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hloroethylen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9초

일부 세탁소의 유기용제 관리실태 및 공기중 노출농도에 관한 조사 (A Survey on the Management of Chemical Substances and Airborne Concentration in Laundries Exposed to Organic Solvents)

  • 노영만;권기범;박승현;정지연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0-77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by checklist and to evaluate the airborne exposure to chemicals and to provide the appropriate recommendation for safety and health of laundries. A total of 20 laundries located in tile Gyungi district area were surveyed from July 20 to September 15, 2000. The prevalence of laundries having a stove and gas range were found to be 25 % and 55 %, respectively. Smoking is not allowed in 60 % of the laundries. Only 10 % of dry-cleaners were isolated. Ventilation systems in laundries had not been annually inspected. Most of the workers didn't put on respirators, MSDS were not available, and storage bottles did not contain warning labels. The bulk samples of dry cleaning agent include many chemicals that are not controlled by the MOL in Korea. The detected airborne organic solvents in the laundries were benzene, toluene, p-xylene, m-xylene, o-xylene, perchloroethylene, and 2-butoxy ethanol.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organic solvents were much less than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Labor(MOL) in Korea. But the concentrations of benzene exceeded the TLV of ACGIH. This study show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was not appropriate for workers in laundries. It is recommended that laundry workers should be educated for the treatment and storage of hazardous organic solvents to improve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f the working environment as well as MSDS usage. Also, extended research and survey for the organic solvents that are not controlled by the MOL has to be conducted.

  • PDF

Evaluation of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of Clostridium bifermentans DPH-1 for Cost Effective PCE Degradation

  • Humayra Afroze Syeda;Hasegawa Yuki;Nomura Izumi;Chang Young C.;Sato Takeshi;Takamizawa Kazuhir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0권1호
    • /
    • pp.40-46
    • /
    • 2005
  • Clostridium bifermentans strain DPH-1 has already been found to dechlorinate perchloroethylene (PCE) to cis-dichloroethylene (cis-DCE) via trichloroethylene (TCE). In this study, our investigation on different culture conditions of this DPH-1 strain was extended to find a more efficient and cost effective growth medium composition for this DPH-1 strain in bioremediation practices. Temperature dependency of strain DPH-1 showed that the growth starting time and PCE degradation at $15^{\circ}C$ was very slow compared to that of $30^{\circ}C$, but complete PCE degradation occurred in both cases. For the proper utilization of strain DPH-1 in more cost effective bioremediation practices, a simpler composition of an effective media was studied. One component of the culture medium, yeast extract, had been substituted by molasses, which served as a good source of electron donor. The DPH-1 strain in the medium containing molasses, in the presence of $K_{2}HPO_4\;and\;KH_{2}PO_4$, showed identical bacterial multiplication (0.135 mg protein $mL^{-1}h^{-1}$) and PCE degradation rates ($0.38\;{\mu}M/h$) to those of the yeast extract containing medium.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염소계 화합물 수용액의 분리 (Separation of Aqueous Chlorinated Hydrocarbons by Pervaporation)

  • 이영무;유승민;오부근
    • 멤브레인
    • /
    • 제6권1호
    • /
    • pp.53-57
    • /
    • 1996
  • 본 연구는 독성이 매우 강하여 체내에 미량이 흡수되어도 큰 영향을 미치며, 난분해성 물질로서 재래식 방법으로는 잘 제거가 되지 않고 있는 염소계 유기화학물들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퍼클로로에틸렌(PCE)의 효과적인 분리 제거를 위하여 고분자 복합막을 이용한 투과증발법을 적용하여 검토하여 보았다. 고분자 복합막은 염소계 유기화합물에 대한 선택층으로써 폴리이소부틸렌(PIB), 기계적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지지층으로써 부직포위에 코팅된 다공성 폴리에테르술폰으로 구성되었다. 용해도 파라미터차($\Delta{ps}$)를 구한 결과, TCE 및 PCE에 대한 용해도 파라미터차가 물과의 용해도 파라미터차에 비해 훨씬 작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폴리이소부틸렌은 염소계 유기화합물에 대한 복합막의 선택층 소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여 TCE 및 PCE의 분리를 실시한 결과, 폴리이소부틸렌 복합막의 경우 TCE 및 PCE의 선택적 분리에 적합함을 알 수 있으며, TCE 보다 PCE의 선택적 제거에 더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dentification of Tetrachloroethylene Sorption Behaviors in Natural Sorbents Via Sorption Models

  • Al Masud, Md Abdullah;Choi, Jiyeon;Shin, Won Sik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6호
    • /
    • pp.47-57
    • /
    • 2022
  • A number of different methods have been used for modeling the sorption of volatile organic chlorinated compounds such as tetrachloroethylene/perchloroethylene (PCE). In this study, PCE was adsorbed in several natural sorbents, i.e., Pahokee peat, vermicompost, BionSoil®, and natural soil, in the batch experiments. Several sorption models such as linear, Freundlich, solubility-normalized Freundlich model, and Polanyi-Manes model (PMM) were used to analyze sorption isotherms. The relationship between sorption model parameters, organic carbon content (foc), and elemental C/N ratio was studied. The organic carbon normalized partition coefficient values (log Koc = 1.50-3.13) in four different sorbents were less than the logarithm of the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 (log Kow = 3.40) of PCE due to high organic carbon contents. The log Koc decreased linearly with log foc and log C/N ratio, but increased linearly with log O/C, log H/C, and log (N+O)/C ratio. Both log KF,oc or log KF,oc decreased linearly with log foc (R2 = 0.88-0.92) and log C/N ratio (R2 = 0.57-0.76), but increased linearly with log (N+O)/C (R2 = 0.93-0.95). The log qmax,oc decreased linearly as log foc and log C/N increased, whereas it increased with log O/C, log H/C and log (N+O)/C ratios. The log qmax,oc increased linearly with (N+O)/C indicating a strong dependence of qmax,oc on the polarity index. The results showed that PCE sorption behavior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organic matter (SOM).

조선시대(朝鮮時代) 충정관(忠靜冠)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of Chungjeong-Kwan, Joseon Dynasty)

  • 이미식;송미경;배순화;홍문경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3권
    • /
    • pp.29-36
    • /
    • 2001
  • 강원도 원성군 호저면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모자(충정관)를 보존처리하였다. 모자는 양모 펠트 직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견섬유의 끈으로 장식되어 있었다. 처리 전의 모자는 심하게 오염되어 있었고 좀벌레에 의해 손상된 상태였다. 유물의 처리과정은 부드러운 붓과 핀셋으로 고형오염물을 제거한 후 유물을 지지할 수 있는 스테인레스 망을 이용하여 퍼클로로에틸렌으로 2차례에 걸쳐 건식세탁하였다. 여분의 용매는 압지법을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세탁 후 유물의 감량률은 7.99%, 세탁 전후 유물의 색차는 2.57을 나타냄으로써 유물에 부착되어 있던 각종 오염물들이 탈락되었으며, 모자의 외관이 깨끗해지고 밝아졌다. 세탁 후 견봉사를 이용하여 장식용 끈들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고 모자의 모양을 잡아주는 보수 작업을 실행하였다.

사염화에틸렌(PCE)으로 오염된 국내 4개 지역 지하수 내 생물학적 PCE 탈염소화 활성 및 미생물 군집의 비교 (Evaluation of Microbial PCE Reductive Dechlorination Activity and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using PCE-Contaminated Groundwater in Korea)

  • 김영;김진욱;하철윤;권수열;김정관;이한웅;하준수;박후원;안영호;이진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2호
    • /
    • pp.52-58
    • /
    • 2005
  • 본 연구는 사염화에틸렌(Perchloroethylene) 또는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 내에 국외에서 보고된 환원성 탈염소화 미생물의 존재 유무와 사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탈염소화 활성도를 평가하였다. 마이크로코즘 테스트(microcosm tests)는 4개의 오염지역(창원 A, 창원 B, 부천 및 양산) 지하수와 다양한 전자공여체 (sodium lactate, sodium propionate, sodium butyrate, sodium fumarat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단일 전자공여체 와 창원 A 혹은 창원 B 지하수를 주입한 전 마이크로코즘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분해 시 발생하는 최종 산물인 에틸렌이 배양 90일 후에 검출되었고, 부천 혹은 양산 지역의 지하수를 주입한 마이크로코즘에서는 배양 90 일 후 시스-1,2-디클로로에틸렌(cis-1 ,2-Dichloroethylene)만이 검출되었고, 염화비닐(Vinyl chloride) 과 에틸렌은 검출되지 않았다. 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창원 B 지역 지하수와 불완전 탈염소화 생분해가 확인된 양산 지역 지하수 내 미생물 군집을 비교하기 위해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창원 B 지역 지하수의 클론 라이브러리(Clone library)에서 사염화에틸렌 완전 탈염소화 미생물, uncultured bacterium clone DCE47과 매우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양산 지역의 클론 라이브러리에서는 기존의 염화에틸렌 탈염소화 미생물과 유사한 염기서열 클론이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일부 지역의 지하수 내에 사염화에틸렌을 완전 탈염소화하여 무해한 에틸렌으로 분해하는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적절한 전자공여체를 공급하는 경우 그 분해 활성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사염화에틸렌 혹은 트리클로로에틸렌으로 오염된 국내 지하수를 경제적인 공법인 환원성 탈염소화 생물학적 공정으로 복원할 수 있는 기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고 사료된다.

염소계 탄화수소의 열촉매 분해와 황화합물에 의한 촉매독 영향 평가 (Evaluation of Thermal Catalytic Decomposition of Chlorinated Hydrocarbons and Catalyst-Poison Effect by Sulfur Compound)

  • 조완근;신승호;양창희;김모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77-583
    • /
    • 2007
  • 다양한 산업체에서 배출되는 독성오염물질들을 제어하는 기존의 기술이 안고 있는 일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전이금속 지지체로 구성된 스테인레스스틸-백금 촉매를 이용하는 열촉매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섯 가지의 염소계 탄화수소[chlorobenzene(CHB), chloroform(CHF), perchloroethylene(PCE), 1,1,1-trichloroethane(TCEthane), trichloroethylene(TCE)]의 열촉매 분해효율을 평가하기 위해서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촉매독이 열촉매 분해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열촉매 시스템의 주요 세 가지 운전인자인 유입농도, 소각 온도 및 촉매시스템내 체류시간이 본 연구에서 고려되었다. 유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염소계탄화수소의 분해효율이 최대 100%에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최저 0%(CHB) 가까이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CEthane을 제외한 네 가지 염소계탄화수소의 분해효율은 온도 증가에 따라 100% 가까게 나타났으나, TCEthane의 분해효율은 온도가 증가해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CEthane을 제외한 조사대상물질에 대하여 촉매시스템내의 체류시간이 10초에서 60초로 증가시 오염물질에 따라 30%에서 97%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TCEthane은 체류시간 30초에서 분해효율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체류시간 길이가 항상 분해효율과 비례하는 것이 아님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염소계 탄화수소를 보다 고효율로 제어하기 위해서 전이금속 촉매시스템을 적용할 경우에 유입농도, 반응온도, 그리고 촉매시스템내 체류시간과 더불어 제어하고자하는 오염물질의 종류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한편으로, 황화메틸 1.0 ppm을 첨가함으로서 조사대상오염물질의 분해효율이 $0\sim50%$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지만, 일반적으로 산업 배기가스에서 측정되는 황화합물의 오염도 수준보다 다소 낮은 농도에 해당하는 황화메틸 0.1 ppm을 오염물질에 첨가하였을 때는 오염물질의 분해효율에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PTMSP/PDMS-PEI 복합막을 이용한 폐수중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Removal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Wastewater using PTMSP/PDMS-PEI Composite Membrane by Pervaporation)

  • 권창오;백귀찬;전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532-3540
    • /
    • 2011
  • Poly(1-trimethylsilyl-1-propyne)/poly(dimethylsiloxane)-polyetherimide (PTMSP/PDMS-PEI) 복합막을 상전환법과 dip coating에 의해 제조하여 PTMSP/PDMS 균질 치밀막의 투과유량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균질 치밀막과 복합막을 이용하여 투과증발법에 의해 수중에 용해된 미량의 perchloroethylene(PCE), trichloroethylene (TCE), chloroform, 1,1,1-trichloroethane 등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 실험을 통해 투과증발 특성을 상호 비교하였다. PTMSP/PDMS 균질 치밀막의 선택도는 216.2에서 2394.4범위의 값을 나타냈으며 투과유량은 244.3g/$m^2.h$에서 428.2g/$m^2.h$ 사이였으며, PTMSP/PDMS-PEI 복합막의 선택도는 215.5에서 2404.2범위였고 투과유량은 390.4g/$m^2.h$에서 728.6g/$m^2.h$ 값을 보여 이 복합막의 투과특성을 균질 치밀막과 비교할 때 선택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투과유량은 상당히 증대되었다. PTMSP/PDMS-PEI 복합막은 분리대상 용질 중 PCE의 분리에서 가장 우수한 투과특성을 나타냈으며 균질 치밀막보다 내구성과 기계적강도가 좋아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자연광석을 이용한 염소계 지방족 탄화수소 혼합물 변환 특성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 (CAH) Mixtures by Natural Ores)

  • 손봉한;김남희;홍광표;윤준기;이채영;김영;권수열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712-722
    • /
    • 2007
  • This study screened three natural ores (iron, mangenase, and zinc), two types of slags, and two elemental metals (elemental iron and zinc) to evaluate transformation characteristics of CAH mixtures [e.g. Carbontetrachloride (CT), 1,1,1-Trichloroethane (1,1,1-TCA), and Perchloroethene (PCE)]. To select an effective metal medium to treat the CAH mixtures, we measured transformation capacities (CAH mass ultimately transformed/mass of metal added) and the degree of dechlorination. We also considere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metal media by comparing the value, CAH mass ultimately transformed divided by the price of metal medium added. A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 adapting CAH transformation capacity, first-order transformation kinetics, and available mass of metal transforming CAH was developed and used for estimating CAH transformation rate coefficient and longevity of the metal medium. CAH transformation capacity for elemental iron and elemental zinc were 4258~7129 and $4215{\sim}6330{\mu}g\;CAH\;transformed/g$ metal added, respectively, which are a factor of 80~200 higher than slags and natural ores. They also showed a factor of 1.1 to 2.2 greater degree of dechlorination than the others. Among natural ores and slags, Zinc ore showed the highest transformation capacity, $47{\sim}53{\mu}g\;CAH\;transformed/g$ metal added. Although zinc ore have smaller transformation capacity than elemental metals, economical efficiency of zinc ore is a factor of 10~20 greater than elemental metals tested. Consequently, zinc ore would be more economical medium than the others tested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seudo first-order transformation rate of zinc ore was in the order of CT > 1,1,1-TCA > PCE.

설문조사에 근거한 캠프 캐럴 인근 주민의 건강수준 (Health Status Based on Questionnaire Survey Among Residents Around Camp Carroll, Gyeongsangbuk-do, Korea)

  • 민영선;임현술;이관;박선애;이덕희;주영수;양원호;김근배;유승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12-321
    • /
    • 2013
  • Objective: In May 2011, an interview with three United States Forces Korea veterans revealed that chemicals believed to be 'Agent Orange' were buried at Camp Carroll (situated in Waegwan, Chilgok-gun, Gyeongsangbuk-do, Korea) in 1978. Many hazardous chemicals, such as perchloroethylene (PCE), trichloroethylene (TCE), and organochlorines were subsequently found in a joint US-ROK environmental investigation, although dioxins or burial evidence related to 'Agent Orange' have been not uncover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hazardous chemical exposure and health effects of the residents around Camp Carroll. Methods: The authors conducted a health questionnaire survey among residents around Camp Carroll regarding Waegwan groundwater ingestion, length of residence in Waegwan, and physician-diagnosed disease history (such as cancer, hypertension, diabetes and etc.).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hazardous chemical exposure and physician-diagnosed diseases. Results: Among the 5,320 residents, excluding those living outside the Waegwan area, 3,430 subjects age 30 and over were analyzed. Among females, upon correction of age, smoking history and Camp Carroll working history, a higher distribution in the Waegwan groundwater ingestion group was demonstrated for patients with physician-diagnosed cancer and hypertension. The odds ratios have a tendency to increase with increased length of Waegwan groundwater ingestion. Conclusions: This study may be limited by not adopting a cohort study for the evaluation of factors that may confound environmental exposure. Yet it is meaningful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Waegwan groundwater ingestion and chronic diseases were foun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n female; and further, this outcome may be used as a sampling basis for a secondary epidemiologic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