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ter habitat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1초

계절과 서식지 유형에 따른 국내 Eurasian otter (Lutra lutra)의 스트레스 반응 (Stress Response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Relation to Habitats and Season)

  • 이건주;조현진;나정은;장재민;장진우;이학영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80-90
    • /
    • 202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ess response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stress hormones by using the fresh feces of wild otters in the Gwangju stream and Seomjin river during summer and winter in 2018. We compared seasonal and regional number of spraints (=otters' feces), temperature, altitude, water width, land cover, and water quality with stress hormones. The stress hormone levels were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and significantly different to season and reg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fec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ason and region,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hormone. This study suggested assessing stress hormones as another promising method for the analysis of status of wild otters and it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policy, especially in urban area.

Ecology of Otters and Utilization of Artificial Holts in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gion of the Seomjin River

  • Jo, Yeong-Seok;Choi, Byung-Jin;Won, Chang-Man;Kim, Joo-Pill
    • 환경생물
    • /
    • 제24권2호
    • /
    • pp.160-16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prey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the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the ecosystem conservation region of the Seomjin River. The study was conducted for a 12-month period from March 2003 to February 2004 by spraints analysis and an investigation using artificial holts. We found seasonal variation in the number of spraints and composition of prey items. Fish were the main prey items throughout the period (82%), and other prey items included birds (14%), amphibians (2%) and arthropods (1%). In addition to prey identification, we investigated habitat utilization by otters through spraints distribution. The traces of otters were discovered in five of the six total artificial holts.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 artificial holts in the study area seemed to be limited as evidenced by the low frequency of traces in the holts.

수달배설물 밀도 변화에 대한 연구(2012-2016) -부산신항만- (A Study on Changes in the Density of Eurasian Otter Spraints (2012-2016) - The Busan New Port -)

  • 차현기;김지혜;윤명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57-466
    • /
    • 2017
  • The extensive construction works of container terminals progressed since 2006 was converted to small scaled construction works or reclaiming works since 2012 in Busan New Port area. To investigate changes in activity of otters with the change of construction work scales, the linear densities of spraints at 15 localities of 5 areas (I-V) near the Busan New Port construction areas were surveyed during the period from 2012 to 2016. As the results, the average linear density of spraints has a tendency to increase since 2014. That is, the linear densities of spraints have increased at the area II and IV where the reclaiming works have been progressed, although have decreased or unchanged in the areas I, III and V where small scaled construction works have been progressed. Based on the fact that there were habitats at the Honamdo in the area II and the Yeondo in the area IV, otters seemed to restore their activities around the habitats as the center regardless of the reclaiming works.

지리산 지역의 생물종 분포모형 구축 및 종풍부도 평가 (Development of Species Distribution Models and Evaluation of Species Richness in Jirisan region)

  • 권혁수;서창완;박종화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18
    • /
    • 2012
  • 생물다양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생물다양성 평가, 보호지역 지정, 서식지 관리 및 복원 등 생물자원에 대한 공간적 평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야생동물의 서식지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 및 모형화의 기법 연구와 생물종풍부도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종분포모형을 위해 사용된 GAM (Generalized Additive Model)으로 기존의 중첩 분석이나 GLM (Generalized Linear Model)에 비해 환경변수와 반응변수의 관계가 명확하고 이에 따른 해석이 용이하다. 본 연구대상지로는 국립공원, 경관생태보호구역, 수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리산, 백운산, 섬진강을 포함하고 있는 유역을 선정하였다. 대상유역의 토지피복에 따라 층화추출을 통하여 야생동물(포유류와 조류)의 출현/비출현 형태의 현장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야생동물의 서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 사회 경제적 자료를 구축하였다. 각 종에 대한 서식지이용분석과 주요서식인자를 확인한 후, 출현/비출현 모형을 통해 서식지적합성모형을 개발하고, 개별 종에 대한 서식지적합성지도 작성하였다. 서식지 적합성지도를 산술 합산하여 분류군별(포유류, 조류) 종풍부도, 통합종풍부도를 작성하였다. 개별 종 서식지의 주요인자는 서식지선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고라니나 박새와 같은 몇몇 종들은 저지대에 분포하나, 대부분의 포유류나 조류의 잠재서식지는 국립공원 경계구역이나 중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환경부에서 수행하는 생물다양성의 평가, 보호지역의 지정 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GIS를 이용한 경북 봉화군 운곡천 수달의 서식지 분석 (Analysis about Habitat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L. by Using GIS in the River Ungok of North-Kyongsang Province)

  • 정종철;조영석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175-179
    • /
    • 2005
  • 본 연구는 2002년 10월부터 2003년 9월까지 경상북도 봉화군 운곡천을 대상으로 수달의 배설물 및 배설지 등의 흔적조사를 통해 얻은 GPS좌표를 중심으로 하여 수치지도 및 현장조사에서 얻은 정보를 Arc/view를 이용해 수달의 최적 서식지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는 먹이자원인 어류의 종다양도와 풍부도가 깊은 연관을 맺고 있으며 식생 등의 서식환경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밀집된 주거지 등 인간의 간섭은 수달의 서식지 이용에 교란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수달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적합 서식지를 선정하기 위해 GIS기법의 활용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PDF

EN-Simulator를 활용한 안심습지 일원 수달의 주요 이동경로 예측 연구 (Prediction Study on Major Movement Paths of Otters in the Ansim-wetland Using EN-Simulator)

  • 신지훈;서보용;노백호;김지영;한성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1호
    • /
    • pp.13-23
    • /
    • 2021
  • 본 연구는 수달의 주요이동 패턴을 예측하기 위하여 EN-Simulator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범위는 대구시 안심습지를 중심으로 반경 7.5 km를 최종 범위로 설정하여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으며, 모형 검증을 위해 현지조사를 활용하였다. 가상의 수달 개체수는 1,000마리, 이동 스텝 수는 격자 당 1,000 스텝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841개 격자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평균 147.6±112.1 개체가 간격 50m 조건에서 분석범위 경계 지점에 도착하였다. 시뮬레이션 검증결과, 수달의 주요 이동 확률이 높은 지역 가운데 시뮬레이션의 '매우 높음 지역'에서 8개 수달흔적 지점(13.1%), '높음 지역'에서 9개 지점(14.8%)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동확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낮음 지역' 8개 지점(13.1%)과 '매우 낮음 지역' 4개 지점(6.6%)으로 나타났다. 시뮬레이션의 검증결과 높음 결과값을 가지는 지역에서 특히 실제 수달의 서식 흔적이 많이 나타났다. 또한 이동확률의 등급 별 단위 면적(1×1㎢ 당)에 따른 수달 출현지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가장 높은 확률로 이동하는 지역에서 단위 면적당 6.8개 흔적이 발견된 반면, 이동 확률이 낮은 지역은 0.1개 지점으로 분석되었다. 수달이 하천 지역의 주요경로를 이용하는 측면에서 보통 수준 이상 결과 지역에서는 23개(63.9%)로 많은 서식흔적이 발견되어 시뮬레이션의 주요 이동경로가 실제 수달 개체의 이동로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N-Simulator 분석은 수달의 이동경로 선택에 있어서 공간특성이 이동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예측 가능하고 분석값을 활용하여 주요 이동경로 내 추가 서식지 조성 및 로드킬 위험 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친환경적 설계인자를 적용한 생태복원공사의 시공성 평가 - 거제시 구천천 생태하천 조성공사를 중심으로 - (The Constructability Evalua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Construction Using Environment-friendly Design Factor - In the case of Construction of Gucheon Eco-River in Geoge City -)

  • 안병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99-114
    • /
    • 2013
  • In this study, constructability of ecologocal stream restoration process was evaluated and improved approaches for habitat were suggested. The study site is Gucheon River in Geoje city where conducted ecologocal restoration work within maintaining its flood control function. Application of ecological design factors and constructability in the process from planning to construction was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designing, it was focused more on the naturality of Gucheon River rather than the human convinience and ecological design factors were applied within the ecological capacity of the site. First, the indexes for constructability evaluation is selected.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as construction quality, design quality and construction administration system. Each index has details, so there are twenty sub indexes for contractibility evaluation. Second, the evaluation results shows that the index most in need of improvement was plumbing construction, followed by Stone construction and pavement construction. design concept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in entire categories. Finally it is suggested that it can be improved in both process of design to enhance the technology and process of construction to enhance the quality management. The constructability of ecological stream needs adaptive management and it must be discussed with its designing which is at the stage before construction. Also it needs discussion with its designer constantly and feed-back process.

방조제 건설 중인 2001-2002년 새만금 하구역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Estuary of Saemangeum Wate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Dike in 2001-2002)

  • 이태원;문형태;김광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98-305
    • /
    • 2003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the estuary of Saemangeum water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seasonal sampl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from April 2001 to February 2002. Species composit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4 stations (p>0.05,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cumulative number of species and species diversity (H') approached asymptote after four 30-min trawl hauls. Therefore 30-min trawl samples from each of the four stations were pooled to represent each season. A total of 45 species 2758 individuals and 30,346.8 g of fish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Of the fish collected Leiognathus nuchalis, Synechogobius hasta, Neosalanx jordani, Konosirus punctatus and Chaeturichthys stigmatias predominated in abundance accounting for $68\%$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Seasonal variation of fish abundance showed a similar trend to those of the other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The resident species were collected only in spring and autumn. Number of specie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summer due to the catch of many migrating species. In winter catch amount was low, and only 7 species were collected.. Brackish water fishes were more abundant in the study area, and Johnius grypotus and Cynoglossus joyneri were not premominated compared to the other coastal waters. This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s may be related to the lower salinity in this estuarine habitat than in the other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DMZ 및 군사접경지역의 포유류상 (Mammalian Fauna in DMZ Area)

  • 윤성일;계명찬;이흥식
    • 환경생물
    • /
    • 제25권3호
    • /
    • pp.215-222
    • /
    • 2007
  • 비무장지대(DMZ)를 포함한 민통선 일대는 지난 50여 년간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간섭을 적게 받은 지역으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된 세계적인 환경보전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개발에 따른 급격한 환경파괴가 가속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조사지역에 대한 논문, 보고서 등 문헌자료와 청문조사를 토대로 조사된 포유동물상을 파악하였다. DMZ 및 군사접경지역 전체에서 서식하는 포유동물 중 문헌상으로 서식이 확인된 종은 모두 6목 17과 5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화천군, 철원군, 양구군 일대 중부지역에는 총 6목 14과 32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종은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수달(Lutra lutra),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산양(Nemorhaedus caudatus),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물범(Phoca largha)등 3목 6과 6종이었다. 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종합적인 자연문화재 기초자원 조사결과는 향후, UNESCO의 세계자연보전지역 등록에 대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 DNA 메타바코딩을 활용한 멧돼지 및 육상 포유류 출현 모니터링 - 경기도 양평군 일대를 중심으로 - (Monitoring the presence of wild boar and land mammals using environmental DNA metabarcoding - Case study in Yangpyeong-gun, Gyeonggi-do -)

  • 김용환;한윤하;박지윤;김호걸;조수현;송영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33-14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stimate location of land mammals habitat by analyzing spatial data and investigate how to apply environmental DNA monitoring methodology to lotic system in Yangpyeong-gun, Gyeonggi-do. Environmental DNA sampling points are selected through spatial analysis with QGIS open source program by overlaying Kernel density of wild boar(Sus scrofa), elevation, slope and land-cover map, and 81 samples are collected. After 240 mL of water was filtered in each sample, metabarcoding technique using MiMammal universal primer was applied in order to get a whole list of mammal species whose DNA particles contained in filtered water. 8 and 22 samples showed DNA of wild boar and water deer, respectively. DNA of raccoon dog, Eurasian otter, and Siberian weasel are also detected through metabarcoding analysis. This study is valuable that conducted in outdoor lotic system. The study suggests a new wildlife monitoring methodology integrating overlayed geographic data and environmental D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