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53-p21 system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6초

황금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인간 신장암 세포주 Caki-1의 G2/M arrest 유발 (Induction of Cell Cycle Arrest at G2/M phase by 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in Human Renal Cell Carcinoma Caki-1 Cells)

  • 박동일;정진우;박철;홍수현;신순식;최성현;최영현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9-208
    • /
    • 2015
  • Objectives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Scutellaria baicalensis (EESB) on the progression of cell cycle in human renal cell carcinoma Caki-1 cells. Methods : The effects of EESB on cell growth and apoptosis induction were evaluated by trypan blue dye exclusion assay and flow cytometry, respectively. The mRNA and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espectively. Results : It was found that EESB treatment on Caki-1 cells resulted in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as detected by Annexin V-FITC staining. The flow cytometric analysis indicated that EESB resulted in G2/M arrest in cell cycle progress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down-regulation of cyclin A expression. Our results also revealed that treatment with EESB increased the mRNA and proteins expression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WAF1/CIP1), without any noticeable changes in cyclin B1, Cdk2 and Cdc2. In addition, the incubation of cells with EESB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binding of p21 and Cdk2 and Cdc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ESB-induced G2/M arrest and apoptosis in Caki-1 cells is mediated through the p53-mediated upregulation of Cdk inhibitor p21.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ESB may be a potential chemotherapeutic agent and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dentify the biological active compounds that confer the anti-cancer activity of S. baicalensis.

인체백혈병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불등가사리 메탄올 추출물의 영향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 of Gloiopeltis furcata in Human Leukemia Cell Line U937)

  • 최우영;;김기영;이원호;배송자;최영현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76-8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체암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등불가사리 메탄올 추출물(MEGF)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MEGF는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암세포의 형태적변이 및 증식억제가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백혈병세포에서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 효과가 apoptosis 유발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flow cytometry 분석 및 DAPI staining 법으로 조사한 결과, MEGF 처리에 의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는 세포주기 교란과 무관한 apoptosis 유발에 의한 것임을 sub-G1기 세포의 빈도 증가 및 apoptotic body 형성의 증가 등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MEGF 처리에 의한 백혈병세포의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발은 p53 비의존적인 p21의 발현 증가 및 Fas/FasL system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 특히 백혈병세포에서 MEGF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MEGF 내 함유된 생리활성 물질의 분리 및 항암적용 연구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Acidic primer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의 전단결합강도 (APPLICATION OF ACIDIC PRIMER FOR ORTHODONTIC ADHESIVE SYSTEM)

  • 김진희;진훈희;오장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7-147
    • /
    • 2001
  • Acidic primer는 하나의 용액으로 conditioning과 priming을 동시에 시행하는 새로운 접착 시스템으로 치질의 손상이 적고 처리 과정이 간단한 특징을 지닌다. 본 실험은 acidic primer를 이용하여 치면처리를 시행한 후 기존의 접착제로 브라켓을 접착할 때 적절한 결합강도를 지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50개의 사람 소구치를 5개군으로 나누어 4개군은 acidic primer로 법랑질을 처리한 후 Clearfil Liner bond $2^{\circledR}$(1군), Transbond $XT^{\circledR}$(2군), Panavla $21^{\circledR}$(3군), Fuji Ortho $LC^{\circledR}$(4군)로 브라켓을 접착하였고 1개군은 TransHond $XT^{\circledR}$를 통상적인 산부식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5군)한 후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의 양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cidic primer로 처리한 4개의 군 가운데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군(4군)의 전단결합강도($9.72{\pm}3.16MPa$)와 Panavia $21^{\circledR}$을 사용한 군(3군)의 전단 결합 강도($8.69{\pm}2.72MPa$)는 37$\%$ 인산으로 처리한 후 광중합형 레진 (Transbond $XT^{\circledR}$)을 사용한 군(5군)의 전단결합강도($10.48{\pm}2.60MPa$)와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2. Acidic primer로 처리한 4개의 군 가운데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군(4군)과 Panavia $21^{\circledR}$을 사용한 군(3군)의 전단 결합 강도는 Clearfil Liner bond $2^{\circledR}$를 사용한 군(1군)의 전단 결합 강도($1.09{\pm}0.53MPa$)와 광중합형 레진(Transbond $XT^{\circledR}$)을 사용한 군(2군)의 전단 결합 강도($2.70{\pm}1.46MPa$)에 비해 유의하게 큰 강도를 보였다 (p<0.05). 3. 접착제 잔류지수 측정 결과 4군($2.1{\pm}1.1$)과 5군($2.9{\pm}0.3$)의 경우 1군($0.2{\pm}0.4$), 2군($0.3{\pm}0.9$), 3군($0.2{\pm}0.4$)에 비해 접착제 잔류지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5). 4. 4군과 5군의 접착제 잔류 지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따라서 acidic primer로 치면을 처리하는 방법은 시용되는 접착제에 따라 기존의 산부식 접 착법과 유사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어 교정용 브라켓 접착시 산부식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CRM1 inhibitor S109 suppresses cell proliferation and induces cell cycle arrest in renal cancer cells

  • Liu, Xuejiao;Chong, Yulong;Liu, Huize;Han, Yan;Niu, Mings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2호
    • /
    • pp.161-168
    • /
    • 2016
  • Abnormal localization of tumor suppressor proteins is a common feature of renal cancer. Nuclear export of these tumor suppressor proteins is mediated by chromosome region maintenance-1 (CRM1). Here, we investigated the antitumor effects of a novel reversible inhibitor of CRM1 on renal cancer cells. We found that S109 inhibits the CRM1-mediated nuclear export of RanBP1 and reduces protein levels of CRM1. Furthermore, the inhibitory effects of S109 on CRM1 is reversible. Our data demonstrated that S109 significantly inhibits proliferation and colony formation of renal cancer cells. Cell cycle assay showed that S109 induced G1-phase arrest, followed by the reduction of Cyclin D1 and increased expression of p53 and p21. We also found that S109 induces nuclear accumulation of tumor suppressor proteins, Foxo1 and p27. Most importantly, mutation of CRM1 at Cys528 position abolished the effects of S109.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CRM1 is a therapeutic target in renal cancer and the novel reversible CRM1 inhibitor S109 can act as a promising candidate for renal cancer therapy.

폐암세포주에서 NFκ 활성 억제를 통한 Proteasome 억제제 MG132의 TRAIL-유도성 Apoptosis 감작 효과 (The Proteasome Inhibitor MG132 Sensitizes Lung Cancer Cells to TRAIL-induced Apoptosis by Inhibiting NF-κ Activation)

  • 서필원;이계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6호
    • /
    • pp.476-486
    • /
    • 2008
  • 연구배경: 정상세포는 보호되고 종양세포에 독성을 보인다고 알려진 TNF유전자족으로 새로이 확인된 TRAIL이 폐암세포에서 보이는 아포프토시스 효과를 확인하고, 아포프토시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전사인자 $NF-{\kappa}B$가 TRAIL에 의하여 활성화 되는 정도를 평가하여 MG132의 $NF-{\kappa}B$활성억제가 TRAIL 유도성 아포프토시스를 감작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A549(wt p53) 및 NCI-H1299(null p53) 폐암세포주를 사용하였다. 세포독성 검사는 MTT assay를 이용하였고 아포프토시스는 Annexin V assay와 FACS 분석을 이용하였다. $NF-{\kappa}B$ 전사활성은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를 이용하였고 $I{\kappa}B{\alpha}$ 분해는 western blot을 이용하였으며, TRAIL에 의해 활성화된 $NF-{\kappa}B$와 DNA 결합은 electromobility shift assay와 anti-p65 antibody를 이용한 supershift assay로 확인하였다. 결과: 1) TRAIL 100 ng/ml 농도에서 wild-type p53인 A549 폐암세포는 34.4%, p53 null인 NCI-H1299 폐암세포는 26.4%의 세포사를 관찰하였다. 2)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로서 TRAIL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이 A549 $IgG{\kappa}B-luc$세포에서 2.45배 증가하고 NCI-H1299 $IgG{\kappa}B-luc$세포에서는 1.47배 증가함을 관찰하여 TRAIL에 의하여 $NF-{\kappa}B$가 활성화됨을 확인하였다. 3) MG132의 전처치로 TRAIL에 의한 $NF-{\kappa}B$의 활성이 A549 세포와 NCI-H1299 세포에서 각각 기저수준의 0.24, 0.21배로 강력히 억제되었다. 4) TRAIL단독으로 30% 전후의 세포독성이 MG132 전처치 후 TRAIL을 투여하면 두 세포주 모두에서 80% 이상의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MG132가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에 감작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TRAIL에 상대적인 내성을 보이는 폐암세포주에서 MG132가 $NF-{\kappa}B$ 활성억제로서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를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폐암치료에 있어서 TRAIL유도성 아포프토시스가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된다고 생각된다.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간장 및 폐조직에서의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System과 과산화지질 생성 (Microsomal Mixed Function Oxidase and Lipid Peroxidation in Liver and Lung of Ster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이순재;김관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1-26
    • /
    • 1996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의 MFO계활성 변화 및 이에 지질과산화를 관찰하고자 체중이 140kg 내외의 Sprague-Dawley 종 흰쥐 숫컷을 대조군과 당뇨 유발 시험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당뇨군은 STZ로 당뇨를 유발시켰으며 당뇨 유발 6일후 쥐를 희생기켜 간조직 및 폐조직 microsome 중의 cytochrome $P_{450}$ 및 cytochrome $b_[5}$ 함량과 NADPH-cytochrome $P_{450}$ reductase 활성도를 측정하고 아울러 microsome내의 지질과산화물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군간에 식이 섭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체중 증가량과 식이 효율은 당뇨군이 STZ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간장 및 폐조직의 무게는 대조군과 당뇨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간조직 및 GP조직 중의 cytochrome $P_{450}$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이 150%, 175%씩 증가하였다. 간조직 및 폐조직 중의 cytochrome $b_{5}$은 대조군에 비해 당뇨군이 53%,116%씩 각각 증가하였다. 간조직에서의 NADPH-cytochrome $P_{450}$ reductase 활성은 당뇨군이 대조군에 비해 46% 증가하였으며, 폐조직에서는 75%증가하였다. 지질과산화물가는 당뇨군이 대조군에 비해 간족에서는 약 95% 높았으며 폐조직에서는 73%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STZ 유발 당뇨쥐에서는 MFO system의 활성도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되고 지질과산화반응이 같으 srudgid이 촉진되었으며 폐조직에서도 간조직에서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이러한 것은 당뇨군에서는 MFO system의 활성증가로 free radical 생성이 증가되고 그 결과 지질과산화가 촉진되었다고 볼 수 있다.

  • PDF

종합병원간호사의 조직효능감, 자기효능감, 간호전문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Nursing Professionalism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 김현우;박은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75-82
    • /
    • 2023
  • 본 연구는 G시의 종합병원간호사 12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집단효능감, 간호전문직관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분석은 빈도, 백분율,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효능감은 3.53점, 집단효능감은 3.66점, 간호전문직관 3.20점, 조직몰입은 3.47점이었다. 조직몰입 영향요인은 집단효능감(β=0.240, p =.003), 근무형태 중 주간(β=0.249, p =.003), 간호전문직관(β=0.229, p =.004)이었다(F= 10.478, p <.001). 그러므로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서 집단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병동별 의사소통프로그램, 협력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종합병원간호사의 근무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야간근무자 전담제도와 같은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 더불어 간호현장에서 현실에 실망하여 간호전문직관이 낮아지지 않도록 지지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단위당 근무가 진행되는 간호사를 위해 병동별로 타인 이해하기를 중점으로 코칭프로그램 지원 및 친목활동 지원이 병행된다면 집단효능감 상승에 도움이 될 것이다.

Genetic Variations of ABCC2 Gene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to Valproic Acid in Korean Epileptic Patients

  • Yi, Ji Hyun;Cho, Yang-Je;Kim, Won-Joo;Lee, Min Goo;Lee, Ji Hyun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1권4호
    • /
    • pp.254-262
    • /
    • 2013
  •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MRP2, ABCC2) gene may determine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adverse drug reactions (AD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by limiting brain access of antiepileptic drugs, especially valproic acid (VPA). Our objectiv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BCC2 polymorphisms on ADRs caused by VPA in Korean epileptic patients. We examined the association of ABCC2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and haplotype frequencies with VPA related to adverse reactions. In addition, the association of the polymorphisms with the risk of VPA related to adverse reactions was estim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41 (24.4%) patients had shown VPA-related adverse reactions in CNS, and the most frequent symptom was tremor (78.0%). The patients with CNS ADRs were more likely to have the G allele (79.3% vs. 62.7%, p=0.0057) and the GG genotype (61.0% vs. 39.7%, p=0.019) at the g.-1774delG locus. The frequency of the haplotype containing g.-1774Gd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s with CNS ADRs than without CNS ADRs (15.8% vs. 32.3%, p=0.0039). Lastly,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sence of the GG genotype at the g.-1774delG locus was identified as a stronger risk factor for VPA related to ADRs (odds ratio, 8.53; 95% confidence interval, 1.04 to 70.17). We demonstrated that ABCC2 polymorphisms may influence VPA-related ADRs. The results above suggest the possible usefulness of ABCC2 gene polymorphisms as a marker for predicting response to VPA-related ADRs.

한우에서 수정란 이식의 효율 증진에 대한 연구 I. 수정란의 조건이 이식 후 수태율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Embryo Transfer Efficiency in Korean Cattle I. Effect of Embryo Conditions on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 김흥률;김덕임;원유석;김창근;정영채;이규승;서길웅;박창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3-6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n effective system for embryo transfer techniques by analyzing several factors affecting in-vivo embryo transfer in Korean cattle. Embryos produced in-vivo were transferred into a total of 301 recipients. The results obtained in studies on the factors affecting pregnancy rate after embryo transfer by condition of embryos were as follow ; 1. The pregnancy rate of 301 recipients was 45.2% and higher with fresh embryos than with frozen embryos(63.5% : 21.4%, P<0.01). Embryos superovurated by FSH-P had slightly greater than by SUPER-OV in pragnancy rate, athough these were no difference between two treatments. 2. The pregnancy rates of transferred morulae and blastocysts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fresh and frozen embryos(63.5% : 63~6% ; 20.0% : 25.8%). However, the pregnancy rates by quality of flesh and frozen embryo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The pregnancy rates were outstandingly high in the grade A, B of fresh embryos(59.0~66.4%), and in the grade A of frozen embryos(43.6%). 3. The number of transferred embryos showed no difference in pregnancy rate, but when frozen embryos transferred, the pregnancy rate was slightly higher with two embryos than that with one embryo.

  • PDF

토양에서 분리한 수종 세균의 농약분해력 검정 및 동정 (Pesticide Degradation Activity of Several Isolates of Soil Bacteria and Their Identification)

  • 박경훈;이영기;이수헌;박병준;김찬섭;최주현;엄재열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8-148
    • /
    • 2006
  • 농약분해에 관여하는 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연작지 시설하우스 토양 및 밭토양시료에서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해 생육저해를 받지 않는 12개의 균주를 분리한 후, 이들을 표준사용농도 및 그 1/10의 농도가 함유된 배지 상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한 2균주, B52 및 B71을 선발하여 농약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선발된 분리균을 6종의 농약(procymidone, chlorothalonil, ethoprophos parathion, alachlor, pendimethalin)이 40 mg a.i. $L^{-1}$의 농도로 함유된 TSB배지에서 분해율을 조사한 바, 대조구에 비해 분리균 B52는 최고 53.2%, 분리균 B71은 25.0%의 차이를 보여 분리균이 농약을 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procymidone, parathion, alachlor에 대한 분해율이 높았다. 이들 3종 농약의 농도에 따른 분해율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5{\sim}40$ mg a.i. $L^{-1}$까지는 균의 생육이 왕성하였고 농약의 분해율도 높았으나 그 이상에서는 농약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균의 생육과 분해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배양일수별 분해율의 변화는 농약의 종류 및 균주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었는데, B59는 parathion을 6일간의 배양으로 거의 분해하였고 procymidone과 alachlor는 배양 21일까지 거의 비슷한 속도로 분해되었다. 배양액의 pH는 농약의 분해와는 거의 상관이 없어 pH 5 이상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pH 4에서는 균이 거의 생육하지 못했으므로 분해율 또한 매우 낮았다. 선발균은 형태적, 생리생화학적 특성 및 미생물 동정장치를 이용하여, B59는 Acinetobacter sp. B71은 Pseudomonas sp.로 동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