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mmalian Fauna in DMZ Area

DMZ 및 군사접경지역의 포유류상

  • Yoon, Seong-Il (Department of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Gyu, Myung-Chan (Department of Life Scienc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Hanyang University) ;
  • Lee, Heung-Shik S.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성일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계명찬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 이흥식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DMZ (De-Militalized Zone) in South Korea is world heritage area by passage control of human-being for more than 50 years since 1953. Wild flora and fauna in these area have been protected from any development and/or habitat destruction. However, consideration on ecosystem and nature in the area is becoming higher, and demand for development is raising also. We have reviewed any publications, which are surveyed about ecosystem and interview local residents about wildlife inherit there. Totally 51 species have been reported inhabited DMZ belonging to 17 Families, 6 Orders, so far. National monuments in DMZ are following; Asiatic black bear (Ursus thibetanus), Eurasian otter (Lutra lutra), Musk deer (Moschus moschiferus), KOREAN goral (Nemorhaedus caudatus), flying squirrel (Pteromys volans) and spotted seal (Phoca vitalima). These results would be an essential data to establish management strategy and manuals for conserving native ecosystem, native flora and fauna in DMZ, and also using for registering world heritage area under UNESCO.

비무장지대(DMZ)를 포함한 민통선 일대는 지난 50여 년간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간섭을 적게 받은 지역으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된 세계적인 환경보전지역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개발에 따른 급격한 환경파괴가 가속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까지 발표된 조사지역에 대한 논문, 보고서 등 문헌자료와 청문조사를 토대로 조사된 포유동물상을 파악하였다. DMZ 및 군사접경지역 전체에서 서식하는 포유동물 중 문헌상으로 서식이 확인된 종은 모두 6목 17과 5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화천군, 철원군, 양구군 일대 중부지역에는 총 6목 14과 32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종은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수달(Lutra lutra), 사향노루(Moschus moschiferus), 산양(Nemorhaedus caudatus),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물범(Phoca largha)등 3목 6과 6종이었다. 이 조사를 통해 얻어진 종합적인 자연문화재 기초자원 조사결과는 향후, UNESCO의 세계자연보전지역 등록에 대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도. 1987. 민통선북방지역 자원조사보고서-강원도지역
  2. 건설교통부 서울지방국토관리청. 2005. 경의선 도로.철도 연결사업 환경영향조사 보고서
  3. 경기도. 1987. 민통선북방지역 자원조사보고서-경기도지역
  4.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74. 비무장지대 접경지역 종합 학술조사보고서
  5. 문화부 문화재관리국. 1992. 비무장지대 접경지역 자연종합학술조사보고서
  6. 문화재청. 2003.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 보고서
  7.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5.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의 산림 생태계 조사 l차 보고서
  8.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6.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의 산림 생태계 조사 2차 보고서-중.동부 산악지역
  9.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7.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의 산림 생태계 조사 3차 보고서-중.서부 내륙지역
  10.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8.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의 산림 생태계 조사 4차 보고서-서부해안 및 도서지역
  11. 산림청 임업연구원. 1999.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의 산림 생태계 조사 5차 보고서-동부 산악지 및 해안지역
  12. 산림청 임업연구원. 2000. 비무장지대 및 접경지역의 산림 생태계 조사종합 보고서
  13. 산림청 임업연구원. 2001.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14. 서울대학교. 2000. 경기북부지역에서의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15. 성천문화재단. 1996. 야생의보고-비무장지대. 현암사
  16. 이우신, 임신재, 허위행, 최창용. 2004. 비무장지대 접근지역에서 서식지 유형과 야생조류 벚 포유류의 종 구성비교. 한국임학회지. 93(3):181-187
  17. 전영재. 2002. 한국 DMZ 비밀-50년의 역사를 간다. 수문출판사
  18. 환경부. 1995. '95 비무장지대 접경지역 (민통선지역) 자연환경 정밀조사 보고서 (I)
  19. 환경부. 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고성.인제 (1-01)의 자연환경
  20. 환경부. 2003a. 비무장지대의 환경생태학적 조사분석 및 영향평가 보고서. 환경부 차세대 핵심환경기술개발사업
  21. 환경부. 2003b. 비무장지대일원 생태조사결과 종합보고서
  22.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법, 시행령, 시행규칙)
  23. 환경부.환경기술진흥원. 2003. 비무장지대의 환경생태학적 조사분석 및 영향평가 워크숍
  24. 환경처. 1992. 비무장지대 접경지역 (민통선 지역)의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25. 한국동식물도감. 1967. 한국동식물도감
  26. 한국산지보전협회. 2005. DMZ의 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
  27. 한국철도시설공단. 2005. 동해북부선 (거진-군사분계선) 철도 연결사업 2004년 사후환경영향조사결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