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Amount of Children's YouTube Use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조수선 (대진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
  • 김봉현 (동국대학교 광고홍보학과)
  • Received : 2021.09.18
  • Accepted : 2021.10.2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factors have impacts on the amount of YouTube viewing. In doing so, usage type, children's levels of self-control on viewing, parent's perception of media contents, and parental mediation style were investigated by ag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amount of use by the different age groups. There were,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subscription status(non subscription based vs. subscription-based viewing), level of self-control, perception of content, and parent's mediations (technology, supervision, and guidance). Given the amount of YouTube use, the subscription status and parent's supervis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 group of 3-4 years old. For the age group of 5-6, subscription status, levels of self-control, and mediation of parent's supervision and guidance we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age of 7-9, subscription status, the level of self control, and premium service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ind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meaningful variables by age group suggests tha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used to reduce the amount of children's YouTube use. In addition, it raises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of children's YouTube usage methods, which have not been addressed so far,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these methods.

본 연구는 최근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들의 유튜브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튜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이용방식,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중재방식을 설정하고, 연령대별 이들 변인들을 비교하고 유튜브 이용량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연령대별 이용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용방식 중 구독채널 유무와 일반채널 이용, 조절능력, 콘텐츠 인식, 그리고 중재 방식 중 기술통제와 감독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3-4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와 감독이, 5-6세 집단은 구독유무, 조절능력, 일반채널, 부모감독, 대화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7-9세 집단은 구독채널 유무, 조절능력, 프리미엄 서비스 가입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연령대별 유의미한 변인들의 유사성과 상이성을 발견함으로서 유튜브 이용량을 감소시키는 전략을 다르게 구사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그동안 덜 다루어진 어린이의 유튜브 이용방식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분류와 이들 방식들이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보화진흥원(2019). 2019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 한국언론진흥재단(2020). 2020 어린이 미디어 이용조사. 한국언론진흥재단.
  3. 이진우, 스마트폰 과의존, 습관성이 문제...3-5세 저연령층 증가 우려. http://www.babytime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945/2018. 02. 14.
  4.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김명식(2013). 국내 0-3세 영유아의 영상물 과몰입 실태조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1), 239-240.
  5. 연합뉴스. "한국인, 유튜브 하루 1시간씩 본다...10대가 가장 길어" https://www.yna.co.kr/view/AKR20210223071700017/2021.02.23.
  6. 문선종(2019). 아동의 스낵컬처 트렌드와 미디어 보호방안. 동광 114, 147-164.
  7. 배소영, 정연구(2015). 미디어 이용은 영유아 언어 발달을 촉진하는가?. 한국방송학보, 29(6), 67-93.
  8. 신윤미(2016). 영유아 스마트폰 노출의 경과 및 위험요인.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55-177.
  9. 김종민, 문정주, 권미량(2014). 유아의 스마트기기 중독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3(1), 199-219.
  10. Radesky, J. S., Schumacher, J., & Zuckerman, B.(2015). Mobile and interactive media use by young children: the good, the bad, and the unknown. Pediatrics, 135(1), 1-3. https://doi.org/10.1542/peds.2014-2251
  11. Zimmerman, F. J., Christakis, D. A., & Meltzoff, A. N.(2007). Associations between media viewing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under age 2 years. The Journal of Pediatrics, 151(4), 364-368. https://doi.org/10.1016/j.jpeds.2007.04.071
  12. 이진경, 김근영(2019). 초등학생의 유튜브 이용과 심리적 적응: 부모양육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2), 699-707. https://doi.org/10.5762/KAIS.2019.20.12.699
  13. Auxier, B., Aderson, M., Perrin, A., & Turner, E.. Parenting children in the age of screens. Pew Research Center. http://www.pewresearch.org/internet/2020/07/28/parenting-children-in-the-age-of-screens-youtube./2020.07.25.
  14. Smarty Parents.(2017). Report finds YouTube is kids' most loved brand. CISION Newwire. https://www.prnewswire.com/news-releases/smarty-pants-report-finds-youtube-is-kids-most-loved-brand-300502382.html.
  15. Rideout, V.(2017). The common sense census: Media use by kids age zero to eight. Common Sense Media. https://www.commonsensemedia.org/research/thecommon-sense-census-media-use-by-kids-age-zero-to-eight-2017.
  16. Lafrance, A..(2017). The algorithm that makes preschoolers obsessed with YouTube. http://www.theatlantic.com/technology/archive/2017/what-youtube-reveals-about-the-toddler-mind/534765/#Algorithm%20.
  17. Burroughs, B.(2017). YouTube kids: The app economy and mobile parenting. Social Media and Society, 3(2), 1-8.
  18. 김민희(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 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3-151.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33
  19. 김서희, 황성은(2017).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몰입경향성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자기 조절력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5(1), 1-12.
  20. 김보라, 신혜원(2019). 유아의 미디어 이용시간 실태와 자기조절력 및 문제행동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28(6), 567-581.
  21. Izci, B., Jones, I., Ozdemir, T. B., Alktebi, L., & Bakir, E.(2018). YouTube & young children: Research, concerns and new directions.
  22. 남경희(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23. Ellas, N., & Sulkin, I.(2017). YouTube viewers in diapers: An exploration of factors associated with amount of toddlers'online viewing. Cyberpsychology. Journal of Psychosocial Research on Cyberspace, 11(3), Article 2. Https://doi.org/10.5817/CP2017-3-2.
  24. Valkenburg, P. M.(2004). Children's Responses to the Screen: A Media Psychology Approach. New Jersey: Erlbaum.
  25. Uhls, Y. T., & Robb, M. B.(2017). How parents mediate children's media consumption. In Blumberg, F. C., & Brooks, P. J.(Eds.). Cognitive Development in Digital Contest(pp. 325-343). Waltham, MA: Academic Press.
  26. Ofcom(2017). Children and parents: Media use and attitudes report. https:wwwofcom.org.uk/_data/assets/pdf_file/0020/108182/children-parents-media-use-attitudes-2017.pdf.
  27. Yasaroglu, C., & Boylu, M..,A.(2020). Youtubers' effect on children's values: Parents' views.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al sciences, 7(4). DOI: 10.19044/ejes.v7no4al.
  28. Duerager, A. & Livinstone, S.(2012). How can parents support children's internet safety? EU Kids Online, London, UK.
  29. Bartau-Rojas, I., Aierbe-Barandiaran, A., & Oregui-Gonzalez, E.(2018). Parental mediation of the internet use of primary students: Beliefs, strategies and difficulties. Media Education Research Journal, 26(54). 71-79.
  30. Livingstone, S., & Helsper, E. J.(2008). Children, internet, and risk in comparative perspective. Journal of Children and Media, 7(1), 1-8. https://doi.org/10.1080/17482798.2012.739751
  31. 안정임(2008). 인터넷 이용 중재유형과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2(6), 230-266.
  32. 이숙정, 전소현(2010). 인터넷 중독에 대한 부모 중재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6), 289-322.
  33. Nikken, P., & Schols, M..(2015). How and why parents guide the media use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4(11), 3423-3435. https://doi.org/10.1007/s10826-015-0144-4
  34. 최윤정, 이종혁(2020). 부모 중재와 미디어 교육이 청소년 유튜브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방송통신연구, 13, 141-171.
  35. 안정임, 서윤경, 김성미(2013).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인과 부모의 중재 행위, 아동의 이용조적 인식간이 상관관계. 언론과학연구, 13(2), 161-192.
  36. 윤보람, 이영신(2020). 어머니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40(6), 105-130. https://doi.org/10.18023/KJECE.2020.40.6.005
  37. 은창익(2021). 유튜브 크리에이터의 특성이 콘텐츠 관여도와 사용자 태도에 그리고 사용자 태도가 구도의도에 미치는 영향-콘텐츠 관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4), 55-72.
  38. 박선희(2017). 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학회논문지, 11(20), 151-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