포(SK-N-SH) 보호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활성이 가장 우수한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대상으로 주요 물질을 순수분리한 후 $^1H-NMR$, $^{13}C-NMR$ 그리고 EI mass spectra를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분석한 결과 phytosterols(${\beta}$-sitosterol과 daucosterol)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eta}$-Sitosterol과 daucosterol 역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항하여 SK-N-SH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이 있었다. AT-CH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은 p38 경로를 저해하였다. 이들 결과는 AT-CH는 p38 경로를 저해하고 세포 내 ROS 소거작용에 의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뇌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가질 것이라 제안하였다.

국내산 및 중국산 들깨 종자의 대사체 분석 (Metabolomic analysis of perilla seeds harvested from Korea and China)

  • 구수연;최나영;손예진;박지영;최성길;이명희;김현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11-419
    • /
    • 2019
  • 국내산 및 중국산 들깨 종자에 들어있는 지방산과 이차대사물질들의 프로파일들을 대사체 분석 기술을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비교한 결과 PLS-DA score plot 상에서 국내산 들샘, 다미, 소담들깨 종자들과 중국산 들깨 종자들과 서로 분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들깨 종자들 사이의 차이에 관여하는 물질들을 분석한 결과 지방산, phytosterols, 페놀화합물을 포함하는 23종의 물질들이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들의 함량과 재배환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수량, 온도, 위도, 고도가 들깨 종자 대사물질의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하였다. 동일 품종을 사용한 다양한 재배환경의 변화가 들깨 종자의 품질뿐만 아니라 들깨의 생육에 미치는 연구가 더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는 재배환경이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들깨 종자를 구별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벼의 유전형질과 재배환경 요인이 기능성물질 함량 변이에 미치는 영향 비교 (Effects of genotype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ontent variations of the bioactive constituents in rice seeds)

  • 박수윤;박현민;정정원;진소라;이상구;김은하;오선우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429-438
    • /
    • 2022
  • 작물의 성분은 품종이 가지는 유전적 특성이나 재배 지역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자연 변이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벼 종자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을 분석하고 그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변수로 두고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인디카 및 자포니카, 통일 계통을 포함한 벼 품종 23개를 선정하고 국내의 2개 지역(전주, 천안)에서 2년간 재배하였다(2015, 2016년). 벼 종자 368점을 대상으로 16종의 기능성 물질(α, β, γ, δ-tocopherol, γ-tocotrienol, phytosteol 4종, policosanol 7종)에 대한 함량 데이터를 확보하고, 다변량분석(주성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여 4개의 환경 조건 별(2015년 전주, 2015년 천안, 2016년 전주, 2016년 천안)로 자연 변이를 비교한 결과, 분석한 벼 종자의 기능성 물질의 함량 변화는 환경적 요인(재배 지역, 재배 연도) 보다는 유전적 요인(인디카 vs 통일 vs 자포니카)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았다. 특히, 환경적 영향을 뛰어넘는 대표적인 유전적 특성으로는 벼 종자에서 α-, β-tocopherol과 γ-, δ-tocopherol의 함량이 서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냉초(冷草)의 화학성분(化學成分) 연구(硏究) (Chemical Components of the Root of Veronicastrum sibiricum Pennell)

  • 이숙연;유승조;지형준
    • 생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68-176
    • /
    • 1987
  • Veronicastrum sibiricum (L.) Pennell (Scrophulariaceae) is a perennial herb growing in moist land. It has been used as a korean folk medicine in treating common cold, leucorrhea, cystitis and liver damage and as cholagogue.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the elucida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From the roots of the plant, five iridoid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minecoside $(mp\;142{\sim}3^{\circ})$, 6-O-veratryl catalpol ester $(mp\;216{\sim}8^{\circ})$, catalpol $(mp\;204{\sim}6^{\circ})$, aucubin $(mp\;180{\sim}2^{\circ})$ and 6-desoxy-8-isoferuloyl harpagide $(mp\;139{\sim}41^{\circ})$. Furthermore, ${\beta}-sitosteryl-3-O-D-glucoside$, campesteryl 3-O-D-glucoside, ${\beta}-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mannitol were also isolated.

  • PDF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수수 추출물 함유 폴리비닐알코올 복합 나노 섬유의 생리활성 특성 (Bioactive Characteristics of Sorghum Extract/Poly(vinyl alcohol) Composite Nanoweb Produced by Electrospinning)

  • 이현주;전재우;정소연;최진현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3-331
    • /
    • 2019
  • Sorghum is a rich source in phytochemicals, such as tannins, phenolic acids, anthocyanins, phytosterols and policosanols. Sorghum has been known to have antimicrobial, antiinflammatory, antioxidant properties. In this study, poly(vinyl alcohol)(PVA)-sorghum extract(SE) composite nanoweb was produced by electrospinning and its characteristics including bioactivities were investigated. The SE had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s well as a reduced cytotoxicity. The PVA-SE nanoweb had a highly enhanced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PVA nanoweb. The amount of proinflammatory cytokine released from macrophages treated with the PVA-SE nanoweb was reduced. The PVA-SE nanoweb can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medical and cosmeceutical materials providing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ith a low degree of cytotoxicity.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Recombinant UDP-Glucose:Sterol 3-O-Glycosyltransferase from Micromonospora rhodorangea ATCC 31603 and Enzymatic Biosynthesis of Sterol-3-O-β-Glucosides

  • Hoang, Nguyen Huu;Hong, Sung-Yong;Huong, Nguyen Lan;Park, Je W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3호
    • /
    • pp.477-482
    • /
    • 2016
  • A uridine diphosphate-glucose:sterol glycosyltransferase-encoding gene was isolated and cloned from the established fosmid library of Micromonospora rhodorangea ATCC 27932 that usually produces the aminoglycoside antibiotic geneticin. The gene consists of 1,185 base pairs and encodes a 41.4 kDa protein, which was heterologously expressed in Escherichia coli BL21(DE3). In silico analyses of the deduced gene product suggested that it is a member of the family 1 glycosyltransferases. The recombinant protein MrSGT was able to catalyze the transfer of a glucosyl moiety onto the C-3 hydroxy function in sterols (β-sitosterol, campesterol, and cholesterol), resulting in the corresponding steryl glucosides (β-sitosterol-3-O-β-ᴅ-glucoside, campesterol-3-O-β-ᴅ-glucoside, and cholesterol-3-O-β-ᴅ-glucoside). This enzyme prefers phytosterols to cholesterol, and also shows substrate flexibility to some extent, in that it could recognize a number of acceptor substrates.

Overexpression of PgSQS1 Increases Ginsenoside Production and Negatively Affects Ginseng Growth Rate in Panax ginseng

  • Shim, Ju-Sun;Lee, Ok-Ran;Kim, Yu-Jin;Lee, Jung-Hye;Kim, Ju-Han;Jung, Dae-Young;In, Jun-Gyo;Lee, Beom-Soo;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98-103
    • /
    • 2010
  • The medicinal plant Panax ginseng (P. ginseng) contains various phytosterols and bioactive triterpene saponins (ginsenosides). Squalene synthase catalyzes the first committed step in ginsenoside biosynthesis. Transgenic plants of P. ginseng were generated by introducing the squalene synthase gene derived from P. ginseng. Adventitious roots of the transgenic ginseng grew best in B5 medium, and 2 g of inoculum secured an optimal growth rate. Two phytohormones, indolebutyric acid and 1-naphtalene acetic acid, increased root growth and decreased ginsenoside production. Treatment with two selected elicitors, chitosan and jasmonic acid, and a precursor of the isoprenoid pathway, mevalonic acid, enhanced ginsenoside production and retarded ginseng growth rate.

Cloning and Molecular Analysis of cDNA Encoding Cycloartenol Synthase from Centella asiatica (L.) Urban

  • Kim Ok-Tae;Kim Min-Young;Hwang Sung-Jin;Ahn Jun-Cheul;Hwang Baik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16-22
    • /
    • 2005
  • cDNA for oxidosqualene cyclase was cloned by a homology-based PCR method and sequenced from Centella asiatica. In a sequences analysis, the putative polypeptide of C. asiatica cycloartenol synthase (CaCYS) deduced from the 2,274 bp nucleotide sequence, consisted of 758 amino acids and had a molecular mass of 86.3 kD. The predicted amino acid sequence exhibited high homology to that of PNX (cycloartenol synthase) from Panax ginseng ($89\%$). Southern blot analysis suggests that CaCYS may be present in one copy of the C. asiatica genome. If methyl jasmonate (MJ) is applied exogenously to plants, not only triterpene saponins are accumulated in tissues, but also it produces effects such as growth inhibition and the promotion of ethylene prod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J and thidiazuron (TDZ), a cytokinin that plays a role as an antisenescence agent in several plants, on the level of CaCYS mRNA, we performed northern blot analysis. When MJ is alone treated by adding to culture medium, CaCYS transcripts were inhibited. However, sustained levels of the expression of CaCYS, by adding TDZ to the medium despite MJ treatments, were demonstrated in C. asiatica lea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