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CLA

검색결과 169건 처리시간 0.023초

육계사료에 CLA와 다른 유지의 첨가.급여가 생산능력에 미치는 영향비교

  • 류명선;김은성;김상호;최형송;정문웅;류경선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1년도 제18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PROCEEDINGS
    • /
    • pp.89-91
    • /
    • 2001
  • 여러 종류의 유지를 수준별로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시에 생산성, ND항체가 혈중 콜레스테롤 및 혈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두 차례의 사양실험을 5주간 시행하였다. 전기 3주 동안 사료내 조단백질은 21.5%, ME 3,100kcal/kg으로 하였고 후기에는 조단백질 19%, ME 3,100kcal/kg 수준으로 급여하였다. 처리구는 실험 1과 2에서 CLA, 대두유, 시판용 우지를 각각 1, 2, 3%와 2, 3%씩 기초사료에 첨가 ·급여하였으며, 처리구당 4반복, 반복당 IS수로 전체 540수와 360수를 공시하였다. 조사항목으로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주간별로 측정하였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및 ND 항체가는 실험종료시에 측정하였고 ME는 대사실험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 이용된 CLA, SBO, 시판용 우지의 ME는 각각 8,542, 9,179, 8,733 kcal/kg으로 분석되었다. 실험 1에서 사육후기와 전 기간에 1%유지의 첨가구는 보다 높은 수준의 급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체가 낮았으며(P<0.05), SBO급여구는 CLA급여구에 비하여 사료요구율이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 실험 2에서는 사육후기에 CLA급여는 SBO와 CT에 비하여 증체량이 현저하게 높았다(P<0.05). 사료요구율은 2%유지급여구에서 3%유지 급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개선되었다(P<0.05). 실험 1과 실험 2의 3주령에서 HDL은 3%급여구에서 다른 급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P<0.05). NOD항체가는 CLA와 다른 유지급여구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실험 2에서는 유지 첨가수준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계육내 CLAisomer는 1, 2, 3% 급여구에서 각각 12.23, 18.74, 25.67 mg/g으로 처리구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 CLA의 급여는 SBO와 CT에 비하여 증체량을 개선하고 혈중HDL을 높여주는 경향을 보였지만 ND항체가는 개선되지 못하였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를 급여한 돼지의 호중구 탐식능 증강 (Supplement of Conjugated Linoleic Acid Increases Neutrophil Phagocytosis in Pigs)

  • Sang-chul, Han;Ji-houn, Kang;Sung-mok, Son;Chung-soo, Chung;Chul-young, Lee;Mhan-pyo, Yang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37-442
    • /
    • 2003
  • CLA를 급여시킨 돼지에 있어 말초 혈액 세포의 변화와 탐식세포의 탐식반응을 조사하였다. 100일령, 평균체 중 80kg인 거세 수퇘지에게 10t-l2c CLA와 CLA mixture를 각각 사료 중에 5% 첨가하여 총 4주간에 걸쳐 자유급여 시켰다. 급여 전 (0주), 급여 2주후, 4주후 그리고 급여 중지 후인 5주차에 각각 혈액세포 수치(PCV 백혈구수 및 백혈구 감별계산치)의 변화와 탐식세포의 탐식활성을 측정하였다. CLA의 급여 따른 PCV의 수치에 있어서는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0t-l2c CLA 또는 CLA mixture가 함유된 사료를 급여한 돼지에 있어서 CLA를 급여하지 않은 돼지에 비해 백혈구수 특히 호중구 수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말초혈액 단핵구세포(mononuclear cells; MNC)와 다형핵백혈구(polymorphonuclear cells; PMN)의 탐식능를 유세포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10t-l2c CLA 또는 CLA mixture 급여와 상관없이 MNC와 단구세포들(monocyte-rich cells)의 탐식능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PMN의 탐식 활성은 CLA 무급여 대조돼지들에 비해 CLA 급여군은 2주에서 5주차에 걸쳐 증가된 탐식능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돼지에 CLA 급여는 호중구수 증가와 호중구 탐식능 증가를 유도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생체방어 증강을 위해 CLA를 임상적으로 투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Monensin and Fish Oil Supplementation on Biohydrogenation and CLA Production by Rumen Bacteria In vitro When Incubated with Safflower Oil

  • Wang, J.H.;Choi, S.H.;Yan, C.G.;Song,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221-225
    • /
    • 2005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onensin or fish oil addition on bio-hydrogenation of $C_{18^-} unsaturated fatty acids and CLA production by mixed ruminal bacteria when incubated with safflower oil. Commercially manufactured concentrate (1%, w/v) with safflower oil (0.2%, w/v) were added to mixed solution (600 ml) of strained rumen fluid and McDougalls artificial saliva (control). Monensin $Rumensin^{(R)}$, 10 ppm, w/v, MO), mixed fish oil (0.02%, w/v, absorbed to 0.2 g alfalfa hay, FO) or similar amounts of monensin and fish oil (MO+FO) to MO and FO was also added into the control solution. All the culture solutions prepared were incubated in the culture jar anaerobically at $39^{\circ}C$ up to 12 h. Higher pH (p<0.047) and ammonia concentration (p<0.042) were observed from the culture solution containing MO at 12 h incubation than those from the culture solutions of control or FO. The MO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001-0.007) propionate proportion of culture solution but reduced butyrate proportion at 6 h (p<0.018) and 12 h (p<0.001) of incubations. Supplementation of MO or MO+FO increased (p<0.001) the proportions of $C_{18:2}$. The MO alone reduced (p<0.022-0.025) the proportion of c9,t11-CLA compared to FO in all incubation times. The FO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proportion of c9,t11-CLA. An additive effect of MO to FO in the production of c9,t11-CLA was observed at 6 h incubation. In vitro supplementation of monensin reduced hydrogenation of $C_{18^-}$UFAs while fish oil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production of CLA.

새로이 분류된 천연 항암제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eic Acid (CLA) (Naturally-Occurring Novel Anticatcinogens : Conjugated Dienoic Derivatives of Linoliec Acid (CLA))

  • 하영래;마이클파리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01-407
    • /
    • 1991
  • 동물실험을 통하여 새로이 밝혀진 항암제(anti-initiator/anti-ptomotor)인 CLA는 grilled ground beef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CLA는 grilled ground beef 외에도, cheese 및 이들 관련식품에 많이 존재한다. CLA는 반추동물의 위에 서식하는 혐기성 bacteria에 의해 linoleic acid로부터 생성되며, 식품 가공 중에서도 생성된다. 이것은 또한 in vivo에서 linoleic acid의 carbon centered free radical 형태의 산화에 의해 생성되기도 한다. CLA는 아주 강력한 항산화제임이 밝혀져, 지금까지 알려지 있지 않았는 free radical에 대응하여 membrane을 보호하는 in situ defense mechanism 역할을 한다. 이는 또한 cytochrome P450 isozyme의 활성을 저해하는 반면, ODC 효소 활성 역시 저해한다. 그래서, 적어도 CLA의 이 세가지 biological activity가 CLA 항암기작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arison of Diglyceride, Conjugated Linoleic Acid, and Diglyceride-Conjugated Linoleic Acid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3T3-L1 Preadipocytes

  • Jeong, Jae-Hwang;Lee, Sang-Hwa;Hue, Jin-Joo;Lee, Yea-Eun;Lee, Young-Ho;Hong, Soon-Ki;Jeong, Seong-Woon;Nam, Sang-Yoon;Yun, Young-Won;Lee, Beom-Ju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5-150
    • /
    • 2007
  • Conjugated linoleic acid (CLA)는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시키므로서 포유동물에서 지방의 축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 연구의 목적은 diglyceride(DG), CLA, 및 DG-CLA가 전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억제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세포생존측정,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활성측정, 지방축적에 대한 Oil red O 염색을 실시하였다. DG, CLA, 및 DG-CLA의 처치는 전지방세포의 증식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그러한 효과는 CLA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이들 시험물질의 $100 {\mu}g/ml$ 농도에서 DG, CLA, DG-CLA는 유의적으로 GPDH의 활성을 낮추었으며(p<0.05), 이러한 결과는 전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이들 시험물질은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지방축적을 효과적으로 억제시켰다. 더욱이 DG-CLA가 DG 혹은 CLA보다 분화 및 지방축적에 대해 더 강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DG-CLA의 섭취는 사람에서 체중조절의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The Time Cours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s on Body Weight, Adipose Depots and Lipid Profiles in the Male ICR Mice Fed Different Fat Sources

  • Hwang, Yun-Hee;Kang, Keum-Je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205-211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time course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the body weight, adipose depots and lipid profiles of ICR male mice using two different sources of fats in the diet Ninety eight mice weighing 25 to 30 g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eef tallow (BT) and fish oil (FO), beef tallow with CLA supplementation (BTC), and fish oil with CLA supplementation (FOC) group. Eight to nine mice in each group were fed with the experimental diets for 1, 2 or 4 weeks, respectively. All mice were fed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2\%$ of total dietary fat (w/w) with or without $0.5\%$ CLA (w/w). CLA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the body weight The weight of epididymal and visceral fa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BTC compared to those in BT groups during the periods examined (p<0.05), whereas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FOC than those in FO only at 4 weeks (p<0.05). The levels of triglycerides in the plasm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BTC group than in BT group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s (p<0.05). But, FOC was only effective at 4 weeks as compared to FO.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HDL-C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BTC than in BT during the entire period (p<0.05), whereas there were no difference between FO and FOC on the levelsof total cholesterol and HDL-C. The levels of free fatty acids (FFA)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BTC than in BT at 1 and 4weeks and in FOC only at 4 weeks as compared to FO (p<0.05). Taken these results together, CLA was more effective in the beef tallow diet in lowering the epididymal and visceral fat weights and triglyceride level rather than fish oil diet with CLA. Furthermore, the effect became clearer at 4 weeks than at one week of the experiment.

Effect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on Abdominal Fat Deposition in Yellow-feather Broiler Chickens and Its Possible Mechanism

  • Zhou,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12호
    • /
    • pp.1760-1765
    • /
    • 2008
  • A total of 60 one-day-old Yellow-feather broiler chickens were allotted into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treatment group was fed with the diet supplemented with 3%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for 48 d, while control group was fed with the diet supplemented with 3% rapeseed oil. Chickens were slaughtered in each group at the age of 49 d, and the blood and the abdominal adipose tissue were sampled. Serum cLeptin and serum cAdiponectin were measured by ELISA. The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adipose tissue to measure the abundance of the chicken growth hormone receptor (cGHR), insulin-like growth factor 1 (cIGF-1), insulin-like growth factor I receptor (cIGF-I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PPAR{\gamma}$), cAdiponectin and cAdipoIR mRNA by RT-PCR using ${\beta}$-actin as an internal standard. Results showed that the CLA decreased the abdominal fat index by 20.93% (p<0.05). The level of serum cLeptin but not serum c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LA treatment (p<0.05). CLA down-regulated the relative abundance of cGH-R mRNA and $cPPAR{\gamma}$ mRNA in abdominal adipose tissue by 24.74% (p<0.05) and 66.52% (p<0.01) respectively.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LA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p>0.05)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cIGF-1, cIGF-IR, cAdiponectin, and cAdipoIR mRNA in abdominal adipose tissue. The data suggested that CLA inhibited abdominal fat deposition in broiler chicken may be determined by decreasing the GHR available for GH, and by inhibiting the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via down-regulation of $PPAR{\gamma}$, but independent of IGF and (or) GH-IGF pathway or adiponectin action.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 첨가가 육계의 성장 및 체지방 대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Fat Metabolism in Broiler Chickens)

  • 고영현;양혜영;강선영;장인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2호
    • /
    • pp.195-204
    • /
    • 2005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CLA)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fat metabolism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48 male birds aged 3 days were randomly allotted into three dietary groups; CORN(com oil 1.5%), CLA I (com oil 0.75 %+ CLA 0.75 %) and CLA II(CLA 1.5%) groups. After feeding commercial diet ad libitum for 3 weeks, eight selected birds on the basis of body weight were housed, two birds in a cage, and continuously given ad libitum corresponding experimental diet for another 2 weeks. As a result, dietary addition of CLA did not influence on body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ote. The relative weights of the liver and deposited fats(abdominal and thigh fat' pads) were not also affected by the dietary treatments. Serum glucose, triglyceride and cholesterol levels markedly( P < 0.05) decreased in CLA II compared with those in CORN group. However, serum nonesterified fatty acid(NEFA) was not altered by dietary CLA. Serum leptin level was tended to be decreased by dietary CLA without statistical difference. The diet supplemented with CLA caused a significant(P< 0.05) decrease in hepatic total lipid and NEFA without changing triglyceride level. Also, feeding dietary CLA at the level of 1.5% reduced leptin mRNA expression in the liver and abdominal fats compared with feeding com oil,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1.5% CLA may affect, at least in part, lipid metabolism in the liver of broiler chickens.

산란계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의 첨가가 산란율과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and Oil Containing Unsaturated Fatty Acid Supplementation on Egg Production Rate and Quality in Laying Hens)

  • 김효진;유종상;신승오;조진호;진영걸;황염;김영준;황광연;양무성;김도중;김인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1-136
    • /
    • 2008
  • 본 시험은 산란계 사료내 conjugated linoleic acid(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의 첨가가 산란율과 계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시험 동물은 36주령 ISA Brown 갈색계 288수를 공시하였으며, 사양 시험은 5주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BO(basal diet + 1% soybean oil + 1% oat), 2) BS(basal diet + 1% safflower oil + 1% oat), 3) BF (basal diet + 1% free fatty acid + 1% oat), 4) CD(basal diet + 1% CLA containing diglyceride + 1% oat), 5) CT(basal diet + 1% CLA containing triglyceride + 1% oat), 6) CP(basal diet + 1% CLA by-product + 1% soybean oil)로 6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8반복, 반복당 6수씩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산란율에 있어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난각 강도에 있어서는 3주째에 CP 처리구가 BS, BF, CD, C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4주째에는 BO와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난각 두께에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CP 처리구가 BS, BF, CD, CT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난중에 있어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4주째의 난황고에 있어서는 BF와 CT 처리구가 BO, CD, C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BO와 CD 처리구는 CP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4주째의 난황색에 있어서는 CP 처리구가 BO와 BS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호우 유닛(Haugh unit)에 있어서는 3주와 4주째 모두에서 BO와 CP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본 시험 결과 산란계 사료내 CLA와 불포화지방산 함유 oil을 첨가.급여하면 산란율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계란 품질에 있어서는 향상되는 결과를 보였다.

돼지 말초혈액 다형핵 백혈구의 유주성에 있어서 conjugated linoleic acid의 면역증강효과 (Immunoenhancing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Chemotactic Activity of Porcine Peripheral Blood Polymorphonuclear Cells)

  • Kim, Ju-hyang;Chung, Chung-soo;Lee, Chul-young;Yang, Mhan-py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2003
  • 돼지 말초혈액 다형핵 백혈구(polymorphonuclear cell; PMN)의 유주성에 있어서 conjugated linoleic acid(CLA) 이성체(CLA mixture, 10t-12c CLA, 9c-11t CLA, 9c-11c CLA 및 9t-11t CLA)의 면역증강 효과를 검토하였다. PMN에 대한 유주성은 Boyden chamber 변법으로 측정하였다. CLA 이성체들을 고농도(50∼200μM)로 사용하였을 경우 말초혈액 단핵구 세포(mononuclear cell; MNC) 및 PMN의 cell viability가 감소되거나 세포가 사멸하였다. 따라서 cell viability가 높고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20μM 농도로 유주활성 실험을 하였다. CLA 이성체들은 돼지 말초혈액 PMN의 유주활성에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다. CLA 이성체로 배양한 MNC의 배양상층액 중 CLA mixture, 10t-12c CLA 및 9c-11t CLA 처리군에서는 PMN의 유주활성이 현저하게 증강되었으나 9c-11c CLA 및 9t-11t CLA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에서는 PMN의 유주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유주성 증강효과는 checkerboard assay를 실시한 결과 진성의 유주활성이었다. 유주성 인자인 porcine recombinant (pr) interleukin(IL)-8을 이용하여 돼지 PMN에 대한 유주성을 검토한 결과, pr IL-8에 의한 PMN의 유주활성은 CLA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에 의한 것과 동등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CLA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의 PMN에 대한 유주성을 anti-pr IL-8pAb를 사용하여 중화반응을 실시한 결과, CLA mixture로 배양한 MNC 배양상층액에 의해 증가된 PMN의 유주활성은 anti-pr IL-8 pAb 첨가에 의해 억제되어, 본 유주활성은 MNC에서 분비되는 IL-8으로 인한 것임을 강하게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LA 중 CLA mixture, 10t-12c CLA 및 9c-11t CLA 이성체가 돼지 말초혈액 다형핵 백혈구의 유주활성에 증강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증강효과는 CLA로 자극된 MNC에 의해 생성되는 IL-8 인자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