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wn self

검색결과 1,420건 처리시간 0.048초

꽃공예 활동 프로그램의 치유효과 분석 -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a Flower Craft Activity Program - Focusing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

  • 심영도;강대구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4호
    • /
    • pp.171-186
    • /
    • 2023
  •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mprehensively the effects of a flower craft activity program focused on perceived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adult with mixed method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mixed analysis results, perceived stress was reduced by immersing oneself in completing one's own work through flower craft activities, as distracting thoughts in the head disappeared. In the case of depression, depression decrea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members who worked together to complete their own work through flower craft activities. In the case of self-esteem, it was analyzed that flower craft activities had the effect of increasing self-esteem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he need for life and self-esteem. In future study, this suggests that the healing program applied based on this can be comprehensively reviewed,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reorganize it into a more effective flower craft activity program.

『단경』에 나타난 자성의 심리학 - 본래적 자성과 포괄적 자성의 역동성을 중심으로 (Psychology of the self-nature in platform sutra-focused on dynamics in essential and inclusive self-nature)

  • 윤희조
    • 철학연구
    • /
    • 제146권
    • /
    • pp.137-162
    • /
    • 2018
  • 본고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인 선심리학을 혜능의 "단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심리학은 불교심리학의 분류에 따라서 선심학, 선심소학, 선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하에서 혜능의 선심리학은 자성의 심리학으로 볼 수 있고, 본래적 의미의 자성과 포괄적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학에서 심은 자성을 기반으로 드러난다. 본래적 자성이 드러나면 본심이 되고, 포괄적 자성이 드러나면 인심이 된다. 본래적 자성은 만법건립성, 불가득성, 불가명성, 청정성, 평등성, 자불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론에서 법은 불이이고 평등하지만, 인간론에서 인간은 근기의 예둔과 돈점에 따라서 범부와 성인, 하근기와 상근기로 나뉜다. 마음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연기론에서 자성의 은현, 미오, 범성을 오가는 두 가지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서 펼쳐지는 세계와 현상은 자성의 작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소학은 선심리학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기능 즉 반야와 중생심을 다룬다. 반야는 자성으로부터 발생하고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형상이 없는 지혜인 반야는 전체와 하나를 동시에 아는 것이고, 수많은 번뇌를 지혜로 바꾼다. 또한 이법(二法)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반야이다. 중생심은 이러한 반야의 기능을 덮고 있는 내부의 중생을 말한다. 중생심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참회와 서원이 있다. 신심리치료는 인간의 예둔과 법의 평등의 괴리를 없애기 위해서 견성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혜능은 전통적인 계정혜의 방법론을 마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함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삼무를 제시한다. 분별, 염오, 집착이 없는 무상 무념 무주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경"의 선심리학은 자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자성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아드와이따 베단따와 인간의 목표 (Human Goal in Advaita Vedānta)

  • 박효영
    • 철학연구
    • /
    • 제130권
    • /
    • pp.109-134
    • /
    • 2014
  • 아드와이따 베단따(이하, '베단따'로 줄여 부름)에서 인간은 윤회와 고통이라는 비관적인 출발점을 가지지만 자기 자신을 초극함으로써 완전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해탈'이라고 불리는 이 인간의 목표는 그것을 이루기 위한 여러 수단들과 함께 베단따에서 유일하게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자신의 본질인 아뜨만을 인식하는 해탈의 과정에는 자기의 가치에 대한 자기 인식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아뜨만은 '존재, 의식, 환희'(있음, 비춤, 좋음)라고 정의되는데, 아뜨만이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치론적으로 최종적인 토대이자 원천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목표와 관련된 베단따의 입장은 고정된 인간의 본성, 추상화되고 관념화된 세계의 우위, 내부 세계에 대한 관심의 과잉 등과 같은 여러 한계점을 보이기도 한다. 결국 인간의 목표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자기 탐구의 과정이 주는 가치이다. 자기 탐구란 가장 현실적인 결과를 낳는 베단따의 각본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나서 자기 자신이 지속적으로 그 각본을 자기 경험에서 실행하고 검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세속적 삶을 버리고 탈속적 삶으로 행위의 중심을 이동하는 것이 '자기 조정'이고, 참된 자아에 대한 지식을 통해 자아의 과잉을 덜어내는 것이 '자아의 단순화'이며, 그 단순화의 끝에 최종적 자아 자체로 머무는 것이 해탈이다. 따라서 인간의 목표를 향한 베단따의 탐구는 '참된 행위=자기 조정 ${\rightarrow}$ 참된 지식=자아의 단순화 ${\rightarrow}$ 해탈=최종적 자아'라는 틀로 정리될 수 있다.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 강문봉;김정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519-537
    • /
    • 2014
  • 본 연구는 수학 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기 효능감을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수학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문헌 연구를 통하여 추출하고, 효능감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교사의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수학 교수 효능기대, 수학 교수 결과기대, 교수학적 내용 지식, 학생에 대한 교사의 신념, 교사의 과거 수학학습 경험에 대한 신념,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기대라는 6가지 요소를 도출하였고, 이러한 요인에 기반하여 30문항으로 구성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I)를 개발하였다.

  • PDF

지역사회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Community-Residing Elderly's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Effects of 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Focused on Elderl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최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09-51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자신의 노화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유의표집으로 60세 이상 노인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2.0을 이용해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인 지역사회 노인들은 자신의 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태도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은 개인자원 중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경제력이 좋을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가족의 정서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노화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사회참여를 많이 할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모든 독립변수를 포함시킨 모델에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사회참여 수준의 유의성이 사라져 자아존중감과 경제력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선택행위를 통한 자아확립의 매개로서 현대주거에 관한 연구 - '온라인집들이'의 서사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ousing as Medium between the Self-establishment and the Selection -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of 'Online-housewarming' -)

  • 허은석;조항만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41-50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ocess of the housing reflecting the self,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that people describe their thoughts about their housing in social media 'online-housewarming'. Especially, based on the precedent study that modern self is established on continuous selection behavior, we focused on the selection behavior of the self and the role of the housing that affected it through the narrative. Each narrative component corresponds to the self-establishment process of modern people, identified through precedent study. We can confirm the existing internal criteria changing into new internal criteria through accumulation, interaction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selection by housing. Housing has been involved in the selection behavior of self throughout the narrative. From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thought of the self and housing are identified in three ways. In 'Online-Housewarming', (1) Housing equates with the self, in the sense that housing is a physical entity in which one's own choices are accumulated (2) People perceive the change of choice caused by the realistic constraints of housing as their interaction with housing. (3) People relate the opinions of others about housing with the opinions about their own self. In contemporary society, house reforming process is a process of mediating the self and the external world based on the selection behavior and affects the establishment of self.

자기 학습 계획을 갖는 웹기반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Learning System with Self-Study Plan)

  • 장덕성;조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4호
    • /
    • pp.297-302
    • /
    • 2004
  • 정보화 사회에서는 전통적 교육환경이 웹기반의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으로 변화 하고 있다. 웹기반 학습시스템은 인터넷을 사용하기 때문에, 학생들로 하여금 학습에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습진도를 스스로 제어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 학습계획서를 학생 스스로가 만들고, 만들어진 학습계획서가 학습진도를 안내하고 평가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본 학습 시스템은 UML을 활용하여 객체지향적 개념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클래스별로 재사용 될 수 있다.

학습계약에 기반한 자기주도 임상실습 운영사례 (Learning Contracts Based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um)

  • 김은정;조동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68-275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nd evaluate the learning contracts based self-directed learning in a final clinical placement for senior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ase study and 82 senior nursing students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ntract based practice place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written learning contracts and questionnaires after a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 students' learning needs were knowledge, clinical skills, and attitudes frequently encountered in a ward in which clinical skills were most common. The students' formulated learning contracts were varied but most of them were basic and simple. A self-directed clinical course was beneficial and a satisfactory experience to senior students.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students' motivation in learning, confidence in own cap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the learning contract. Conclusion: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um would result in a degree of attitude change in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learning contract based self-directed clinical practice is effective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confidence in own capability, and competency.

녹화영상 활용 학습법이 학생들의 '환자-의사관계'에서의 자기성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rded Video Monitoring on Students' Self Reflection of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 주미선;황지영;김재명;강재구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2호
    • /
    • pp.83-89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corded video monitoring on students' self-reflection after completing their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particular cases involved in the examination, the present study utilized history-taking, physical examination, and patient education as bases for evaluating information-establishment ability, and asking, listening, understanding, explaining, and connectedness as the bases for evaluating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ability. Student self-monitoring through recorded video feedback was carried out three days after completion of their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 Students self-evaluated their performance with a 10-point scale before and after self-monito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have a general tendency to lower their own self-evaluation scores after self-monitoring. Although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of interrelationship in the information-establishment ability evaluation, there was a meaningful change of interrelationship in the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ability evaluation after self-monitoring;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cute lower abdominal pain, a high correlation was found (r=0.31, p=0.02) between the evaluation scores of standardized patients and students related to patient-physician interaction ability. This implies that self-monitoring enables the students to acquire a reflective viewpoint from which to evaluate their own performan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self-monitoring through recorded video feedback is a valuable method for students to use in reviewing their performance in patient-physician interactions.

일선 간호관리자의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irst-line nurse manager's self-efficacy)

  • 고명숙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7-107
    • /
    • 2000
  • In human societies, there are various organizations which are unique and have different roles. Among them, hospital organization are much more complex than other organizations because of their multitude of professional groups each with its own goals. To achieve its purposes, hospital should manage each professional group effectively. Hospital nursing organizations are the core positions in hospitals for patient care. Therefore nursing organizations have have efficient nurse managers to lead nurses for their own purposes. First- line nurse managers have special tasks for patients and nurses, which include to motivating, managing communicating with the people. So they should have high self-efficacy, which is the belief that one can successfully perform the behaviors in question. Self-Efficacy of first line nurse managers that asked them for leading their staff, and their tasks, is essential to bring about self-realization of staff nurses through motivation and job satisfaction, taking advantage of sound surrounding which is able to operate her staff nurses in order to function efficiently. But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topic in a hospital sett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first-line nurse managers' self-efficac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67 first-line nurse managers randomly selected from 18 university hospitals in Korea. The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Sherer and Maddux(1982).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alysed using SAS program, frequencies, percentage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of first- line nurse managers' self- efficacy was 66.7. 2. The correlation between first-line nurse managers' self- efficacy and general characteristics(age, education, career) was not significant. From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an suggest the following : 1. Repeat studies are needed in various hospital settings. 2. First-line nurse managers must be trained with special programs for each nursing organizations' purpo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