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ived ease-of-use

검색결과 731건 처리시간 0.027초

u-러닝 환경에서 태블릿 미디어의 수용적합성에 관한 연구: Kano 모델 및 IPA 방법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itability for Acceptance of Tablet Media in the u-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Kano's Model and IPA Methodology)

  • 서현식;송인국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3-9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u-러닝 환경에서 기존 노트북에 비해 태블릿의 수용이 적합한지 그 특성 및 환경을 비교하고자 함에 있다. u-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에게 적합한 미디어의 수용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연구들은 기술수용 관련 연구에서 유용성 및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고 그 요인들을 충족시키는 방안에 치중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u-러닝 환경에서 미디어의 사용에 필요한 속성인 디바이스, 앱(콘텐츠), 사용자, 인프라 등 네 가지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Kano 모델 및 IPA 방법론에 이들 네 가지 범주의 속성들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Kano 모델을 통해서는 학습자의 전반적 만족도와 선형 관계에 있지 아니한 매력적, 본원적 품질을 파악하게 되었으며, IPA 분석을 통해서는 학습자들이 중요시 여기는 항목들이 충족되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u-러닝 환경에서 신 미디어의 수용은 개별 속성에 대한 만족도뿐만 아니라 상대적 중요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웹 컨텐츠를 이용한 실습교육의 수용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공업계 고등학교 전자교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udents' Acceptance Factors of Web-Contents based Classroom for Studying Electronic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s)

  • 김성배;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91-98
    • /
    • 2002
  • 7차 교육과정이후 ICT는 실업계 고교의 수업에서 교육효과 제고를 위한 중요한 도구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전자과 실습교육을 위한 웹 컨텐츠를 설계, 개발, 수업에 적용하여 어떤 요인들이 학습자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에는 웹 컨텐츠의 용이성, 유용성, 재미 등의 요소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이외의 웹 컨텐츠의 디자인, 이미지, 질, 학습자의 태도, 자기 효능감 등의 요 인들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업계 고교 수업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웹 컨텐츠 설계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확장된 TAM을 이용한 인터넷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품질 특성과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ntention of Usage on Internet Brand Community Site by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안운석;장형섭;오종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69-94
    • /
    • 2009
  • 본 연구는 인터넷 브랜드 커뮤니티 품질특성과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변수 그리고 커뮤니티 방문자의 이용의도에 대한 전반적인 영향관계 분석을 통해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이용자 행동 고찰과 브랜드 커뮤니티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의 검토후 실증분석을 통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자의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해 브랜드 커뮤니티 품질 특성인 시스템품질, 서비스품질, 정보품질에 대한 관리에 힘써야 한다. 특히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이용용이성, 유용성, 플로우, 즐거움, 사회적 상호작용성에 전체적으로 서비스품질과 정보품질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시스템품질의 개선을 위한 노력과 더불어 제공 서비스 개선과 정보의 정확성, 최신 정보의 제공에 보다 전략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이용자들 간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구성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적 측면과 관련 콘텐츠의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커뮤니티 이용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사회적 상호작용성과 플로우를 제시하였는데 이는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 이용자와 운영자 모두에게 중요한 변수이다.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 간의 교류를 통해 그 활동에 빠져들게 되고 그로 인해 브랜드 커뮤니티 사이트의 이용에 대한 태도가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두 변수의 효과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가상세계 및 공간간의 자기차이가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in Virtual and Cross Worlds on Individuals' Activities in Online Communities)

  • 이주민;신경식;서아영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45
    • /
    • 2011
  • 가상 공간의 익명성으로 인하여 개인들은 물리적 세계와 다른 자기를 가상 세계에서 창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물리적 세계의 자기와 가상 세계의 자기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가 개인의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자기차이이론(Self discrepancy theory)을 기반으로 자기차이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도출하고 자기차이를 가상 세계 내에 존재하는 자기차이(Self-discrepancy in virtual world)와 물리적 세계와 가상 세계 사이에서 존재하는 자기차이(Cross-world self-discrepancy)로 세분화 하였다. 또한 각각의 자기차이를 요인 분석을 통하여 개인적 자기차이(Personal self-discrepancy)와 사회적 자기차이(Social self-discrepancy)로 구분하였다. 도출된 서로 다른 유형의 자기차이가 개인의 커뮤니티 지속사용 및 지식 기여 사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론적 모형을 개발하고, 수집된 300개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이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가상 세계 내에서 존재하는 자기차이는 지각된 자기표현 유용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가상 세계와 물리적 세계 사이에 존재하는 자기차이는 자기표현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자기표현 유용성과 사용 용이성은 커뮤니티 지속 사용과 지식기여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자가차이 이론에서 논의되어온 자기에 대한 개념을 가상세계의 자기로 확장하였으며, 서로 다른 유형의 자기차이가 개인의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온라인 커뮤니티 정황에 적용함으로써 자기 개념에 대한 이론적 발전에 기여하였다.

정보시스템 사용과 성과에 있어서 자발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Voluntariness in the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 Usage and Performance)

  • 이승창;이호근;정창욱;정남호;서응교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9권2호
    • /
    • pp.195-221
    • /
    • 2009
  • According to an industry report, a large number of organizations have invested in Organizational Information System(OIS) in the past few years. Several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successful investments in OIS lead to productivity enhancement, while failed ones result in undesirable consequences such as financial losses and dissatisfaction among employees. In spite of huge investments, however, many organizations have failed in achieving the hoped-for returns from OIS. Thus, understanding user acceptance, adoption, and usage of new IS(Information Systems) is an important issue for IS practitioners. Indeed, study of the user acceptance of new information system has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the contemporary IS literature. Several theoretical models are tested to examine 'user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in IS context. While many research models incorporate 'ease of use' or 'usefulness' as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user acceptanc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has been one of the most widely applied models in user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Even in recent IS studies that employ theories of innovation diffusion in the area of IS implementation, a major focus has been on the user's perce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ies. In this research, we study 'voluntariness' as an important factor in IS acceptance by users. Voluntariness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the use of the innovation is perceived as being voluntary, or of free will" When examining the diffusion of accepting OIS, a thought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perceived voluntariness.' Current article has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models are appropriate to explain the success of OIS? and 2) How does the 'voluntariness' affect the success of OI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a research model is proposed to describe the detailed nature of association among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T usage level, task interdependen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a mediating variable (IS usage), a dependent variable (perceived performance), and a moderating variable(perceived voluntariness). The central claim of this article is that organizations hardly realize expected returns from OIS investments unless perceived voluntariness is effectively managed after operating OIS. As an example of OIS in this study we have selected the Intranet of Republic of Korea Air Force (ROKAF). ROKAF has implemented the Intranet in an attempt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To test our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first sent out to 400 Intranet users. With the assistance of ROKAF, Intranet users were initially identified among its members, and subjects were randomly drawn from the pool. 377 survey responses were finally returned. The unit of measurement and analysis in this research is a personal level. Path analysi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Construct validity represents accordance between the theoretical base concept of constructs and its measurement items. Tests for the reliabil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are accepted, thus verifying our survey instrument. In this research, we have proposed a conceptual framework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erceived voluntariness after organization deploys OIS. The results of our analysis present several key finding. First, all three independent variables (IT usage level, task interdependen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S usage, which will eventually improve performance. Thus, IS usage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antecedent variables (IT usage level. task interdependency, and organizational support) and performance improvement. Second, the effect of the task dependency was the highest for IS usage among the three antecedent variables. This is highly plausible since one of the Intranet's major capabilities is to facilitate communication among members within an organization. Accordingly, we conclude that the higher the task dependency, the higher Intranet usage. The effect of user's IT usage level was the second, while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al support was the third. Finally, the perceived voluntariness plays a pivotal role in enhancing perceived performance in personal level after launching the Intranet. Relationships among investigated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with a high level and a low level of voluntariness. The impact of the Intranet usage on the performance was greater in the higher level voluntariness group than in the lower one. For the lower level voluntariness group, the user's IT usage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Intranet usage among the three antecedent variables. In short, our study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voluntariness is the more IS usage will be. Perceived voluntariness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user IT usage level, task interdependency, IS usage, and perceived performance, supporting all the hypotheses on the moderating effect. Most of all, user IT usage level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IS usage, indicating that users with superior IT usage are more likely to enjoy a high level of perceived performance.

Factors influencing farmed fish traders' intention to use improved fish post-harvest technologies in Kenya: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Jimmy Brian Mboya;Kevin Odhiambo Obiero;Maureen Jepkorir Cheserek;Kevin Okoth Ouko;Erick Ochieng Ogello;Nicholas Otieno Outa;Elizabeth Akinyi Nyauchi;Domitila Ndinda Kyule;Jonathan Mbonge Mungut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6권2호
    • /
    • pp.105-116
    • /
    • 2023
  • Improved fish post-harvest technologies (IFPT) have been promoted as more efficient methods of fish processing, preservation, and value addition than the traditional methods prevalent in developing countries. The adoption rates, however, do not appear to be convin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fluence intention of Kenyan farmed fish traders to use IFPT.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as used to properly explain the impact of TAM construct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PU), perceived ease of use (PEOU), and attitude (ATT), as well as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nd fish trading experience on traders' intention to use the technologie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146 traders in Busia, Siaya and Kakamega counties. At a significance level of p = 0.05, a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socio-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the traders' behavioral intention to use the improved technologi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U (β = 0.443; p = 0.000), PEOU (β = 0.364; p = 0.000) and ATT (β = 0.615; p = 0.000) influence traders' intention to use IFPT, with ATT having the highest influence on intention. However, the trad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no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use the technologies, as the coefficients for gender (β = 0.148; p = 0.096), age (β = 0.016; p = 0.882), level of education (β = -0.135; p = 0.141) and fish trading experience (β = 0.017; p = 0.869) are all insignificant.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traders intend to use IFPT and will use them when it is in their best economic interests.

기술수용모델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 사용의도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use metaverse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홍현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33-541
    • /
    • 2022
  • 코로나19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는 비대면 수업이 정착되었다. 이에 온라인 수업, 블렌디드 러닝 등의 방법이 도입 되었으며,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메타버스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메타버스는 비대면 방식에서 나타난 물리적 환경에서 오는 교육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초등교육 학습자들에게 보다 적합한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 메타버스를 교육 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들의 사용의도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수용모델에 기반하여 예비교사의 교육역량과 메타버스 사용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에 대한 유연성, 교수효능감,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의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예비교사 2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최종 수집된 18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의 메타버스 교육역량 중 유연성과 TPACK은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하여 메타버스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였다. 이와 관련 논의와 예비교사들의 메타버스 사용의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조작 방식에 따른 음성과 소리 피드백의 할당 방법 가전제품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n Arrangement Method of Voice and Sound Feedba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 For Interaction of Domestic Appliance)

  • 홍은지;황해정;강연아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22
    • /
    • 2016
  • 가전제품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스크린 등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기기 역시 사운드, 음성,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따른 피드백 방식을 배정하는 원칙이나 기준이 없어 각 브랜드, 기기 별로 임의로 배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음성 명령을 통해 조작할 때와 버튼으로 조작할 때 가전제품에서 주어지는 피드백의 방식으로 음성, 소리 중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 방식(음성 인식, 버튼), 피드백 방식(음성 안내, 소리)의 조합으로 구성 된 총 4가지($2{\times}2$) 셀을 갖는 요인 설계 실험을 진행하였고,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조합에 따라 피 실험자가 느끼는 사용성, 만족도, 선호도, 적합도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전제품을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하는 것이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버튼으로 조작 했을 때는 피드백 방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정되었다. 조작 방식, 피드백 방식의 조합이 가전에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식의 주효과가 검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소리(earcons)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버튼을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음성 안내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또한 가전에 어떠한 조작 방법이나 피드백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법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뱅킹에서 오프라인 신뢰와 온라인 거래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Offline Trust and Online Transaction in Internet Banking)

  • 이웅규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7권2호
    • /
    • pp.29-47
    • /
    • 2007
  • Owing to the rapid growth of using the Internet, not only click-and-mortar companies but also brick-and-mortar ones have been expanding their distribution channels into online, Moreover, since online channels are more attractive than offline ones in control and maintenance, switching customers into online ones is emerged as one of very important managerial issues in a view of reduction of cost as well as expansion of services. However, the switched customers should be faced by uncertainties which could not have been experienced in offline. Specifically, in online channels, buyers and sellers are separated temporally and spacially and there are always so many kinds of threat for security as well as not enough systems and conventions for them yet. Therefore, trust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mechanisms for resolution of such uncertainties in online transactions. However, it is not easy to build and maintain the relationships in online since most of them are virtual and indirect generally. Therefore, in order to switch offline customers into online ones,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strategies based on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transaction and offline trust which has been built in offline business. Generally offline trust, which has been built independent of online, could not include trust for online-dependent activities such as payment security during or after transactions, while most of online trust include it. Therefore, a customer with high offline trust does not always perceive high security and assure safe transactions. Accordingly, while online trust, where technical capabilities for online security is one of main bases, includes control trust implicitly or explicitly, offline trust does not. However. in spite of such clear discrimination and independence between offline trust and perceived security, there can be the significant dependency between these two beliefs. The customers with high offline trust believe that the company would do some activities for online security for customers' safe transactions since it has been believed of doing well for customers' trust. Theoretically, users' perception of security is interpreted as a kind of control trus, which is trust for company's technical control capacities in order to resolve technical uncertainties in onlin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beliefs can be considered as transference from offline trust to another type trust. that is, control trus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ffline trust on online transaction uses mediated by perceived security. For this purpose, we suggest a research model based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Reuse intention is adop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AM is modified by adding perceived risk (PR) as well as two beliefs of using Internet banking, perceived usefulness (PU) and perceived ease of use (PEOU). Moreover, perceive security (PS) is adopted as an external variable for PR and PU, while offline trust (OT) is an antecedent of PS. For an empirical test, sampling from 108 visitors to the banks in Daegu, Korea, we analyze our model by partial least square (PLS) approach. In result, our model is shown to explain 51.4% of the variance in reuse intention and all hypothesis are supported statistically. A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role of PS between offline trust and reuse intention of using online transaction services. According to our result, PS can be considered as a mediation variable for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concepts: trust that explains social aspects of customers and companies, and TAM that explains customers' reuse intention.

모바일 쇼핑몰 고객들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TPB와 신뢰의 통합적 관점에서 (Consumer Purchase Decision in a Mobile Shopping Mall: An Integrative View of Trust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홍세일;이빈;김병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1-171
    • /
    • 2016
  • 최근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확산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쇼핑 행태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 행동 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에 신뢰를 통합하여 모바일 쇼핑몰 고객들의 구매 의사 결정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 신뢰를 행동에 대한 태도의 주요 선행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보안, 지각된 위험, 주관적 규범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모바일 쇼핑몰에서 구매 경험이 있는 154명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고, PLS(Partial Least Squares)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행동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 통제력 모두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객들이 모바일 쇼핑몰이 유용하고 재미있다고 인지할수록 구매에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통해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신뢰는 직접적으로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행동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규범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보안과 지각된 위험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모바일 쇼핑몰 제공업체들은 모바일 쇼핑몰 고객들의 구매 의사 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