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누적가시도 분석을 이용한 신라시대의 산성 입지와 감시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rveillance System and the Location of Fortress of the Sil-la Dynasty by a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 김충식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이재용 (밀라노 공과대학교 건축조경학과) ;
  • 김영모 (한국전통문화학교 전통조경학과)
  • Kim, Choong-Sik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Th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 Lee, Jae-Yong (Dept. of Architecture, Politecnico di Milano in Italy) ;
  • Kim, Young-Mo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11.04.26
  • 심사 : 2011.06.02
  • 발행 : 2011.09.30

초록

본 연구는 상호가시성 분석을 통해 신라산성의 입지와 감시체계를 해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Arcview 3.2에서 $10{\times}10m$ 그리드의 지형표고모형이 제작되고, 명활산성, 남산신성, 서형산성 등의 위치가 표시되었다. 4개의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신라 왕도(538개 조망점)의 누적가시도(cumulative visibility, 累積可視度)에서 왕도에 면한 산성구간이 높은 피시빈도(被視頻度)를 보였다. 이는 산성이 왕도에 대한 가시를 확보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3개 산성별 누적가시도에서 산성의 내부지역은 전시에 지휘가 유리하고, 외부지역은 산성간 상호감시체계가 형성되었음을 밝혔다. 셋째, 3개 산성 합산 누적가시도에서 산성이 없는 왕도 북쪽에서 높은 피시빈도가 나타났다. 왕도 북쪽은 명활과 서형산성에서 적군의 감시와 지원이 용이한 4km 내외에 포함된다. 신라 왕도는 산성으로 인해 견고한 감시체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효율적인 감시와 방어를 위해 산성이 왕도에서 봉우리로 상승하며 입지되었음을 추론하였다. 이는 7~8부 능선 입지설을 대체할 수 있는 실용적 산성 입지설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누적가시도 분석기법은 추후 경관고고학적 입지 분석에 실증적인 도구가 될 것이다.

We investigated the loc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of fortress using inter-visibility analysis between fortress and the capital of the Silla Dynasty. The digital terrain model(DTM) was generated with $10{\times}10m$ grid in Arcview 3.2. Then three fortresses lines(Myeonghwal-sanseong, Namsan-shinseong, Seohyeong-sanseong) were superimposed on the DTM. 4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ew out from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First, the most of fortress lines which showed the high visible frequency from the Sila-Capital(538 viewpoints) have a good aspect toward the capital. It means that 3 fortresses secured the visibility to the capital. Second, the cumulative visibility analysis from 3 fortresses generated evenly distributed visible frequency across the inside of fortress. It shows that the inner area of fortress is more advantageous to command during the war. On the contrary, a number of invisible(vulnerable) regions which is scattered on the outside were supplemented by adjacent fortress. Third, the north area of the Sila-captial showed the highest visible frequency generated by sum up the visibility from 3 fortresses. The northern captial is placed within 4km distance easy to support at the Myeonghwal and Seohyeong-sanseong. We proved that the Sila-capital had organized a solid surveillance system by 3 fortresses. Fourth, we could infer the practical process of fortress layout from comparing a cumulative visibility map. For the secure of visibility and defense systems, the fortress line would form a rising shape to the peak. This practical location theory can replace the vague common location theory that the fortress would constructed on two thirds of mountain height. It will be an empirical method in the ancient remains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경주국립문화재연구소(2004). 경주 남산 정밀학술조사보고서.
  2. 경주시(2008). 명활산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pp. 111-113.
  3. 경주시(2009). 경주 남산신성 종합정비 기본계획. pp. 182-183.
  4.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2002). 경주남산. p. 141.
  5. 김성운, 김찬호(2008). 높이규제를 위한 시곡면 분석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3(3): 71-80
  6. 박방룡(1992). 新羅王都의 守備: 慶州地域山城을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신라문화. 9: 25-38.
  7. 박방룡(1998). 신라 도성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64-165, p. 240.
  8. 손영식(1987). 한국 성곽의 연구.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pp. 121-134.
  9. 우성훈, 이상해(1997). 신라 왕경 경주의 토지 분할 척도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6(1): 9-26.
  10.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2009). 불가시심도분석의 설계 및 구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 66-75.
  11. 이상복, 이승엽, 하재명(2009). 조망점 선정을 위한 가시빈도분석에 관한 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集. 25(8): 293-300.
  12. 이은석(2004). 왕경의 성립과 발전, 통일신라시대 고고학(제28회 한국 고고학전국대회발표요지문). 한국고고학학회.
  13. 이판섭(2006). 삼국시대 산성의 감시반경에 대하여. 호서고고학. 15:61-79.
  14. 이헌종, 김정빈, 정철환, 임현수, 이혜연(2006). 영산강유역의 구석기 고고학과 4기 지질학. 학연문화사.
  15. 조동범(2001). 지형경관평가에 있어 스카이라인과 불가시심도의 경관 정보화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6(7): 127-139.
  16. 홍사철(2009). 歷史都市慶州를 爲한 景觀正體性에 關한 硏究.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三國史記, 卷3 新羅本紀第3 實聖尼師今4年.
  18. Evans, D., C. Pottier, R. Fletcher, S. Hensley, I. Tapley, A. Tapley and M. Barbetti(2007). A comprehensive archaeological map of the world's largest preindustrial settlement complex at Angkor. PNAS. 104(36): 14277-14282. https://doi.org/10.1073/pnas.0702525104
  19. Gaffney, V. and Z. Stancic(1991). GIS Approaches to Regional Analysis: A Case Study of the Island of Hvar. Ljubljana: Filozofska fakulteta.
  20. Lock, G. and T. M. Harris(1996). Danebury Revisited: an Iron Age Hillfort in a Digital Landscape, Anthropology, Space, and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214-240, Oxford University Press.
  21. Wheatley, D. W.(1995). Cumulative viewshed analysis: a GIS-based method for investigating intervisibility, and its archaeological application", in G. R. Lock and Z. Stancic (eds.) Archaeolog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European Perspective, London: Taylor and Francis, pp. 171-186.
  22. Willey, G. R.(1949). Prehistoric Settlement Patterns in the Viru Valley, Peru, Bulletin 115. Bureau of American Ethnology. Washington, D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