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of the visibility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다중가시점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방법: 지형요소를 이용한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Solution Approaches to Multiple Viewpoint Problems: Comparative Analysis using Topographic Features)

  • 김영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84-95
    • /
    • 2005
  • 본 논문은 가시권역의 최대화를 만족하는 가시권 분석에 있어 지형요소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최적 다중 가시점 탐색 문제에 있어 지형요소의 이용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지형상태를 반영하는 지역의 DEM 자료와 각 DEM자료에 대한 지형요소 (peak, pass, pit)의 특정을 반영한 여섯 종류의 탐색방법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공간 휴리스틱 (spatial heuristic)과의 비교 분석 (계산 시간과 총 가시권역 크기)을 통해서 지형요소를 이용한 방법의 효율성과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로써, 가시구역의 중복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시된 버퍼링을 이용한 방법의 경우, 비록 공간 휴리스틱 방법에 비해 적은 가시구역 면적을 제시하였지만, 컴퓨팅 시간적인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연구지역의 DEM상의 각각의 개별 그리드 셀을 대상으로 전체 DEM에 대해 계산된 가시구역을 이용한 방법의 경우, 비록 부가적인 계산 시간이 소요됨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지형요소를 이용한 방법보다 향상된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 PDF

가시권 분석에서의 지형 요소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opographic Features in Visibility Analysis)

  • 김영훈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4
    • /
    • 2010
  • 본 논문은 가시권 분석에서의 지형 요소의 효율성과 활용성에 대한 내용으로써 지형 요소별로 가시권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각 지형 요소와 가시권 분석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peak, pass, pit, ridge, valley를 지형 요소로 선정하고 조망 지점에서 최대 가시 면적을 확보하는 문제를 가시권 문제로 정의하였다. 또한 다양한 지형적 요인을 고려하기 위해 산악 지역에서부터 평야 지역까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발고도와 가시 면적과의 상관 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넓은 가시권 확보를 위해 고도가 높은 지점들을 우선적으로 선정하는 방법은 효과적이지 않다는 의미이다. 둘째, 넓은 가시 범위를 보이는 상위 지점들은 해발 고도의 편차가 적다는 점이다. 이는 넓은 가시 범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해발 고도 지점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셋째, 가시권 상위 지점들과의 가시권 비교 결과, 모든 연구 지역에 걸쳐 다섯 유형의 지형 요소가 최대 가시권 확보 면적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가시권 분석에서 지형적 요인의 중요성과 지형 요소의 기여방안에 대한 논의 토대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최대 가시권 분석에 있어 가시권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변수 선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김해공항 시정장애 원인의 통계적 분석 (On the Statistic Analysis to the Causes of the Poor Visibilities Occurring at Kimhae International Airport)

  • 진병화;황수진;박만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719-725
    • /
    • 1996
  • To research the cause of the low and the poor visibility phenomena of Kimhae international airpot statistically, we analyzed the field routine data for the last five years from 1985 to 1989. The poor visibilities below 1km, 3km, and 5km usually occurred at about 6 o'clock in the morning under the condition of calm or light wind from south to southwest direction, and lasted for from 1 to 3 hours. they were caused by the radiative cooling and the inflow of moisture from the South Sea. The frequency of th low visibility(below 9km) recorded 48.1% a year. And the low visibility below 8km with relative humidity below 70% often occurred in the case of southeast, southwest, and northwest wind. And it reveals a peak at 11:00 a.m.. It is supposed to be caused by the pollutants flowing from the neighbouring industrila complex, Sasang, Jangnim and by the photochemical reaction. And, when the industrial direction from Kimhae international airport, the visibility and the air pollution may become worse and worse by the increased pollutants.

  • PDF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veillance System and the Location of Fortress of the Sil-la Dynasty by a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 김충식;이재용;김영모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21
    • /
    • 2011
  • 본 연구는 상호가시성 분석을 통해 신라산성의 입지와 감시체계를 해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Arcview 3.2에서 $10{\times}10m$ 그리드의 지형표고모형이 제작되고, 명활산성, 남산신성, 서형산성 등의 위치가 표시되었다. 4개의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신라 왕도(538개 조망점)의 누적가시도(cumulative visibility, 累積可視度)에서 왕도에 면한 산성구간이 높은 피시빈도(被視頻度)를 보였다. 이는 산성이 왕도에 대한 가시를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3개 산성별 누적가시도에서 산성의 내부지역은 전시에 지휘가 유리하고, 외부지역은 산성간 상호감시체계가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3개 산성 합산 누적가시도에서 산성이 없는 왕도 북쪽에서 높은 피시빈도가 나타났다. 왕도 북쪽은 명활과 서형산성에서 적군의 감시와 지원이 용이한 4km 내외에 포함된다. 신라 왕도는 산성으로 인해 견고한 감시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효율적인 감시와 방어를 위해 산성이 왕도에서 봉우리로 상승하며 입지되었음을 추론하였다. 이는 7~8부 능선 입지설을 대체할 수 있는 실용적 산성 입지설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누적가시도 분석기법은 추후 경관고고학적 입지 분석에 실증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백색광주사간섭무늬의 정점검출을 위한 이차다항식맞춤 알고리즘 (Quadratic polynomial fitting algorithm for peak point detection of white light scanning interferograms)

  • 박민철;김승우
    • 한국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45-250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백색광주사간섭무늬의 정점검출을 위한 새로운 디지털처리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본 알고리즘은 백색광주사간섭무늬의 가시도함수를 이차의 다항식으로 가정하고, 측정된 광강도 값들을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곡선맞춤하여 가시도함수의 정점의 위치를 검출한다. 기존의 정점검출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본 이차다항식맞춤 알고리즘은 가시도함수의 추출을 위한 별도의 연산이 요구되지 않아 3N+29의 작은 곱셈 계산량만으로 연산을 완료 할 수 있다. 또한 최소자승법을 사용함으로써 간섭무늬가 갖는 외부 교란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안정된 해를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다.

  • PDF

백색광 간섭계의 봉우리 찾기 셈법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peak finding algorithms in white light interferometry)

  • 민경일;남기봉
    • 한국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95-399
    • /
    • 2000
  • 백색광 간섭계에서는 신속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주사방향의 간섭무늬 봉우리점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다. 봉우리점 산출 속도 향상을 목표로 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장 간단한 셈법을 이용하여 기준 시료가 얼마나 정확하게 재구성 되는가를 비교 검토하였다. 두 방법 모두 nm 수준의 정밀도로 단차를 측정할 수 있었는데 역상관을 이용한 셈법이 표면 구조나 수직한 면의 재구성에 더 충실한 결과를 산출함이 관찰되었다.

  • PDF

백색광 위상천이 간섭계를 위한 개선된 삼차원 형상 측정 방법 (Improved 3D Shape Measurement Scheme for White Light Phase Shifting Interferometry)

  • 김경일;이동열;고윤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2호
    • /
    • pp.51-6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백색광 위상천이 간섭계에서 향상된 3차원 형상 정보를 보다 빠르게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백색광 위상천이 간섭계는 초정밀 제품의 형상 측정에 사용되는 유용한 방법이다. 첫째, 가시도 함수를 포함하는 간섭신호로부터 3차원 높이 정보를 신속하게 계산할 수 있는 가시도 유효 검출 구간 설정 방법을 제안한다. 둘째, 기존의 백색광 위상천이 간섭계에서 발생하는 전역 기울어짐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닥면 데이터 자동 추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최소 제곱 근사화 기반의 바닥 평변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셋째, 높이의 변화가 큰 경계영역에서의 형상 왜곡인 bat-wing effect를 제거하기 위한 적응 필터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이 기존의 백색광 위상천이 간섭법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킴을 보인다.

시계제한시 선박 출항통제규정 개선에 관한 실증적 연구 -평택항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to Improve Vessel Departure Control Regulations for Restricted Visibility, Focused on Pyeongtaek Port)

  • 유상록;정재용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858-862
    • /
    • 2018
  • 본 연구는 시계제한으로 인한 선박 출항통제 해제 후 교통량이 폭주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현 선박통제규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평상시의 교통량과 출항통제 해제 후의 교통량를 분석하기 위해 AIS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출항통제 유무에 따른 피크시간 교통량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만톤 미만 그룹에서는 t-test를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교통량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만톤 이상 그룹에서는 Mann-Whitney test 결과, 선박 통제 유무에 따른 교통량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항통제 해제 후 1만톤 미만의 중소형 선박들은 평상시 보다 교통량이 142 % 증가하여 1만톤 이상 대형선박과 동시에 출항하게 됨에 따라 교통 폭주를 야기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통량 폭주에 따른 선박 충돌사고 개연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현 규정을 길이 160 m 미만 또는 총톤수 1만톤 미만의 선박은 항해 가능하도록 개선할 것을 제언하였다.

서울지역 겨울철 대기 에어로졸의 수 농도 및 산란계수 분석 (Urban Aerosol Number Concentra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 in Seoul, Korea, during Winter)

  • 이현혜;김진영;이승복;배귀남;염성수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1-103
    • /
    • 2010
  • Size-segregated number concentration and scattering coefficient of urban aerosols were measured using an SMPS (scanning mobility particle sizer) and a nephelometer, respectively in Seoul, Korea,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03. The average number concentrations of ultrafine particles (20~100 nm) and accumulation mode particles (100~600 nm) were $2,170\;particles\;cm^{-3}$ and $1,521\;particles\;cm^{-3}$, respectively. The scattering coefficient at the wavelength of 550 nm ranged from $62.6Mm^{-1}$ to $330.1Mm^{-1}$ and average value was $163.4Mm^{-1}$. The peak concentrations of ultrafine particles and accumulation mode particles were simultaneously recorded between 6:00 and 9:00 A.M., indicating the effect of vehicle emissions which are major air pollution sources in the urban atmosphere. On average, the number concentration of ultrafine particles was 1.4 times higher than that of accumulation mode particles, although it was a little higher during the morning peak time. The variation of aerosol scattering coefficient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accumulation mode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rather than that of ultrafine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g coefficient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accumulation mode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rather than that of ultrafine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서울시의 1993년 가을철 시정 및 입자 특성 측정 및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Visi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during the Fall, 1993 in Seoul)

  • 백남준;김태오;김성주;김용표;문길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2-40
    • /
    • 1994
  • Continuous measurements of the extinction coefficient( $b_{ext}$ ) and scattering coefficient due to Particle( $b_{sp}$ ) were made during the fall 1993 in Seoul along with the measurements of the size distribution, ionic composition of particles. On the average, $b_{sp}$ values are 55% and 79% of $b_{ext}$ values during the clear and smoggy Periods respectively. Also the average values of $b_{ext}$ and $b_{sp}$ were 0.791$\times$10$^{-3}$ $m^{-1}$ (visual range 4.9km) and 0.628$\times$10$^{-3}$ $m^{-1}$ (visual range 6.2km) during the smoggy Period, and 0.297$\times$10$^{-3}$ $m^{-1}$ (visual range 13.1km) and 0.164$\times$10$^{-3}$ $m^{-1}$ (visual range 23.8km) during the clear period, respectively. The Peak at about 1${\mu}{\textrm}{m}$ of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during the smoggy period i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during the clear period while the peaks at about 5${\mu}{\textrm}{m}$ during both periods are similar. Also, the concentrations of sulfate and nitrate at about 1${\mu}{\textrm}{m}$ during the smoggy Period are much higher than these during the clear Period.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