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agocytosis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31초

ITGB2 유전자 다형성과 결핵 사이의 연관성 연구 (Association between ITGB2 Genetic Polymorphisms and Tuberculosis)

  • 진현석;이상인;박상정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18-125
    • /
    • 2018
  • 결핵은 본질적으로 MTB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이지만 발병의 과정에는 숙주의 면역계와 연관성 있는 하는 유전자가 관여한다. ITGB2 유전자는 인테그린 beta 2 chain인 CD18 단백질을 암호화 하고 있는 유전자로 염색체 21번에 존재하고 있다. 인테그린 beat 2 chain은 백혈구에서 발현하는 인테그린으로 백혈구의 성숙 및 부착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단백질이다. ITGB2는 결핵 발병에서 MTB의 탐식과 백혈구의 집합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졌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인의 유전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핵 발생 환자들과 정상 대조군 사이에서 ITGB2의 유전적 다형성의 빈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10개의 SNP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유의성 있는 SNP는 rs113421921 였다 (OR=0.69, CI: 0.53~0.90, $P=5.8{\times}10^{-3}$). 또한 rs173098의 경우는 전사 보조인자인 p300이 결합할 가능성이 있는 염기서열이 존재하여 유전적 다형성에 따라 ITGB2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결핵의 발병 기전이 백혈구 집합이나 부착과 같은 숙주의 면역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유전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는 결핵의 발병에 숙주 면역계의 유전자들이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MTB 감염에 대해 각 사람들 별로 감염의 진행과정과 결과에 차이를 가져다 주는 유전적 배경에 대한 이해에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료 중 비스루트가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성장, 체조성 및 면역 방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root in the Diet on Growth, Body Composition, Immume responses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김용화;오승용;황미혜;조재윤;박수일;김유희;윤길하;박정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95-503
    • /
    • 1998
  • 생균(Bacillus polyfermenticus, Bacillus mesentericus, Streptococcus faecalis, Bifidobacterium breve)과 소화 요소(protease, lipase)를 함유한 비스루트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료 내 1% 첨가하여 나일틸라피아 치어(19.0${\pm}$0.07g)에게 60일간 공급한 다음 성장률, 체조성 및 면역반응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60일간 사육한 결과 비스루트 첨가구와 대조구 사이에 유의적인 성장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5), 보체의 용혈 능력은 비스루트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용혈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라이소자임의 용균 효과는 대조구와 비슷하였다. 식세포의 식작용 능력과 신장 마크로파지의 respiratory burst activity 는 비스루트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비스루트 사료 내 첨가가, 어류의 비특이적 면역 기능중에서 세포성 면역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하였다. 병원성 세균 Edwardsiella tarda FSW 910410 균주로 공격 실험결과 비스루트 첨가구가 누적폐사율이 59%, 대조구가 80%로 조사되었고, 그 결과 비스루트 첨가구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켰다(P<0.05).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glucose, GOT, GPT 와 같은 혈액 성분을 분석한 결과 비스루트 첨가구와 대조구 간의 유의차는 없었지만(P>0.05), glucose, GOT, GPT는 비스루트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비스루트는 나일틸라피아의 생리 기능에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고, 비특이적 면역 기능 중 세포성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저항력의 증강 효과도 높다. 따라서, 비스루트는 나일틸라피아의 사료 첨가물로서의 역할이 충분히 기대된다.

  • PDF

Protease Activated Receptor-2의 길항제로서 Lobaric Acid의 피부 색소침착 억제 효능 연구 (A Study on the Inhibition of Skin Pigmentation by Lobaric Acid as Protease Activated Receptor-2 Antagonist)

  • 구정현;이지은;명철환;박종일;황재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43-252
    • /
    • 2015
  • 멜라노사이트에서 생성된 멜라노좀은 수상돌기를 따라 케라티노사이트로 이동한다. 세포막을 통한 정보 전달계에 관여하는 protease activated receptor-2 (PAR-2)는 SLIGKV와 같은 펩타이드에 의해 활성화되어 멜라노좀 전달을 증가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PAR-2의 저해제를 찾고 본 저해제가 멜라노좀의 이동과 색소침착을 저해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PAR-2가 활성화되면 G 단백질이 방출되고, 이때 증가하는 세포 내 칼슘 이온 농도가 lobaric acid에 의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lobaric acid가 PAR-2의 길항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각질형성세포에서 SLIGKV에 의해 증가된 형광 비드 uptake가 lobaric acid에 의해 억제 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또한, 분리된 멜라노좀을 이용한 시험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멜라노사이트와 케라티노사이트를 공동 배양하여 멜라노좀의 이동을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lobaric acid에 의해 멜라노좀의 전달이 억제되었다. 인공피부조직에 lobaric acid를 처리하였을 때 색소 침착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Fontana-Masson 염색을 통해 멜라닌의 양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obaric acid가 PAR-2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케라티노사이트로 멜라노좀 전달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피부 색소 침착을 저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ltrastructure of Oocytes During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ollicle Cells in Female Sinonovacula constricta(BIVALVIA: PHARIDAE) in Western Korea

  • Chung, Ee-Yung;Ko, Cheol-Hwan;Kang, Hee-Woong;Choi, Ki-Ho;Jun, Je-Cheon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2권4호
    • /
    • pp.313-319
    • /
    • 2008
  • The ultrastructure of oocytes during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ollicle cells in female Sinonovacula constricta(Lamarck, 1818) were investigated by electron microscope observations. Ovarian follicles are surrounded by a matrix of vesicular connective tissue cells(VCT cells). VCT cells contain large quantities of glycogen particles and several lipid droplets in their cytoplasm. It is suggested that VCT cells act as a source of nutrients for vitellogenesis during oogenesis. In early vitellogenic oocytes, several coated vesicles, which appear at the basal region of the oocyte, lead to the formation of membrane-bound vesicles via endocytosis. The uptake of nutritive materials in coated vesicles formed by endocytosis appears through the formation of coated pits on the oolemma during vitellogenesis. During the late stage of oogenesis, yolk precursors(yolk granules), mitochondria and lipid droplets are present in the cytoplasm of late vitellogenic oocytes. In particular, proteinaceous yolk granules containing several different components are intermingles and form immature yolk granules. In the mature oocyte, small immature yolk granules are intermingled and form large mature yolk granules. Vitellogenesis occurs through a process of autosynthesis, involving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the cytoplasm of vitellogenic oocytes. The process of heterosynthesis is where extraovarian precursors are incorporated into oocytes by endocytosis at the basal region of early vitellogenic oocytes before the formation of the vitelline coat. Follicle cells appear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vitell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The functions of attached follicle cells to the oocyte during oocyte degeneration are phagocytosis and digestion of phagosomes originating from oocyte degeneration. After digestion of phagosomes, it is assumed that the function of follicle cells can permit a transfer of yolk precursors necessary for vitellogenesis and allows for the accumulation of glycogen and lipid during oocyte degeneration, which can be employed by vitellogenic oocytes. Follicle cells of S. constricta may possess a lysosomal system for induction of oocyte breakdown and might resorb phagosomes in the cytoplasm for nutrient accumulation during oocyte degeneration.

Levamisole, selenium 및 tocopherol이 한국재래산양의 혈중 호중구 및 복강 대식구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vamisole, selenium and tocopherol on the functions of blood neutrophil and peritoneal macrophage of Korean native goats)

  • 김종만;마점술;전윤성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85-294
    • /
    • 1991
  • In this study,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levamisole, selenium and tocopherol on blood neutrophils and peritoneal macrophages of goat were evaluated in vitro and in vivo. The functions of blood neutrophils and peritoneal macrophages were assayed by random and direct migration, phagocytosis of S aureus, production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vitro trials 1. Levamisole treatment enhanced the random and direct migration of goat blood neutrophils when compared with untreated cell, and a significant (p<0.01) enhancement was noticed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 for direct migration and $50{\mu}g{\sim}1,000{\mu}g\;per\;ml$ of culture medium for random migration. There was no influence of selenium and tocopherol on random and direct migration of neutrophil at all of treatment concentration. 2. Neutrophils produced higher levels of superoxide by lcvamisole treatment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g$ and by selenium treatment at the concentration of $1.0{\mu}g$, but the production of hydrogen peroxide was not increased. Tocopherol had no effect on the production of antimicrobicidal oxygen metabolites of neutrophils at various concentrations. 3. No differences of phagocytic activity were observed when neutrophils were treated with three substances. In vivo trials 1. Blood neutrophils of goats orally administered levaraisole showed significantly (p<0.05) higher random migration from 2 to 24 hours after feeding (2.5mg/kg of body weight). Augmentation of random migration of neutrophil from goats orally administered selenium-tocopherol mixture (selenium $100{\mu}g$-tocopherol 200IU/head/day) was observed at 10 days and the significant (p<0.05) increase was shown from 30 days after feeding and continued throughout the feeding periods. 2. There was no effect on phagocytic activity and production of antimicrobicidal oxygen metabolites of neutrophils from goats administered levamisole or selenium-tocopherol mixture. 3. Random migration, production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and S aureus phagocytic activity of peritoneal macrophages of goats administered 300ml of levamisole-thioglycollatc medium mixture $(2.5{\mu}g/ml)$ into peritoneal cavity increased significantly (p<0.01 or p<0.05) when compared with those of goats administered thioglycollate medium alone.

  • PDF

애완견의 결핵예방에 관한 연구 1. Mycobacterium bovis를 실험적으로 접종한 애완견에 있어서 BCG의 전처치 효과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tuberculosis in pet dogs 1. The effects of BCG pretreatment in pet dogs inoculated experimentally with Mycobacterium bovis)

  • 강종구;김창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7-125
    • /
    • 1992
  • Mycobacterium (M) bovis 를 인공감염시킨 개에 있어서 BCG의 전처치효과를 in vivo 및 in vitro에서 검토하였다. 개들은 BCG 전처치군, M bovis 단독처치군, 비감염대조군의 세군으로 나누었다. BCG는 M bovis 복강접종 3주일전에 0.2ml를 피내접종하였다. 결핵균 투여 4개월후에 전군을 도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도살시 모든 처치군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 BCG전처치군의 폐장내에서는 경도의 macrophage의 침윤과 소상의 육아종 형성이 관찰되였으나 M bovis 단독처치군에 있어서는 보다 고도의 macrophage의 침윤, 중등도의 호중구의 침윤 및 중등도의 육아종의 형성이 확인되었다. 각 동물의 기관지폐포세정액을 분리하여 그 속의 총세포수와 각 세포의 분획을 검토하였다. 비감염 대조군의 기관지폐포세정액내의 총세포수는 두 처치군보다 훨씬 낮았으며 M bovis 단독처치군의 총세포수는 BCG 전처치군보다 1.8배 높았다. 이 세정액으로부터 폐포 macrophage를 분리배양하여 macrophage의 활성능과 결핵균의 증식능을 관찰하였다. BCG처치군은 M bovis 단독처치군에 비하여 높은 Fc receptor 활성(rosette 형성능, 탐식능)과 낮은 결핵균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BCG의 전처치는 결핵균을 killing하지는 못하였다. 개에게 BCG를 전처치하면 폐내에 극소수의 결핵균이 지속적으로 잔존하지만 폐포 macrophage는 이미 항결핵성면역능을 지닌채로 계속 활성화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결핵에 대하여 예방효과를 갖는다고 사료된다.

  • PDF

림프절 유래 fibroblastic reticular cell의 효율적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 (Fibroblastic Reticular Cell Derived from Lymph Node Is Involved in the Assistance of Antigen Process)

  • 김민환;이종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9호
    • /
    • pp.1027-1032
    • /
    • 2016
  • 항원은 병원체로부터 유래한 질병인자다. 생명체는 항원에 대항하는 방어계인 면역계를 가지고 있다. 항원은 식세포작용, 항체, 보체 활성화, NK세포 혹은 MHC 분자를 통한 세포독성 T세포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처리된다. 림프절은 스트로마세포와 3차원 네트워크를 통해서 구성되어 있다. Fibroblastic reticular cells (FRC)는 림프절 T zone에서 T세포와 상호작용한다. FRC는 세포외 기질 생산과 homing 케모카인을 생산하여 감염에 대비한다. 하지만, FRC가 항원처리과정에 관련되어있다는 보고는 없다. 본 연구는 FRC의 항원처리 관련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FRC는 대식세포, T세포, LPS, 그리고 TNFα와 같은 다양한 감염상황에 노출시켜 연구를 진행하였다. FRC가 대식세포 및 T세포와 공배양 했을 때 FRC가 형태적 변화와 FRC간 빈 공간 형성이 관찰 되었다. MMP 활성은 Y27632와 T세포에 의해 조절 되었다. 더욱이, 염증물질인 TNFα를 FRC에 처리 후 마이크로어레이를 통한 결과에서 부착분자와 MHC I antigen transporter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RC 단일층에 LPS와 대식 세포를 공배양 했을 때 NO 생성력이 크게 향상되었다. GFP antigen을 FRC와 대식세포 공배양군에 처리 했을 때 항원 흡수율이 증가되었다. 이러 결과는 FRC가 항원처리에 관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림프절이 항원처리과정에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Present Status of Fermented Milk Products in Japan

  • Hosono, Akiyoshi
    • 한국유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04년도 제58회 춘계유가공심포지움 - 세계 우유의 날 기념 국제 심포지움
    • /
    • pp.21-39
    • /
    • 2004
  • Fermented milks have been recognized as healthy foods since ancient times, but those using intestinal bacteria such as Bifidobacterium and lactic acid bacteria (LAB) are even more valuable from the standpoint of view of maintaining health. They have also now come to be recognized as important in the field of preventive medicine. Although advances in the medical sciences in the last 50 years hav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human lift span, an unfortunate fact is that many of us are now living long enough to experience chronic disorders such as coronary heart disease, hypertension, osteoporosis, diabetes and canc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renewed interest in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by incorporating probiotic bacteria into foods to counteract harmful bacteria in the intestinal tract. Therefore, there are now a wide variety of commercial products containing prospective probiotics that claim health-promoting effects, such reductions in large botvel carcinogens and mutagens, antitumor properties, cholesterol-lowering effects, increased lactose digestion, relief from con-stipation, stimulation of immunocomponent cells and enhancement of phagocytosis. Two well-known representative probiotic is LAB and Bifidobaclerium. Traditional probiotic dairy strains of LAB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bacteria have a long history of safe use and most strains are considered comestible microorganisms with no pathogenic potential. Accordingly, there is considerable interest in extending the range of foods containing probiotic organisms from dairy foods to infant formulas, baby foods, and pharmaceuticals. In addition, the ingestion of probiotics, prebiotics, and symbiotic as wll as combinations of pro- and prebiotics has recently aroused renewed interest as enhancing the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host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both healthy and diseased indivisuals. Non-communicable chronic diseases such as cancer, cerebral hemorrhage, is chemic heart disease, and diabetes mellitus ha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dult diseases in Japan as well as other countries. and are considered to be inevitably associated with aging. These diseases occur as a result of individual life styles. The Japanes Government. Ministry of Health, Labor and Welfare has proposed substituting the term 'adult diseases' with 'lifestyle-related diseases'. It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rather than treatment. since the well-know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in Japan is predicted to result in a variety of socioeconomic problems. n this lecture on the Present status of fermented milk products in Japan, I will report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fermented milk products in Japan from the standpoint of view of research in Japan on LAB and Bifidobacteria. They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serving human health by controlling intestinal microflora capable of producing toxic effects on the host.

  • PDF

게르마늄 강화효모의 마우스에서의 암세포 억제 및 대식세포, NK 세포, B 세포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 (Germanium-Fortified Yeast Activates Macrophage, NK Cells and B Cells and Inhibits Tumor Progression in Mice.)

  • 백대헌;정진욱;손창욱;강종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18-127
    • /
    • 2007
  • 본 연구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유기게르마늄 강화효모 경구투여에 의한 면역조절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우스를 대상으로 9일간 경구투여한 결과 대조군인 게르마늄 비강화 효모 투여군에 비해 복강대식세포, B세포, NK 세포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최종 실험결과 대식세포는 게르마늄 강화효모 투여 후 식세포활성, 주화성, 부착성, rosette 형성능 현저히 증가하였다. Superoxide $anion(O_2^-)$ 생성능은 대조군에 비해 유기게르마늄 강화군 투여군에서 3배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NO 생성능과 $TNF-{\alpha}$ 생성능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B-세포 활성화에 의한 cytolytic activity 증가에 의한 PFC형성능도 게르마늄 비강화 효모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상업화 유기게르마늄으로 알려지고 있는 Ge-132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다. Cytotoxic acivity에 의한 항 종양활성에서는 양성대조군인 Doxorubicin 투여군에서와 유사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고용량 유기게르마늄 효모(2,400 mg/kg) 투여시 60%의 종양활성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유기게르마늄 강화효모가 실험동물 뿐만 아니라 인체의 유용한 면역조절제로서의 이용성이 기대된다.

개에서 발생한 거대세포 출현을 동반한 골화성 치은종 (The Ossifying Epulis Accompanying Multi-Nucleated Giant Cells in a Dog)

  • 홍일화;정원일;손영숙;박진규;양해걸;위엔동웨이;구문정;이혜림;정규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488-1491
    • /
    • 2007
  • 11살된 암컷 개, 요크셔 테리어의 발치된 잇몸에서 치은종이 관찰되었다. 치은종은 조직병리학적 특징에 따라 섬유소성, 골화성, 극세포성 그리고 거대세포성 치은종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본 증례의 경우 광학현미경학적 관찰결과 골화성 치은종으로 진단되었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골화성 치은종 병변과 함께 몇몇의 거대세포가 관찰 되었다. 거대세포는 파골세포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거대세포성 치은종의 경우 발치한 잇몸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골화성 치은종에 발생한 거대세포의 출현이유를 두 가지로 제시할 수 있겠다. 하나는, 치은종의 섬유모세포가 분화되어 형성된 골 성분을 거대세포가 파골세포처럼 탐식하기 위해 출현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골화성 치은종의 주요 발생원인인 만성 치은염과 발치로 인한 손상 및 염증 등의 거대세포성 치은종의 발생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혼합 치은종으로 판단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이유로 거대세포가 골화성 치은종에 출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어지지만 현재까지 이와 같은 보고는 없었으며, 또한 턱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를 포함하는 병변의 발병기전은 아직까지 불분명한 상태이므로 본 증례가 발병기전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