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formance behavior skill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5초

간호제공자들의 치매노인 공격행동 경험에 대한 연구 (The Experience of Nursing Staff on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 오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3-306
    • /
    • 2000
  • Providing care to the dementia elderly with behavioral problem is a major issue in nursing homes today. This study was aimed to explore the nursing staffs′ response to aggressive dementia patients, and the effect that the aggressive behavior had on Nsgstaff. The interviews used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re were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1999. The subjects were 23 nursing personnel working in the nursing homes for dementia elderly. The result are as follows; 1. The types of aggressive behavior cited by the subjects was "physical", "linguistic", and "sexual". 2. The factors that caused the behavior were "symptoms of disease", "under- conditioning", "context of nursing care", "unsatisfied need", "relationship to other patients", "change of outer environment", and "invasion of one′s own privacy". 3. The response of the subjects were "unhappiness", "stress", "anger", "exaggeration", "anxiety", and "fear". 4. The management strategies listed by nursing personnel used to alleviate aggressive behavior were "ignorance" "patience" "leaving the area" "soothing sounds" "verbal punishment" "restriction and isolation" and "various management skill appliance" "adaptation". 5. The effect that aggressive behavior and were "disturbance of relationship to elderly" "decline in the amount and quality of nursing care" "interruption of task performance" "job exhaustion" "desire to leave the job" "physical impact" "stress on the cognition of others" "anxiety about health and one own future" "interference to family lif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understanding the difficulties of nursing personnel when confronting the aggressive behavior of dementia partients. It also is useful as basic data in preparing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for these difficulties.

  • PDF

감각통합중재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A Systematic Review)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7-90
    • /
    • 2009
  • 목적: 감각통합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고찰을 통하여 감각통합중재의 객관적인 근거기반을 제시하기 위하여 감각통합중재가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중재 결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 체계적 고찰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데이터베이스는 MEDLINE/PubMed, PsycINFO, CINAHL, Cochrane Library, OTSeeker이었고, 검색어는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sensory integration therapy"와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이었다.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된 논문은 11개로, 근거의 질적 수준은 수준 I과 수준 II, IV이었다. 분석내용으로는 감각 통합중재의 대상군과 중재방법, 중재결과 측정 영역에 따라 중재결과를 측정하는 도구 및 중재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감각통합중재 대상으로는 자폐스펙트럼장애가 30.7%로 가장 많았으며, 전반적발달장애와 조산아가 각각 15.4%이었다. 2. 감각통합중재 방법으로는 J. Ayres에 의해 제시된 전통적인 방법이 36.4%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감각통합 중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된 결과측정 영역은 행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영역이 40.63%로 가장 많았으며, 운동수행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8.13%, 감각기초 결과를 보기 위한 것이 25.0%이었다. 3. 감각통합중재 효과는 운동수행기술의 중재결과(66.7%)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감각기초를 위한 중재결과가 62.5%, 그리고 행동 문제 해결에 효과적인 경우가 61.5% 순으로 분석 되었다. 학습과 관련하여 쓰기기술에는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감각통합중재는 운동수행기술과 감각기초능력 향상, 그리고 행동문제의 해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치료적 접근방법이었으나 학습에 관하여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앞으로 감각통합중재의 일차적인 효과가 지속되어학습이나 일상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방법 및 평가도구, 중재방법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상호작용을 위한 웹기반 의사소통 교육의 콘텐츠 설계 연구 (A study on educational content design of web-based communication for interaction)

  • 한미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439-447
    • /
    • 2014
  • 의사소통 역량은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에게는 자기소개, 발표, 면접, 그리고 직장생활을 위한 지속적 관계를 위해 중요하게 요청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웹 기반 교육의 상호작용 효과를 높이기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에 위치한 D대학교의 웹기반 '의사소통' 강좌를 수강한 3 4학년(105명)의 재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고 2013년 1학기 동안 매주 1회 총 16주간(20분)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검사를 통해 면대면 수업에서 의사소통 내용을 포함한 유사 수업을 수강한 동질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효과변인은 의사소통과 이에 대한 수행행동 능력 척도로 설정하였고 연구결과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의사소통 능력과 수행 행동 능력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웹 기반 의사소통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 강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앞으로도 대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웹기반 온라인 교육의 지속적 개발과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단순 지적과업 중 인간과오 관련 심리생리학적 특성의 변화 (Variation of Psyc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Human Errors during a Simple Pointing Task)

  • 임현교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1-78
    • /
    • 2009
  • During a learning process, a human being is assumed to experience knowledge-based behaviors, rule-based behaviors, and skill-based behaviors sequentially if Rasmussen was right. If any psycho-physiological symptom to those different levels can be obtained, it can be useful as a measure whether a human being is fully trained and has gotten a skill in his work.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raw relationships between human performance measures and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while committing a computer-simulated pointing task by utilizing the power spectrum technique of EEG data, especially with the ratio of relative beta-to-alpha band power. The result showed that, during correct responses, the ratio came to stabilize as all the performance data went stable. However, response time was not a simple linear function of task difficulty level only, but a joint function of task characteristics as well as behavior levels. Comparing relative band power ratios from errors and correct responses, activated states of one's brain could be explained,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sk could understood. To tell that of pointing task, correlations around C3, C4, P3, P4 and 01, 02 area were significant and high in correct response cases whereas most correlation coefficients went down in error cases standing for imbalance of psycho-motor functions. Though task difficulty was the only one factor that could influence on relative band power ratio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t should be comprehended to mean a different way of expression indicating task characteristics since at least error-some situation could be explained with the help of relative band power ratio that absolute band power failed.

신체행동에 내재된 원리를 바탕으로 한 연기술의 발전방안 - 태권도 기술을 활용하여 - (Development strategy of acting skills based on the principle underlying physical behavior - Using Taekwondo technology -)

  • 남찬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233-23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의 기술과 무대와 스크린에서의 배우가 연기를 할 때 공통점이 많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를 응용하고자 하였다. 그 동안 이론분야의 연기술 함양에 대해서는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실질적인 연기술과 발전방안에 대해서는 다소 미흡하여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는 신체이미지 창조를 이끌 실무적 경험의 부족으로 보고, 연기술의 변화를 획기적으로 시도할 구체적이고 세밀한 연구의 보완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런 상황을 감안하여 이론적 분야와 병행하여 실무적 분야로 더욱 발전시키고자 태권도 기술을 통한 신체행동의 원리와 연기술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태권도기술을 활용한 연기훈련은 의미있는 연구이다.

영업사원의 직무성과,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실증적 연구 - 직무교육과 전환손실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of Salesperson)

  • 안광호;문충태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3호
    • /
    • pp.125-149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업사원의 이직을 조장/억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생명보험회사에 종사하고 있는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영업사원의 직무성과,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직무성과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갈등의 매개적 효과와 직무교육 및 전환손실의 조절적 역할에 대해 검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분석 결과 직무성과가 높을수록 직무갈등이 감소하고,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직무갈등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갈등을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교육과 전환손실의 조절적 역할을 분석한 결과 직무 교육을 많이 받은 영업사원이 적게 받은 영업사원에 비해 직무성과가 직무갈등에 미치는 부(-)적 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스트레스가 직무갈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직무교육이 조정적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전환손실이 조절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알갱이 형태의 유색첨가제를 이용한 칼라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Colored Asphalt Hot Mixtures through the Usage of Grain-typed Color Additive)

  • 이상염;안용주;문성호;김영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7-122
    • /
    • 2011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은 많은 곳에서 쓰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도심지 도로, 고속도로, 주차장, 그리고 자전거 도로에 이용되고 있다. 사용재료의 성질을 보면 비교적 온도에 민감한 재료로 분류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유연한 성질을 보여주고 있고 겨울철에는 강성의 성질을 보여주고 있다. 포장관리의 측면에서는 손상된 부분에 대해서는 비교적 쉽게 보수할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아스팔트 포장의 색깔은 검정과 회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들 아스팔트 포장은 다양한 칼라로 표현할 수 있는데 크게 두 가지의 방법으로 칼라포장을 시공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시멘트 형태의 칼라도료를 아스팔트 포장에 칠하는 방법으로 도료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위를 요하는 시공이 요구된다. 두 번째의 방법은 칼라 첨가제를 이용한 칼라 아스팔트 시공을 들 수 있다. 본 방법은 원하는 아스팔트 층에 대해 전체적으로 색을 입히는 방법으로 장점으로는 일반적으로 쓰고 있는 혼합물 배합설계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으로는 주로 빨간색 그리고 갈색으로만 색깔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첨가제를 이용하여 영구변형, 수분민감도 및 피로균열에 대한 공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형 유통업체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변수에 관한 연구 : 할인점과 공급업체 간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tecedents of Ethical Leadership of Power Retailers,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ount Stores and Their Suppliers)

  • 김상덕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3호
    • /
    • pp.59-92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 인사조직 분야에서 집중적인 조명을 받고 있는 윤리적 리더십을 유통경로 연구에 적용함으로써, 그 동안 그 중요성에 비해 덜 조명되었던 유통경로 내 조직 간 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비교적 최근 밝혀지기 시작한 윤리적 리더십의 선행변수에 초점을 맞춤으로 유통경로의 구성원 간 관계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직의 성격특성과 관계유지전략이라는 두 가지 이론적 차원의 변수들과 실무자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 중요하게 언급된 공급업체 관리활동 변수들을 실증하였다. 국내 6대 할인점에 상품을 공급하는 공급업체 295개 사의 납품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대형 할인점의 조직특성 중 양심이, 관계유지 전략 중 개방전략, 갈등관리전략, 사회망전략이, 공급업체 관리활동 중 교육훈련과 공정한 보상이 대형 할인점의 윤리적 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형 할인점의 정서적 불안정은 윤리적 리더십을 약화시켰고, 친절성과 보장전략, 조직간 커뮤니케이션은 윤리적 리더십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서비스교육이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항공서비스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rvice Training on Self-Efficacy and Service Orientation - Centering on Students of Department of Airline Service -)

  • 정민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82-1097
    • /
    • 2011
  • 본 연구는 서비스 교육이 항공서비스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들에 대한 효과적이고 실무중심적인 서비스교육을 실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비스 교육은 크게 서비스 능력 교육과 서비스 성향 교육으로 구분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자기 효능감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서비스 지향성은 결과 지향과 과정 지향의 두 가지 요인으로 연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교육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인지적 자기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서비스성향 교육은 서비스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서비스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지향성은 유의한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IoT기반 피트니스 트래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Using IoT-Based Fitness Tracker)

  • 조덕윤;한경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17-1726
    • /
    • 2018
  • 본 연구는 플로우이론과 UTAUT모형에 의한 IoT기반 피트니스 트래커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IoT기반 피트니스 트래커의 독립변수들로 플로우 경험이론에서 사용된 도전감과 숙련도 요인을 활용하고 개인적 특성인 건강관심도와 유희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을 선정하였다. 또한 UTAUT이론을 활용하여 성과기대와 노력기대를 매개변수로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사용의도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126개의 설문자료를 수집하고 Smart PLS를 활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통합기술수용모델 (UTAUT)의 주요변수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입한 플로우 경험과 개인적 특성요인이 IoT기반 피트니스 웨어러블 환경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