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아나운서의 직업 만족도와 직업 지속의도 (Announcers' Job Satisfaction and Jon Continuity Intention)

  • 황유선;오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425-43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방송 콘텐츠 제작 종사자로서 아나운서의 직업 현실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나운서들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를 직업 선택 동기, 조직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평판 차원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아나운서들의 실제 직업 만족도와 직업 지속 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아나운서 직종이 과연 대중이 인식하는 이른바 인기 직종 관념과 얼마나 부합하는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현직 아나운서 대상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하였다. 응답자는 총 106명이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아나운서들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는 업무에 대한 외재적 동기가 아닌, 내재적 동기와 관련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아나운서 업무 만족도 및 직업 지속 의도와 가장 밀접한 관계를 지닌 요인은 조직일치감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평판 요인은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아나운서의 직업 만족도와 지속 의도가 외적 보상이나 조건 및 평가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에 대한 중화기술과 조직시민행동의 영향 연구 (A Study on Neu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 최명길;최화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65-76
    • /
    • 2015
  • 본 연구는 중화 이론, 조직시민행동 개념이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하고, 요인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으로 설계 및 분석하였다. 연구모형과 가설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온라인 설문을 통해 표본을 수집하였고, 분석 결과 중화 이론, 조직시민행동 변수는 직원의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발성을 기초로 한 조직시민행동이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화 기술이 정보보안 정책 준수 의도를 약화시키는 것을 검증하여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의 중화하려는 심리를 억제시키기 위해 탈중화 전략의 구체적인 형태를 고민하고, 의식교육 및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하는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의 정보보안 강화에 기여하고, 향후 정보보안 정책 연구들의 초석이 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메타버스 실재감이 조직원의 내적 동기를 통해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역량의 조절 효과 (The Effect of Metaverse Presence on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Through Intrinsic Motivation of Employees: Moderating Effect of Digital Technological Competence)

  • 황인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1-96
    • /
    • 2022
  • 코비드-19는 사무실 등 특정 공간 내에 사람들의 모임을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조직들은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온라인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조직원 간의 정보공유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최근, 메타버스 플랫폼이 보유한 공간, 경험 등의 실재감 요소가 교환 행동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관점이 제시되면서, 조직들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업무 지원 수준을 높이고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실재감이 조직원의 내적 동기 형성을 통해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의 디지털 기술 역량의 차이에 의해 지식공유 의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는 가상 현실 등 선행연구를 통해 연구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서베이를 통해 확보한 309개 표본을 활용하여 가설 검증을 하였다. 결과는 메타버스의 사회적, 원격, 자기 실재감이 조직 관련 내적 동기(조직 동일시, 가치 일치)를 높여 지식공유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디지털 기술 역량이 가치 일치와 지식공유 의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업무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조직에 있어 메타버스 실재감 강화의 중요성과 개인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에서 업무 특성, IT 특성, 조직 특성이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rocess, IT,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rocess Virtualizability)

  • 풍일척;권순동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4호
    • /
    • pp.119-142
    • /
    • 2022
  • 조직은 물리적 환경에서의 업무 처리를 정보시스템과 인공지능 기반의 가상적 업무 처리로 디지털 전환함으로써 업무수행에 따른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하고 경쟁력을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많은 조직이 원격근무를 실시하면서 급진전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업무 환경의 디지털 전환이 가져온 성과인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은 가상환경에서의 업무처리의 적합성이나 수월성과 같은 결과적 품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가상화 이론에 근거하여 업무 특성과 IT 특성과 조직 특성이 업무 프로세스 가성성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가상 환경에서 원격근무를 경험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첫째, 업무 특성 측면에서 감각적 요구는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관계적 요구, 동기화 요구, 식별제어 요구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IT 특성 측면에서 표현력과 도달력은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직 특성 측면에서 근무 자율성은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평가 불공정성은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업무 프로세스 가상성에 IT의 표현력과 도달력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직무 자율성은 다음이며, 감각적 요구는 영향이 가장 낮음을 규명함으로써 업무 프로세스 가상화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서 자동요약 기술을 적용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기반 지능적 아카이빙 시스템 (Cloud storage-based intelligent archiving system applying automatic document summarization)

  • 유기동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9-68
    • /
    • 2012
  • 제로 클라이언트 체제는 기업의 문서 중앙화를 위해 제시된 최신의 방법이며, 이를 기업의 현실에 보다 적합하도록 토착화시키는 작업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제로 클라이언트 체제의 잘 알려진 보안 및 프라이버시 상의 문제점을 제외한, 사용 상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고안되었다. 즉, 작업자가 작업한 문서를 기업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하고자 저장 카테고리를 검색하는 과정의 부담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작업 문서의 주제어를 자동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당 문서가 저장되어야 하는 카테고리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작업자의 확인을 통해 자동 저장되도록 하는, 지능적 아카이빙 방식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주제어 자동 파악 및 자동 아카이빙을 위한 방법론과 프로토타입 시스템은 기업 환경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과 확장성을 갖추고 있다.

RFID 실행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Factors Analysis Affecting Success of RFID Implementation)

  • 박용재;임명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2C호
    • /
    • pp.157-167
    • /
    • 2012
  •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21세기 가장 크게 기여할 10대 기술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으며, 전산업 분야에 걸쳐 적용 및 활용 가능한 유망기술이다. 각국은 RFID 기술개발 및 산업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RFID를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하여 지원정책을 적극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RFID 실행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RFID 수요를 촉진하고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RFID 실행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사용자 요인, 기술적 요인, 조직적 요인, 외부적 요인들로 분류하여 탐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개념적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RFID를 도입하여 실행하고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조 방정식모형 분석기법에 의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증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RFID 수요를 촉진하고 산업을 활성화하는데 필요한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간호사의 공감피로 문헌분석 (A Literature Review of Compassion Fatigue in Nursing)

  • 양영희;김종경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8-51
    • /
    • 2012
  • Purpose: In this study the literature of compassion fatigue in nurses was reviewed in order to analyze the trends of overall research for level of fatigue, symptoms, and factors. Methods: For this study, five databases were searched using the key words 'compassion fatigue', 'secondary traumatization',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vicarious traumatization'. Thirty-six papers were analyzed. Results: Most of the compassion fatigue research (86%) was conducted between 2006 and 2011 and the most frequent research approach was quantitative research with the ProQOL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rument in the studies. He research was conducted in pediatric, emergency & trauma, oncology, psychiatric, and hospice units with no consistent patterns of t compassion fatigue levels. Factors affecting compassion fatigue were personal factors such as age, education background, work-related factors such as caring for trauma patients, work hours,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work stress, burnout, and support/coping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support, and coping resources. Conclusion: Nurses' compassion fatigue varied from low to high by nursing specialties. Many factors affected the compassion fatigue of nurses.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study on Korean nurses, and identification of groups at risk for compassion fatigue.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management programs on compassion fatigue in nurses, stress reduction and wellbeing.

RFID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혁신확산이론 관점에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FID Diffusion: In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Diffusion Theory)

  • 장성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173-18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RFID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혁신 확산이론과 RFID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은 RFID를 도입한 73개 기업을 대상으로 Smart PLS 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표준화, 정보시스템 하부구조는 RFID 통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이점, 조직간 협업, 경쟁적 압력은 RFID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RFID 통합은 RFID 사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RFID의 확산에 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B2B EC에서의 b-Cart기반 에이전트시스템의 설계:AgentB (Design the b-Cart based Agent System in B2B EC: AgentB)

  • 임규건;이재규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7-384
    • /
    • 2003
  • B2B EC에서 지능형 에이전트에 대한 요구의 증가와 함께 기업구매자가 직접 전자시장으로부터 구매하는 데스크탑 구매의 요구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B2B 상에서 전자시장으로부터의 효율적인 구매를 지원하는 b-Cart 기반 에이전트 시스템의 설계 사례에 대해서 기술한다. b-Cart는 구매자가 소유하고 사용되는 구매자 사이트에 위치한 쇼핑카트로서, 본 논문에서는 B2B EC에서의 b-Cart 기반 에이전트 시스템의 요구 기능을 사용자식별(Identification), 사용자 다이알로그(User Dialog), 상품정보수집(Collection), 물품정보제거(Trashing), 개별 구매의사결정지원(Individual Purchase Decision Support), 조직 구매의사결정지원(Organizational Purchase Decision Support), 협상(Negotiation), 주문처리(Ordering), 지불처리(Payment), 진행사항 추적(Tracking), 구매기록(Recording), 전자구매시스템에 구매기록 전송(Record Transmission), 지식베이스에 새로운 지식 유지(Knowledge Maintenance)으로 정의하고, b-Cart 기반 에이전트 시스템의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설계하고 시스템의 구조를 설계하여 프로토타입 시스템인 AgentB의 설계 사례를 소개한다. b-Cart 기반 에이전트시스템은 기업구매자의 전자시장으로부터 구매자 증가함에 따라 분산된 정보를 관리 해주고 통합적으로 구매처리를 해줄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이다. 향 후 B2B EC의 에이전트 시스템은 b-Cart를 기반으로 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PDF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피로,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 오명옥;성미혜;김양원
    • 임상간호연구
    • /
    • 제17권2호
    • /
    • pp.215-227
    • /
    • 2011
  • Purpose: This research was done to identify relationships among job stress,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513 nurses who work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of 17 tertiary centers and 28 secondary hospitals. Data collection for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done from May to July 2010 using self 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the SAS 9.2 program.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age, religion, total clinical experience, emergency department experience, current position, frequency of night shift, average sleep hours, wage level, numbers of beds in unit, and reason for working.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and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for the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job stress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as the principal variable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along with fatigue. Appropriate stress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identification of job stress for these nurses should lead to development of improved management of nursing manpower and a reduction in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