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sacrifi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의도 연구: 가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tention to Use Personal Cloud Services: Focusing on Value Comparison)

  • 민경회;곽찬희;최한별;이희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1-24
    • /
    • 2020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개인 소비자에게도 그 서비스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 기반 수용 모형에 기반하여 서비스 사용 요인을 편익과 희생관점에서 구분하고, 사용자 집단을 서비스를 사용 중이거나 경험한 적이 있는 사용자와 경험한 적 없는 사용자로 나누어 각 집단 별 지각된 가치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는 사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에서 희생 요인 중 지각된 비용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편익의 지각에서는 집단 별 차이를 보였다. 경험자의 지각된 가치에는 편익 요소 중 지각된 유용성, 편재성, 네트워크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비경험자는 편재성이 유효하지 않았다. 또한 경험자에게는 유용성이, 비경험자에게는 네트워크 효과가 가장 유의한 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자의 사용 의도를 편익과 희생 관점으로 검정하고 이전 사용 경험의 역할에 대해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유통업체 상표의 지각된 정보단서가 이의 지각품질, 지각희생 및 선호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Private Brand′s Perceived Cues on It′s Proneness)

  • 김성배;전인수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6권2호
    • /
    • pp.19-40
    • /
    • 2002
  • 기존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유통업체 상표가 제조업체 상표에 비해 평균 23.3% 저렴하여 가격경쟁력을 갖는다고 한다. 하지만 유통업체 상표가 소매점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미국의 경우 25-30%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비해 우리나라는 아직 4% 정도로 미미한 수준이다. 그 이유를 본 연구에서는 유통업체 상표가 갖는 정보의 단서효과에서 찾고 있다. 유통업체 상표가 갖는 정보단서가 이의 선호로 연결되는 과정을 지각가치의 수단-목표모델로 설명하여 10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은 E-마트 서부산점에서 포장소비재를 구입한 소비자를 대상으로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중 흥미로운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외재단서 중 상표태도가 유통업체 상표의 정보단서로서 가장 중요하며, 지금까지 연구되지 않았던 내재단서가 정보단서로 중요함이 새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제조업체 상표를 준거가격으로 사용하는 지각가격도 유통업체 상표의 정보단서로 중요하였다. 끝으로, 정보단서와 선호를 연결하는 지각가치를 구성하는 두 요소인 지각품질과 지각희생 중 지각품질만이 유통업체상표 선호와 정(+)의 관계를 보여, 혁신층에 가까운 4%는 위험추구적 성향이 강함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se Intention of Virtual Reality(VR) Devices: Based on UTAUT and VAM Model

  • Li, Zhou-Yang;Yoon, Sung-Joon;Liu, Zi-Y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35-43
    • /
    • 2019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influence factors of Virtual Reality(VR) technologies acceptance based on the study of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an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to test the use and acceptance of VR devices. The survey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data from a total of 400 consumer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nefit components perceived enjoyment(EN) and sacrifice components personal innovative(PI) of VR devic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values and use intention of VR devices, although the benefit components performance expectancy(PE) was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values(PV) but was not positively related to the use intention of VR devices. Second, sacrifice components perceived cost(PC) and anxiety(ANX) of VR devices wer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value(PV), but were not negatively related to the use intention of VR devices. Third, perceived values was not obvious related to the use intention(UI) of VR de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as a new attempt to examining the effect on consumer use intention in VR technology areas.

디지털금융 기반 마이데이터 앱 초기 사용자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ntion of Early Users of Digital Finance baesd Mydata Service Application)

  • 이태원;성행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2권1호
    • /
    • pp.1-2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ntion of early application user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finance-based MyData service users. It is expected that user characteristics will affect the intention to use MyData service, which has not yet been advanced, and accordingly, it will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itial users of MyData service and the intention to use it are connected.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model used in this study is a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and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online user acceptance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online users. VAM has been proven useful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many studies.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is a method of analyzing the intention to use Benefits and Sacrifices as the main elements of perceived value. It can be said to be a model that can analyze the benefits of use and the sacrifices to be made.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sefulness, enjoyment, and reliability, which are the benefits of MyData service apps,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which is partially consistent with existing research results. However, it was found that complexity, which is the sacrifice of MyData service apps, negatively affects perceived value and security has no negative impact. The results of security are considered to be complementary to financial institutions because MyData service deals with financial data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search hypothesis is rejected because users' demands are relatively low. Therefore, MyData service apps should do more to increase benefits (usefulness, enjoyment, and reliability) than to reduce sacrifice (complexity) to users.

남해안 지역 음식점의 서비스품질과 충성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효과 평가 (Measuring the Effects of Mediating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aurant Sonics Quality and Loyalty In Namhaean Area)

  • 고범석;강종헌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3-30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mediating effects of sacrifice, value and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aurant service quality and loyalty. A total of 273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measure the causal effects of service quality, perceived sacrifice,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Results of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 for the data also indicated excellent model fit.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sacrifice on valu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s of service quality and value on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fluences of value and satisfaction on loyal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expected, the service q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yal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loyally was mediated by value. Moreover,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loyalty w3s mediated by satisfaction.

O2O 서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O2O Services)

  • 정유진;송용욱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25-151
    • /
    • 2016
  • In recent years, O2O (Online to Offline) services get a lot of attention to improve the trust in online shopping and minimize the inconvenience and the cost burden in offline shopping as the number of consumers, who do not show concern about the purchase platform like online or offline, increases. Even though the services have been getting the spotlight as a strong business platform for next generation commerce,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n the O2O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location-based O2O services. The study is based on VAM (Value-based Adoption Model) which is able to analyze those factors from the aspects of benefit and sacrifice. We used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ethod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ult shows that contextual offers, instant connectivity, webrooming and economic efficiency, which fall under the benefit, affect perceived value positively while annoyance and face consciousness, which fall under the sacrifice, do not affect perceived value significantly. In addition, contextual offers and instant connectivity affect trust positively. Location accuracy, which falls under the benefit of location-based O2O service, do not significantly affect perceived value and trust while security risk affects trust and use intention negatively. It appears that trust affects perceived value and use intention positively.

Empirical Valid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 for Cryptocurrency with Use Intention

  • Kim, Jeong-Wook;Choi, Chul-Y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41-15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s affect the intention to use domestic cryptocurrency services. VAM(Value based Adoption Model) model is validat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electing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security as a benefit factors, and considers perceived cost, technical complexity, and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s as sacrifice factors. The method of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survey to collect 150 data on user's perception on cryptocurrency services, and also perform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 using by AMOS 23. The result of this paper shows that all hypotheses are accep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2 hypothesis. This research is concluded that perceived value is affected on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security, and negative impact on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violation risk, not statistically perceived fee and technical complexity.

Wear Your Heart on Your Sleeve: Exploring Moral Identity as a Moderator Across CSR Authenticity, Consumer Admiration, and Engagement in the Fashion Industry

  • Jung, Edward;La, Suna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2권2호
    • /
    • pp.19-57
    • /
    • 2020
  • A rapidly shifting, hyper-sensitive modern fashion industry, coupled with an increasingly developing global environmental concern, has seen to an ever-imperative role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o play in the successful operation of fashion companies.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s effective measures for successful CSR implementation in both corporate and consumer domains, looking at Patagonia, an exemplar company with an environmental mission, to understand the central contributions of active consumer engagement to the success of CSR initiatives. We explore consumer admiration as a concept necessary to elevate CSR practices from image maintenance to genuine engagement and advocacy, and how such admiration could be cultivated on the consumer-side, investigating perceived CSR authenticity and corporate self-sacrifice as primary determinants. Specifically, we speculate the asymmetric role of consumers' moral identity, revealing that moral identity symbolization positively interacts with both determinants while negatively moderating the relationship of these intentions and consumer admiration. We derive our analysis from diverse international and Korean data, concluding with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mpanies in pursuit of environmental CSR campaigns that bridge consumer and company, as well a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투척선수의 지도자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ch confidence on athlete satisfact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throwers)

  • 이명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54-4060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투척선수들의 지도자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1년 4월21일부터 25일까지 5일간 개최된 제40회 전국종별육상선수권에 참가한 고등부, 대학부, 일반부 남 여 육상투척선수 19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 목적에 따라 사례별로 분리 입력하였다. 지도자와 선수의 신뢰가 선수만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으로 각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첫째, 투척선수들의 지도자 신뢰는 선수만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은 선수만족의 하위요인인 기술분석, 지도능력, 코치자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투척선수들의 지도자신뢰는 인지된 경기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다. 즉, 지도자 신뢰의 하위요인인 성실성, 능력, 일관성, 이타성, 개방성은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승리의지, 기량발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투척선수들의 지도자신뢰는 선수만족은 물론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구독경제 이용 만족도 및 지속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ubscription Economy)

  • 정병규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1호
    • /
    • pp.1-16
    • /
    • 2023
  • 4차산업혁명의 진전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구독경제가 급격히 확산 되고 있다. 특히 제품의 서비스화가 진전되면서 구독경제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독경제의 확산을 위해 소비자 관점에서 이를 촉진하는 요인과 방해하는 요인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품질에서 만족, 충성도, 성과로 이어지는 매커니즘을 밝힌 SPC(Service Profit Chain) 모델을 토대로 혜택 요인과 희생 요인을 함께 다루고 있는 VAM(Value-based Adoption Model)의 framework을 결합하여 연구 모형을 도출하였다. 혜택 요인으로 유용성과 편의성을, 희생 요인으로 인지된 위험과 인지된 비용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 분석을 위해 구독경제 이용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300부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AMOS 24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으로 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편의성은 이용 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위험과 인지된 비용은 이용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유용성은 이용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는 인지된 비용, 편의성, 인지된 위험 순이었다. 이용 만족도는 지속 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술적인 차원에서 기존의 검정된 모형을 결합하여 그 유효성을 검정하므로서 연구의 지평을 넓혔고, 실무적 차원에서는 인지된 비용이 여전히 중요한 요인임을 검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