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uman Goal in Advaita Vedānta

아드와이따 베단따와 인간의 목표

  • Received : 2014.04.05
  • Accepted : 2014.05.16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In (Advaita) $Ved{\bar{a}}nta$ although human beings are destined to have a pessimistic starting point in life, their goal of life is to become a Perfect Being which is called 'Liberation' (mokṣa) by self-transcendence. This human goal together with several means are accepted by $Ved{\bar{a}}nta$ as solely valuable thing in the life. In this way there must be a self-recognition of his own value in the process of Liberation, through which one recognizes his own true nature i.e. ${\bar{A}}tman$. ${\bar{A}}tman$ is clearly defined to be 'Existence, Consciousness, Bliss' (Being, Illumination, Good), and this definition is made with the view of revealing that It is ultimate foundation and source of human beings ontologically, epistemologically and axiologically. However, as $Ved{\bar{a}}ntic$points of view on human goal are not without critical limitations, it may be necessary to revaluate 'the process of self-inquiry' devised to achieve human goal. Inquiry is, first of all, an accepting process of what is given in $Ved{\bar{a}}nta$ as the scenario that gives rise to most actual result, then, a performing and verifying process of that scenario in one's own experience consistently. In this process, a shift of action from worldly life to unworldly life is what is called 'self-adjustment', a removal of 'the self in excess' through knowledge of the real Self is what is called 'simplification of the self', and at the end of simplification a state of ultimate Self is 'Liberation'. Therefore, the inquiry of $Ved{\bar{a}}nta$ into human goal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ormula; 'good action = self-adjustment' ${\rightarrow}$ 'good knowledge = simplification of the self' ${\rightarrow}$ 'Liberation = ultimate Self'.

아드와이따 베단따(이하, '베단따'로 줄여 부름)에서 인간은 윤회와 고통이라는 비관적인 출발점을 가지지만 자기 자신을 초극함으로써 완전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해탈'이라고 불리는 이 인간의 목표는 그것을 이루기 위한 여러 수단들과 함께 베단따에서 유일하게 가치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에 따라 자신의 본질인 아뜨만을 인식하는 해탈의 과정에는 자기의 가치에 대한 자기 인식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아뜨만은 '존재, 의식, 환희'(있음, 비춤, 좋음)라고 정의되는데, 아뜨만이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치론적으로 최종적인 토대이자 원천이라는 점을 밝히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인간의 목표와 관련된 베단따의 입장은 고정된 인간의 본성, 추상화되고 관념화된 세계의 우위, 내부 세계에 대한 관심의 과잉 등과 같은 여러 한계점을 보이기도 한다. 결국 인간의 목표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자기 탐구의 과정이 주는 가치이다. 자기 탐구란 가장 현실적인 결과를 낳는 베단따의 각본을 주어진 것으로 받아들이고 나서 자기 자신이 지속적으로 그 각본을 자기 경험에서 실행하고 검증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세속적 삶을 버리고 탈속적 삶으로 행위의 중심을 이동하는 것이 '자기 조정'이고, 참된 자아에 대한 지식을 통해 자아의 과잉을 덜어내는 것이 '자아의 단순화'이며, 그 단순화의 끝에 최종적 자아 자체로 머무는 것이 해탈이다. 따라서 인간의 목표를 향한 베단따의 탐구는 '참된 행위=자기 조정 ${\rightarrow}$ 참된 지식=자아의 단순화 ${\rightarrow}$ 해탈=최종적 자아'라는 틀로 정리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