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media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19초

어머니의 아동기 자녀에 대한 소비자사회화 수행과 관련변수 (Mother's Consumer Socialization of Children and Related Variables)

  • 나종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07-123
    • /
    • 1998
  • Mothers play a major role in children's consumer socialization but little is known about differences in mother's consumer socialization tendencies and the antecedents causing the differences. This study addresses two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mother's consumer socialization? Second, what are the antecedent variables causing differences in mother's consumer socialization tendencies; can parental style, consumption-related attitudes (attitude toward marketplace and ads., attitude toward consumerism and consumption-oriented attitude) be used as a conceptual basis for hypothesizing these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1. Factor analysis suggested five underlying dimensions of mother's consumer socialization of childr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bout consumption, Mediation of media, Reaction to purchase requests, Restriction of allowances and Restriction of consumption. 2.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consumer socialization tendencies among different parental groups matched the differences in child-rearing behaviour suggested by Developmental Psychology and this provided support for expected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consumer socialization tendencies, as measured by mothers' behaviour. 3. Differences were found on all factors according to mothers consumption-related attitude. This provided support for the expectation that mothers' consumption related attitudes are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s causing differences in consumer socialization tendencies. Som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PDF

부모상위정서철학이 학령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원숙연;송하나
    • 아동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67-182
    • /
    • 2015
  • This study created a structural model of the influence of paternal an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n terms of their social competence and confirmed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as collected, targeting 363 children in the $5^{th}$ and $6^{th}$ elementary school grades from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th paternal an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had an influence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Next, paternal an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did not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a direct manner. The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emotion regulation in regards to the influence of paternal an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up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as confirmed. It was also found that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had an influence up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in an indirect manner through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in the period of middle childhood.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 (The Mediation Effect of Identity Development between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s and Mental Health)

  • 윤가영;이준배;박선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529-553
    • /
    • 2022
  • 본 연구는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가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어느 측면을 통해 매개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생 1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참여자들은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정체성 발달, 웰빙, 우울을 묻는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참여자의 웰빙과는 부적, 우울과는 정적 상관관계에 있었다. 다음으로, 학업성취압력과 정신건강 관계에서 정체성 발달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체성 발달의 부정적 측면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부모로부터 학업성취압력을 높게 지각한 참여자의 정체성은 제대로 발달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낮은 정신건강으로 이어졌다. 본 연구는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매개변인으로 정체성 발달을 제시하며 정체성 발달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중 부정적 측면이 두 변인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사회에서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개입이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녀의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력을 상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 연구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between the Self-esteem and Child Career Support Behavior of Mothers of Multicultural Families)

  • 임은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13-323
    • /
    • 2020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존감, 부모효능감이 자녀진로지원행동(지지, 간섭, 관여부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7차년도 다문화청소년-학부모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188명의 결혼이주여성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진로지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존감(β=.277), 부모효능감(β=.134)이 정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자존감과 자녀진로지원행동의 관계에서 부모효능감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고 바람직한 자녀진로지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빈곤은 인터넷 활용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빈곤이 부모의 지도감독과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학교부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verty on school mal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mediated by parental monitoring and types of internet use)

  • 김지혜;정익중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3호
    • /
    • pp.29-56
    • /
    • 2010
  • 21세기를 대표하는 키워드 중 하나는 '정보화' 이다. 정보화는 인류의 삶의 질을 다방면에서 향상시키는 반면, '인터넷 중독' 과 '정보격차' 라는 부정적 측면도 함께 증가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빈곤청소년들의 사회경제적 격차와 정보격차간의 순환적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청소년패널조사자료(KYPS)를 이용하여 빈곤이 부모의 지도감독과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유형을 매개로 학교부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은 부모의 적절한 지도감독을 감소시키며, 청소년의 인터넷 활용유형 중 정보추구형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추구형 이용이 감소할수록 학교부적응이 증가하고, 학업성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과 오락추구형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빈곤이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주요 경로로 부모의 지도감독과 인터넷 활용유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 빈곤과 정보격차간의 순환적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빈곤청소년의 정보격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미디어 능력 함양에 대해 제언하였다.

유아의 비디오 이용 현황 및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Video Uses)

  • 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69-83
    • /
    • 2000
  • A survey analysis of children's home video usage was carried out for 659 parents who have four to six year old children. Descriptive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were used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90% children enjoyed watching video and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video programming selection and coviewing was differed by children's age and birth order. Children's preferences for video programming were also differed by their sex, age, and birth order. For example, male children enjoyed violent video programming most, on the other hand, female children enjoyed non-violent video programming most. Furthermore, children's imitation behavior after watching video programming were differed an sex and age. For example, male children imitated video programming more than female children di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이 아동 초기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자 반응성의 단기종단적 매개효과 (The short-term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of parental responsiveness in the effect of mother's smart device overdependence on children's overindulgence tendency)

  • 김연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81-28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어머니 스마트기기 과의존의 영향과 반응성의 매개효과를 단기종단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5세 유아-어머니 144쌍(남아 73명, 여아 71명)을 대상으로 시점 1에서 어머니의 스마트기기 과의존과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 6개월 후인 시점 2에서 유아의 몰입경향성과 모-아 상호작용 동안 양육자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스마트기기에 대한 어머니의 과의존과 유아의 몰입경향성은 어머니 보고를 통해, 양육자 반응성은 모-아 상호작용 녹화 자료에 대한 관찰자 코딩을 통해 수집하였다.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시점 1에서의 유아의 몰입경향성을 통제했을 때, 시점 1에서의 어머니의 과의존 경향성은 시점 2에서의 양육자 반응성을 매개로 시점 2의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을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양육자의 스마트기기 사용 특성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몰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Children's YouTube Use)

  • 조수선;김봉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5-57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유튜브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튜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이용방식,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중재방식을 설정하고, 연령대별 이들 변인들을 비교하고 유튜브 이용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령대별 이용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용방식 중 구독채널 유무와 일반채널 이용,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그리고 중재 방식 중 기술통제와 감독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3-4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와 감독이, 5-6세 집단은 구독유무, 조절능력, 일반채널, 부모감독, 대화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7-9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 조절능력,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별 유의미한 변인들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발견함으로서 유튜브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다르게 구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그동안 덜 다루어진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류와 이들 방식들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부모의 인성지향적 지도와 아동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son-Oriented Guidanc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양혜연;양성은
    • 아동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83-99
    • /
    • 2013
  • The premise underpinning this research is that cognitive evalua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children's emotional experience. It then went on to investigate how parents' person-oriented guidance affect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dditionally, children's ego-resilience was analyzed as a variable that affect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as a mediator between parents' person-oriented guidanc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 purposive sampling was conducted in 4 elementary schools in metropolitan areas and made use of 466 students in 4th and 5th grade as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ly, the more frequently parents used person-oriented guidance, the more children exhibited higher levels of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ly, vitality, peer relations, optimism, curiosity, emotional regulation, maternal person-oriented guidance were found to affect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order of relative significance of that influence. Thirdly, children's ego-resilience was found to intermediate parents' person-oriented guidanc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n conclusion, individual children's evaluations of parental verbal stimuli was found to influenc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specially more significantly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ren's ego-resilience.

유아의 또래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 및 어머니 변인 연구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Variables on Peer Acceptance of the Children)

  • 황영미;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17-3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temperament,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behavior and mother's personality traits, and management strategy of peer relations on peer acceptance. Subjects were 412 5-years-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Busan. The children responded to the Peer Nomination Inventory to assess peer acceptance and their teachers completed the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to asses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behavior of the children. Mothers completed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 for personality traits and the Parental Involvement Checklist. Data was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impl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had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on peer acceptance, followed by personality traits of mother's extraversion, the temperament of activity, and the management strategy of mediation-supervision. In conclusio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variables have a complex, rather than simple, effect on peer acceptance of the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