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ak heat release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내장판용 복합재료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Composites for Interior Panels Using Cone calorimeter)

  • 이철규;정우성;이덕희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55-59
    • /
    • 2004
  • Composite materials were used widely due to merit of light weight, low maintenance cost and easy installation. But it is the cause of enormous casualties to men and properties because of weak about the fire. Particularly, it is more serious in case of subway train installed composite materials. For this reason, experimental comparison has been done fur measuring heat release rate(H.R.R) and smoke production rate(S.P.R) of interior panels of electric motor car using cone calorimeter. A high radiative heat flux of 50kW/㎡ was used to bum out all materials and to simulate the condition of fully developed fire case in the tests. It was observed that Heat Release Rate and Smoke Production Rate curves were dependent on the kinds of the interior materials. From the heat release rate curves, the sustained ignition time, peak heat release rate and total heat release rate were deduced, These data are useful in classifying the materials by calculating two parameters describing the possibility to flashover.

건축용 바닥재의 외부복사열에 의한 화재위험성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Fire Risk Comparison of Building Flooring Materials by External Heat Flux)

  • 박영주;김영탁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20-24
    • /
    • 2017
  • In this study, we have performed the Cone Calorimeter test in accordance with ISO 5660-1 to check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flooring materials. The fire risk of these materials were evaluated by construction code, KFI criteria and standards of flame retardant performance. When samples exposed to external heat flux, all samples consumed a lot of Oxygen for a long time. So heat release from sample burning continued so long. And also all samples produced so much smoke. Even though a few samples were satisfied with only peak heat release rate criteria, all 8 samples were not satisfied with criteria of peak heat release rate and total heat released together. The results of 5 min total heat released were $15.9MJ/m^2{\sim}5.9MJ/m^2$. It menas the results are more than 2~6 times higher than the criteria. The results of 10 min total heat released were $30.1MJ/m^2{\sim}100.8MJ/m^2$. It means the results are more than 3~12 times higher than the criteria. 6 of 8 samples were not satisfied with Dm.corr.(corrected maximum smoke density) criteria. The building flooring materials which we used for this test ignited very fast and the burning continued so long. It means these samples are susceptible to fire.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플라스틱 단열재의 화재특성 (Fire Characteristics of Plastic Insulating Materials from Cone Calorimeter Test)

  • 이근원;김관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76-84
    • /
    • 2003
  •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단열재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스티렌 폼, 폴리우레탄 폼, 폴리에틸렌 폼과 같은 플라스틱 단열재의 화재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플라스틱 단열재의 화재특성은 ISO 5660에 따라 콘칼로리미터 시험을 수행하였다. 사용된 실험재료는 국내에서 생산되는 상업용 플라스틱 단열재를 사용하였고 그들의 조성은 제조자에 의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 결과플라스틱 단열재의 열방출율은 재료의 밀도와 열플럭스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플라스틱 단열재 중 폴리에틸렌 폼이 최대열방출율 및 평균열방출율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열플럭스 및 밀도의 증가에 따른 최대열방출율의 증가율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플라스틱 단열재에 의한 화재예방을 위해 제품의 종류 및 열플럭스의 크기에 따른 열방출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체의 연소성 (Combustive Properties of Ethylene-Propylene Die Monomer/Polypropylene/Clay Nanocomposites)

  • 정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90-195
    • /
    • 2011
  •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에 바탕을 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 폴리프로필렌,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그리고 클레이의 효과에 대하여 연소성을 조사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클레이 나노복합체는 성형 후 콘칼로리미터(ISO 5660-1)를 이용하여 연소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 나노복합체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단량체/폴리프로필렌 단독 조성에 비하여 최대열방출률을 감소시켰다. 이에 반하여 고무 연화제로 사용된 스테아르산은 자체의 연소성에 의하여 평균열방출률을 증가시켰다.

화재감지 센서 작동시간 및 열방출률에 대한 실험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the Heat Release Rate to activate Fire Detection Sensor)

  • 홍성호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9호
    • /
    • pp.1358-1361
    • /
    • 2012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the analysis for activation time and threshold value of heat detection sensor using HRR(Heat Release Rate). And it is represented to quantity of heat to activate heat detection sensor. The experiment is conducted to measure activation time and HRR of fire detection sensor burning alcohol and n-heptane. In order to burn the alcohol and n-heptane using $43.5cm(L){\times}43.5cm(W){\times}5cm(D)$ and $33cm(L){\times}33cm(L){\times}5cm(D)$ steel pan and the quantity of alcohol and n-heptane are 2.5 L and 650 g,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 that peak HRR are in case of alcohol 66.13 kW and in case of n-heptane 151.64 kW, respectively. Total heat releases of heat detection sensor are in case of alcohol approximately 20.7 MJ and in case of n-heptane approximately 18 MJ, respectively.

라디칼 PLIF계측을 이용한 연소실의 공간적 열발생율 예측 (Prediction of Spatial Heat Release Rate of Combustion Chamber by Radicals-PLIF)

  • 최경민
    • 한국분무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1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al heat release rate and CH concentration have been investigated by numerical simulations of methane-air premixed flames. And simultaneous CH and OH PLIF(Planar Laser Induced Fluorescence) measurement has been also conducted for lean premixed flame as well as for laminar flames. Numerical simulations are conducted for laminar premixed flames and turbulent ones by using PREMIX in CHEMKIN and two dimensional DNS code with GRI mechanism version 2.11, respectively. In the case of laminar premixed flame, the distance between the peak of heat release rate and that of CH concentration is under $91{\mu}m$ for all equivalence ratio calculated in present work. Even for the premixed flame in high intensity turbulence, the distribution of the heat release rate coincides with that of CH mole fraction. For CH PLIF measurements in the laminar premixed flame burner, CH fluorescence intensity as a function of equivalence ratio shows a similar trend with CH mole fraction computed by GRI mechanism. Simultaneous CH and OH PLIF measurement gave us useful information of instantaneous reaction zone. In addition, CH fluorescence can be measured even for lean conditions where CH mole fraction significantly decreases compared with that of stoichiometric condition. It was found that CH PLIF measurements can be applicable to the estimation of the spatial fluctuations of heat release rate in the engine combustion.

  • PDF

산소소모법을 이용한 주택 가연물 발열량 측정 (Heat Release Rate Measurements of Residential Combustibles Using Oxygen Consumption Method)

  • 최병일;한용식;김명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4-107
    • /
    • 2008
  • 산소소모법을 이용한 화재발열량 측정장치를 구성하고 대표적인 주택가연물(침대, 책상, 냉장고, 장롱)에 대하여 화재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발열량 측정 결과 최대 발열량은 각각 냉장고 1MW, 책상 0.8MW, 장롱 4.2MW, 침대 0.4MW로 나타났으며, 특히 냉장고와 장롱의 경우 화재성장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위험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서점 적재가연물의 초기 연소발열성상 (Heat Release Characteristics of Typical Live Fire Load in Large Bookstore)

  • 남동군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88-94
    • /
    • 2011
  • 건축물 적재가연물의 연소성상 및 발열특성은 건물 내부의 화재전파속도와 화재규모 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그러나 대형 서점의 적재가연물은 다른 건축용도에 비해 다량 적재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시 건물 전체의 화재피해가 대형화할 가능성이 있지만 연소발열성상이 화재실험 등으로 파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형서점의 적재가연물인 목재 서가 등을 재현한 시험체를 대상으로 연소실험을 실행하여 연소발열성상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형서점의 화재시 화재안전성을 검토하고 대형 서점의 화재안전설계에 필요한 적재가연물의 연소표면적당 최대열방출률과 화재성장률 등을 제시하였다.

소파커버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re Characteristics of Sofa Cover Materials)

  • 이광흠;박영근;윤명오;현성호;김동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5-42
    • /
    • 2003
  • 본 연구는 다중이용업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실내내장재료 중 소파커버의 인조가죽 5종에 대하여 연소시 위험성 요소인 착화성, 난연성, 열방출율, 독성가스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Artificial Leather 1~5의 착화온도는 $427~437^{\circ}C$, 산소지수는 19~20%로 나타났다. 또한$ 25 kW\m^2$의 복사열에서 착화시간은 10~16초, 최대열방출율은 kW/$\m147~277^2$이었으며, 35 kW/$\m^2$의 복사열에서 착화시간은 6~9초, 최대 열방출율은 $176~296 kW\m^2$ 및 일산화탄소(CO)는 5,550~6,290 ppm, 이산화탄소($CO_2$)는 18,500~23,400 ppm, 염화수소(HCl)는 110~140 ppm, 시안화수소(HCN)은 13~65 ppm, 질소산화물(NOx)은 145~220 ppm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FRP)의 연소특성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Fiber Reinforced Plastic by Cone Calorimeter)

  • 이근원;김관응;이두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67-72
    • /
    • 2004
  • 본 연구는 작업장의 건축물이나 구조물의 구성요소로 사용되어지는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연소특성을 평가하였다.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연소특성은 ISO 5660에 따라 콘칼로리미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섬유 강화플라스틱의 착화시간과 열방출율은 복사열과 난연제의 함량에 따라 달랐다.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열방출율은 복사열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섬유강화플라스틱의 착화시간과 최대 열방출율을 이용하여 플래쉬오버(Flashover)의 가능성을 Petrella가 제시한 분류방법에 따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