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support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8초

중·노년기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일본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Parental, Occupational Role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Middle and Old Aged Japanese Married Men and Women)

  • 장수지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1호
    • /
    • pp.81-10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1) 자녀의 독립과 은퇴에 직면하는 중·노년기에 부모 및 직업역할의 비중축소를 통한 역할 재구조화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2) 부모 및 직업역할 재구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살펴보는 것이다. 역할 재구조화는 부모 및 직업역할에 대한 집착 정도로 측정하였으며, 일본의 기혼남녀 378명을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실시하였다(회수율 48.3%). 그 결과, 부모 및 직업역할에 집착할수록 그 역할에 대한 상실불안감이 증대되어 심리적 안녕감이 저하되는 경로가 여성에게서 확인되었다. 역할집착의 개인차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자율성이 높고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며 사회적 지지망이 협소할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여성의 경우 성역할태도가 전통적이고 사회적 지지망이 좁을수록 부모역할에 집착하였으며, 성역할태도가 비전통적일수록 직업역할에 집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노년기의 역할 재구조화의 중요성 및 성별 사회화 과정에 따른 역할 재구조화의 성차와 관련지어 논의되었다.

  • PDF

아동발달 및 양육 지원서비스의 가족친화적 특성과 다양성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Friendliness and Diversity of Support Services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on Parental Satisfaction with Services)

  • 박주희;최혜영
    • 아동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81-297
    • /
    • 2014
  •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four aspects of family friendliness (i. e., safety, accessibility, convenience, and amenity) and diversity of services designed to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and parenting on parental satisfaction with servic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mprised 259 parents (214 mothers and 45 fathers) who had at least one child aged 0 to 11 and liv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or Gyeongsang-do Provinces. The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s of family friendliness and diversity of services on parental service satisfaction differed by children's developmental level. For parents of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 the safer the services and the more services they used, the more they we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provided. In contrast, the safety and the amenity of services had positive influences on parental satisfaction with support services for parents with toddlers while the safety had a significant effect for those who had preschoolers.

남편의 정서적 지지 및 어머니-교사협력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usband's Emotional Support and Mother-teacher Partnership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 이선영;안선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6호
    • /
    • pp.41-5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sband's emotional support and mother-teacher partnership on maternal parenting str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216 mothers with children(aged 4-5years). Husband's emotional support was measured by the Parenting Alliance Inventory(PAI, R. R. Abidin, 1988) revised by R. R. Abidin and J. F. Brunner(1995). Mother-teacher partnership was measured using the Caregiver-Parent Partnership Scale(A. M. Ware, B. Barfoot, A. S. Rusher & M. T. Owen, 1995) revised by M. T. Owen, A. M. Ware and B. Barfoot(2000). Parental Stress was measured by the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PSI-SF, R. R. Abidin, 1995) revised by M. E. Haskett, L. S. Ahern, C. S. Ward and J. C. Allaire(2006).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 score of husband's emotional support was higher than average and the mean score of mother-teacher partnership was an average level. Parenting stress was lower than average.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maternal parental stress according to number of children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Third, husband's emotional support and mother-teacher partnership were influenced by maternal parental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mportant because they show mothers, fathers, and teachers ways to reduce maternal parental stress.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도와 부모역할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Parental Satisfaction)

  • 양미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6-101
    • /
    • 1996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the Par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child's sex, father's age and the birth order of child. The subjects surveyed were 271 fathers 132 in their thiries and 139 in their forties who live in Kwang-ju. And the children considered are 128 boys and 143 girls. Among them, first-born children are 143 members, second-born are 103, and third-born are 25. Factor analysis, frequencies,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regression are used for data-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child's sex,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as related the father's age and the birth-order of child. (2) Th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ther's Parental Satisfaction which is involved child's sex and the father's 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s to the birth-order of child. (3) There we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the Parental Satisfaction, and between its subfactor and the Parental Satisfaction, too. (4) The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which analyses the Paternal child rearing Involvement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as to father's Parental Satisfaction, show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 (accounted for about32% of the general variation), spouse support, support of children, general satisfaction, and parent's role conflict at intensity in order. Of the above mentioned five fields, house-activities were the first factor in determining this order. And the personal inter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ulfilling general satisfaction and the support of children. The leisure-action factor was the second explanatory factor in establish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inally father's age was the fourth explanatory factor in assess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 considering the background variables.

  • PDF

출산 전후 여성의 양육관련 신념 및 부모 효능감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aring Belief and Parental Efficacy)

  • 박영애;나종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7-3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aring belief and parental efficacy of women before and after childbirth. For this purpose 253 pregnant women and 256 mothers with infants under one year of age were contacted and asked to fill in a packet of survey questionnaire at their visits to obstetrician, gynecologist and pediatrician. The questionnaire includes questions about what mothers value in childrearing, their expectations for their children and parental efficac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AS PC program. It was reported that comparing to mothers, pregnant women view childrearing in more ideal lights and expect their children to be more exceptional. Also working mothers reported comparatively lower parental efficacy than full-time mothers suggesting that social support system to minimize pressure coming from work for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should be provided and the parental education methods to enhance the parental efficacy should be sought.

  • PDF

일하는 어머니의 취업특성에 따른 부모역할만족 (Parental Satisfaction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f Working Mother)

  • 양연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139-15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parental satisfaction regarding personal/family, work,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f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2) to investigate the most effecting variables on the parental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working mother with children aged under 10 year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ren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work time, job preference, income, the difficulty of work life. However, working mother's personal and family variable were not found as the related variable.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correlated with parental satisfaction. (2) Maternal role efficiency, dual role conflict, flexibility of work, marriage year, income, psychological stress, expanded family, durations of occupation, spouse support significantly predicted paren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important in parental satisfaction of working mothers.

  • PDF

중학생의 온라인게임 중독 위험 예측변인 분석 (Predictors of On-Line Game Addiction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 부정민;권순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390-39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variables dichotomizing adolescents into online game addiction-latency group and non-addiction group. Based on ecologic theory, individual system(self-esteem, self-control, depression, stress-coping strategy), family system(parental support), and social system(teachers' support and peer-group support) were suggest for variables affecting online game addiction of adolescents. 612 adolescents were tested for game addiction, self-esteem, self-control, depression, stress-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s from parents, teachers, and peer group. Independent t-tests showed between-group differences in self-esteem, self-control, depression, aggressive, and negative-avoiding stress-coping strategies, parental support, and peer-group support.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aggressive stress-coping strategy of social system and peer-group support of social system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division of the groups.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분석: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 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Factors influencing stress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With specific focus on parental social support, resiliency of efficacy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 박영신;;김의철 ;한기혜 ;김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1-28
    • /
    • 2009
  • 이 연구는 한국과 일본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 및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부모의 사회적 지원은 어려움극복 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 관리행동과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부모의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과정에서 매개변인의 역할을 할 것이다. [가설 4]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 및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가설에 기초하여 연구모형이 제안되었다. 분석대상은 총 469명으로, 한국 대학생 289명(남 156, 여 133)과 일본 대학생 180명(남 112, 여 68)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et al., 2006), 우울 척도(CES-D, Radloff, 1977; BDI-II, Beck, Steer & Brown, 1996), 어려움극복 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b)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설 1, 2, 3은 한국과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 모두 긍정되었다. 가설 4는 일본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정되었고, 한국 대학생 자료에서는 부분적으로 부정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로부터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어려움극복 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고, 스트레스가 낮을 뿐만 아니라, 우울 수준이 낮았다. 셋째, 어려움 극복효능감이 매개변인으로 의미 있는 작용을 하였다. 넷째,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대해 의미 있는 영향이 없었다. 따라서 부모의 사회적 지원과 어려움극복 효능감은 스트레스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PDF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주택자금대출이 신혼부부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al Financial Support and Housing Loan on Newlyweds' Housing Tenure)

  • 정관석;이재우
    • 부동산연구
    • /
    • 제28권4호
    • /
    • pp.7-22
    • /
    • 2018
  • 본 연구는 신혼부부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에 거주하는 결혼 후 5년 이내이면서, 40세 미만의 처음 주택에 입주한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다양한 변수들을 달리 적용하면서 실증분석 하였다. 그 결과, 신혼부부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주택구입을 위한 부모의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은 가구보다 경제적 지원을 받은 가구가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높았으며, 부모의 경제적 지원 규모가 클수록 신혼부부의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택구입자금대출 관련 변수는 주택구입자금대출을 받은 신혼부부 가구가 주택구입자금대출을 받지 않은 가구보다, 그리고 주택구입자금대출의 규모가 큰 신혼부부 가구일수록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의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는 신혼부부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빈번한 직장이동 등의 개연성으로 인하여 맞벌이를 할수록 자가주택 점유확률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부모의 자산승계가 일반화된 상황에서 신혼부부에 대한 주거안정지원정책 및 대출정책은 부모의 경제력 지표도 적정수준 반영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중문화 수용 태도의 매개효과 (Effect of Parental Support for Multicultural Youth on Career Attitude Determinism: Mediating Effect of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 정인숙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91-99
    • /
    • 2023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다양한 환경 속에서 미래 한국 사회의 성장 동력이 될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태도 결정성을 확인하고,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다문화 청소년의 경우에는 출생하면서 노출되는 이중문화에 대한 혼란으로 일반 청소년과 비교하면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에서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가 진로 태도 결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중문화 수용 태도가 매개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 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MAPS) 8차 연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2학년 다문화 청소년 총 1,22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8과 AMOS 17.0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 경로 모형 적합도 검증, 경로 모형 계수, 매개효과 검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부모 지지와 진로 태도 결정성을 향상하는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