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sychology of the self-nature in platform sutra-focused on dynamics in essential and inclusive self-nature

『단경』에 나타난 자성의 심리학 - 본래적 자성과 포괄적 자성의 역동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8.04.15
  • Accepted : 2018.05.23
  • Published : 2018.05.31

Abstract

Zen Psychology refers to the psychology of Zen Buddhism a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focusing on the "Platform Sutra" written by Huineng, the founder of Patriarchal Zen, and the southern Zen schoo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psychology, Zen psychology is divided into theory of Zen mind, theory of Zend mind function, and Zen psychotherapy. In theory of Zen mind, Huineng explains the mind based on self-nature, and explains the theory of dharma, theory of humanity,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worldview though self-nature. Every human mind has its own original character of self-nature. When one's own mind with self-nature is revealed, it is the basic mind. When it is covered, it is the mind of common people. Self-nature is characterized by dharma construction, incompetence, non-naming, cleanliness, equality, and self-Buddhahood. In the theory of dharma, dharma is non-dual and is equal. The theory of humanity is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harpness and dullness or capacity of the human being. From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you can see the mobility of cover and revealment, enlightment and delusion, sacred and common. In the worldview, the world and phenomena are the functions of self-nature and one's own mind. The theory of Zen mind function deals with wisdom and defilement of common people. The function of wisdom is to know the whole and one at the same time, and is intangible. Defilement of common people is an inner common people that cover the functions of wisdom. In Zen psychotherapy, in order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human and dharma, seeing into self-nature is suggested and the goal. In teleology, the goal is to reveal and see the self-nature covered by defilements. As a methodology from cover to revealment, Huineng interprets the traditional methodology as a new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mind, and presents Sammu as its own methodology. Based on the absence of attachment, Huineng proposed a methodology of No-abiding, No-thought and No-form, to gather mind on reality and treat all things equally. Based on this, Huineng proposed a new methodology for dealing with karma through repentance and vows, and a methodology for edification. In view of the Four Noble Truth, it is the phenomenon that self-nature is covered, the cause of defilement and the mind, the aim of seeing the self-nature which is covered, and the way of revealing the covered self-nature is presented. In this sense, the Zen Psychology of Platform Sutra is psychology of self-nature.

본고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인 선심리학을 혜능의 "단경"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선심리학은 불교심리학의 분류에 따라서 선심학, 선심소학, 선심리치료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 하에서 혜능의 선심리학은 자성의 심리학으로 볼 수 있고, 본래적 의미의 자성과 포괄적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에 의해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학에서 심은 자성을 기반으로 드러난다. 본래적 자성이 드러나면 본심이 되고, 포괄적 자성이 드러나면 인심이 된다. 본래적 자성은 만법건립성, 불가득성, 불가명성, 청정성, 평등성, 자불성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법론에서 법은 불이이고 평등하지만, 인간론에서 인간은 근기의 예둔과 돈점에 따라서 범부와 성인, 하근기와 상근기로 나뉜다. 마음의 운동성을 보여주는 연기론에서 자성의 은현, 미오, 범성을 오가는 두 가지 의미의 자성의 역동성을 볼 수 있다. 세계관에서는 이러한 역동성으로 인해서 펼쳐지는 세계와 현상은 자성의 작용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선심소학은 선심리학에서 전개되는 마음의 기능 즉 반야와 중생심을 다룬다. 반야는 자성으로부터 발생하고 모든 사람이 가지고 있다. 형상이 없는 지혜인 반야는 전체와 하나를 동시에 아는 것이고, 수많은 번뇌를 지혜로 바꾼다. 또한 이법(二法)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이 반야이다. 중생심은 이러한 반야의 기능을 덮고 있는 내부의 중생을 말한다. 중생심을 본래적 자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것으로 참회와 서원이 있다. 신심리치료는 인간의 예둔과 법의 평등의 괴리를 없애기 위해서 견성을 목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방법론으로 혜능은 전통적인 계정혜의 방법론을 마음의 관점에서 새롭게 해석함과 동시에 자신의 고유한 방법론으로 삼무를 제시한다. 분별, 염오, 집착이 없는 무상 무념 무주의 방법론을 제시한다. "단경"의 선심리학은 자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는 의미에서 자성의 심리학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