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istence

검색결과 953건 처리시간 0.031초

전문대 공학계열생에 있어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학습성과 -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지속의향 - 에 관한 연구 (The Predicts of Academic Self-Efficacy, School Support on Learning Outcome -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Persistence - in College)

  • 주영주;이광희;정애경;이영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32-39
    • /
    • 2011
  • 본 연구는 전문대학 공학계열생의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 지속의향에 대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의 지원의 예측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D대 학의 2010학년도 1학기 공학계열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은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그러나 이들과 성취도와의 관계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만 유의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대학에서 만족도, 성취도,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의 지원의 중요성을 실감하고 학습자에 게 학업을 지속할 수 있는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Freshmen in Nursing Colleg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 박주영;우정희;이중혁;김정민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27-136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freshmen in nursing college on the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to determine if their learning motivation medit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based on descrip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146 nursing freshmen studying at a university in D city from June 5, 2017 to June 7, 2017. Result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57, p<.001) and learning motivation (r=.60, p<.001). Also, it was found that learning motiv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r=.79, p<.001). According to the Sobel test results, the learning motivation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a}=.39$, p<.001)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Z=3.63, p<.001). Conclus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a learning motivation program to improv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freshman year.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Prediction of Learning Flow, School Flow and School Support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ngineering College)

  • 주영주;정애경;최혜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1호
    • /
    • pp.30-38
    • /
    • 2012
  •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준거변수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국내 D 대학의 2010년 1학기 기초학습 능력강화 프로그램에 속한 공학계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변수의 준거 변수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beta}$= .22)과 학교몰입(${\beta}$= .20)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교몰입(${\beta}$= .32), 학교의 지원(${\beta}$= .23)과 만족도(${\beta}$= .22)는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 학교몰입과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변수가 학습자들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며, 특히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높이는데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이버학습환경에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n-line task value, University support, Satisfaction,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Education)

  • 주영주;최혜리;이영희;이유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41-353
    • /
    • 2010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과제가치와 학교의 지원을 외생변인으로,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내생변인으로 설정하고 W사이버대학의 2009학년도 1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웹 서베이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온라인 과제가치와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이들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 및 만족도가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학교의 지원과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온라인 과제가치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추가적으로 만족도는 온라인 과제가치, 학교의 지원과 학습지속의향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변인들 간의 간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a fall cut on dry matter yield, nutritive value,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 McDonald, Iryna;Min, Doohong;Baral, Rudra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4호
    • /
    • pp.799-814
    • /
    • 2021
  • Information is lacking about the effect of date of a fall cut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on dry matter yield (DMY), forage nutritive value, and stands persistenc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iming of a fall cut on DMY, forage nutritive value and stand persistence of three alfalfa varieties: low-lignin Hi-Gest 360, Roundup Ready Tonica, and conventional Gunner in Northeastern Kansas in the United States. The field study was carried out by splitting plot in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The harvesting data of different maturity stages were collected in each year from 2015 to 2018. Three cuts were harvested based on the stage of maturity, and the last (fourth) cut was done on September 15, September 30, October 15, and October 30 of each year. The persistence of the alfalfa stands was determined each fall after the last cut, and each spring after the first cut, by counting the number of live plants in a randomly placed quadrat in each plot. Alfalfa cut on September 15 and September 30 had a higher stand persistence compared to alfalfa cut on October 15 and October 30. The DMY of the first cut in 2016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oundup ready than the low-lignin alfalfa variety. In the second cut, DM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nventional alfalfa than the roundup read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MY between alfalfa varieties in the rest of seasonal cuttings in 2016 and 2017 and annual total yield in both years. In general, low lignin alfalfa variety had higher crude protein and relative feed value and lower acid detergent fiber and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s than those in roundup ready and conventional alfalfa varieties. On average, nutritive value of alfalfa was generally affected by last cutting dates in 2017. Based on 3-year data the last cutting of alfalfa in the fall could be done by September 30-October 15 without harmful effect on DMY.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와 ASE 모델 요인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d ASE(Attitude-Social Influence-Self Efficacy) Model Factors on Academic Persistence of Online University Students)

  • 이다예;서영숙;김영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453-463
    • /
    • 2018
  • 개인적 변인의 폭이 넓은 학습자 특성과 학업 방식의 독특성, 그리고 다양한 학습 환경이라는 특성을 가진 원격대학생의 학업지속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격대학 학습자에 대해 행위수행의도를 중심으로 접근하는 ASE 모델을 포함하여 분석하는 것은 새로운 접근이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습태도, 사회적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ASE 모델요인과 학업지속의도 간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요인이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원격대학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181명의 설문자료를 빈도분석, ${\chi}^2$검증, t-검증. F-검증, Pearson's correlation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15.76, p<.001), 설명력은 29%였으며, 유의한 영향요인은 학업스트레스(${\beta}=-.16$, p=.016), 온라인 학습태도(${\beta}=.44$, p<.001)와 사회적 영향 요인 중 사회적 지지(${\beta}=.13$, p=.045)였다.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해 학업스트레스를 낮추고, 온라인 학습태도를 높이며, 사회적 지지를 구축할 수 있는 정교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미용전공자의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에 따른 학업지속의도 : 일반대학과 원격대학 비교 (Influence of Beauty Major Students' Motivation for Major Selection and Sense of Belonging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Cyber Universities)

  • 김현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74-384
    • /
    • 2023
  • 20대를 대상으로 하였던 대학이 최근에는 운영방식, 설립목적, 교육대상이 다양화되었다. 대학의 수에 비해 급격한 학령인구의 감소로 대학(과)은 신입생의 확보와 재학생의 중도탈락 최소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2년제와 4년제 일반대학과 원격대학의 미용관련 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일반대학 119명, 원격대학 113명에게 수집된 자료를 SPSS.28를 이용해 분석한 주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일반대학은 전공선택동기는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소속감은 유의미한 정(+)의 효과를 미쳤다. 또한, 소속감이 높아지면 외적동기는 학업지속의도를 유의미하게 상승시키는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원격대학은 전공선택동기 중 내적동기와 소속감이 학업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정(+)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전공선택동기와 학업지속의도의 관계에서 소속감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재학생의 학업지속의도에 있어 일반대학은 대학(과)의 소속감이 주요했으며 원격대학은 내적동기가 주요했다. 이러한 결과는 재학생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대학(과)의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의미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사회 뇌졸중 환자들의 이차 예방을 위한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 관련 요인 (Predictors of Persistence and Adherence with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in Stroke Patients)

  • 김영택;박기수;배상근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1호
    • /
    • pp.9-20
    • /
    • 2015
  • 지역사회 뇌졸중환자들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많이 실시되지 않았다. 그러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가 뇌졸중의 재발 및 사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환자들을 임의 추출하여 이들의 치료 지속률과 약물 순응도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29명으로 이들의 뇌졸중 치료율과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의 순응률을 파악하였으며 약물 순응도는 의도적 비순응군과 비의도적 비순응군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치료 지속률은 86.5%였으며 이들 중 약물 순응도는 41.2%였다. 치료 지속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보건교육 경험뿐이었으며, 비의도적 약물 비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RS와 보건교육 경험 그리고 의도적 약물 비순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RS와 우울감 정도 그리고 약물에 대한 신념(필요성, 염려)이었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 뇌졸중환자의 재발방지와 사망률감소를 위하여 약물복용을 중요하게 교육하여야 할 것이며 순응도 향상을 위해서는 약물에 대한 필요성은 올리고 염려 수준을 낮추도록 교육하여야 할 것이다.

Molecular Aspects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Persistent Infection in Mammalian Cells

  • Park Sun-Hee;Won Sung Yong;Park Soo-Young;Yoon Sung Wook;Han Jin Hyun;Jeong Yong Seok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0년도 International Meeting 2000
    • /
    • pp.23-36
    • /
    • 2000
  • Japanese encephalitis virus (JEV) is the causative agent of a mosquito-borne encephalitis and is transmitted to human via persistently infected mosquito vectors. Although the virus is known to cause only acute infection, there were reports that showed neurological sequelae, latent infection in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and recurrence of the disease after acute encephalitis. Innate resistance of certain cell lines, abnormal SN1 expression of the virus, and anti-apoptotic effect of cullular bcl-2 have been suggested as probable causes of JEV persistence even in the absence of defective interfering (DI) particles. Although possible involvement of DI particles in JEV persistence was suggested, neither has a direct evidence for DI presence nor its molecular characterization been made. Two questions asked in this study are whether the DI virus plays any role in JEV persistent infection if it is associated with and what type of change(s) can be made in persistently infected cells to avoid apoptosis even with the continuous virus replication, DI-free standard stock of JEV was infected in BHK-21, Vero, and SW13 cells and serial high multiplicity passages were performed in order to generate DI particles. There different-sized DI RNA species which were defective in both structural and nonstructural protein coding genes. Rescued ORFs of the DI genome maintained in-frame and the presence of replicative intermediate or replicative form RNA of the DI particles confirmed their replication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several clones with JEV persistent infection were established from the cells survived acute infections during the passages. Timing of the DI virus generation during the passages seemed coincide to the appearance of persistently infected cells. The DI RNAs were identified in most of persistently infected cells and were observed throughout the cell maintenance. One of the cloned cell line maintained the viral persistence without DI RNA coreplication. The cells with viral persistence released the reduced but continuous infectious JEV particle for up to 9 months and were refractory to homologous virus superinfection but not to heterologous challenges. Unlike the cells with acute infection these cells were devoid of characteristic DNA fragmentation and JEV-induced apoptosis with or without homologous superinfection. Therefore, the DI RNA generated during JEV undiluted serial passage on mammalian cells was shown to be biologically active and it seemed to be responsible, at least in part, for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the JEV persistence in mammalian cells. Viral persistence without DI RNA coreplication, as in one of the cell clones, supports that JEV persistent infection could be maintained with or without the presence of DI particles.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cells with JEV persistence were resistant against homologous virus superinfection, but not against heterologous one, suggests that different viruses have their own and independent pathway for cytopathogenesis even if viral cytopathic effect could be converged to an apoptosis after all.

  • PDF

Forest therapy program reduces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 Kang, Byung-Hoon;Shin, Won-Sop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3-37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Recreation or activities in forest are regarded as therapy. Many forest therapy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assessed in the domestic.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on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in college students. Methods: Thirty five subject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as the control group, and 29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1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follow-up test to verify the persistence of stress reduction effects.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2 hours each from September 4 to December 4, 2018, adding up to total eight session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both academic stress and job-seeking stress, whereas the control group did not. For the persistence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ttest and the follow-up test, and thus the stress reduction effect was maintained. Conclusion: This study proved the reduction of academic and job-seeking stress in forest therapy programs and the persistence of the stress reduction effect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The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Stress Recovery Theory (SRT) that shows the stress reduction effect of nature.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verified that the program using the forest on campus can reduce stress of most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