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zational creativity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3초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of Corporate Organization Members)

  • 송찬섭;노연숙;이다정;이선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87-198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조직환경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정신이 조직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실증분석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조직의 기업가정신이 개인·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관계의 매개효과를 파악코져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경북지역의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이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이 개인·집단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은 개인·집단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고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기업전략수립 방향과 조직차원의 관리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정그룹 애착이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 효능감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Attachment Security on Individual Creativity: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 권정언;권상집
    • 지식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43-66
    • /
    • 2014
  • This study uses group attachment theory to examine how group attachment security affects individual creativity through self-efficacy. 151 students participated in an experimental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group attachment security prime or control condition group. The results reveal that (1) group attachment secur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individual self-efficacy,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individual creativity. (2) Individual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attachment security and individual creativity. Synthesizing theories of group attachment theory, self-efficacy, and creativity, this study tested a theoretical mechanism linking group attachment security with creativity via self-efficac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many firms should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perspectives of communication and cohesiveness to release creative ideas and strengthen individual self-efficacy more effectively.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for further study are discussed.

  • PDF

The Influence of Leadership Style on Employee Creativ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Chae, Joo-Seok;Lee, Nam-Gyum;Hwang, Il-Young;Park, Soon-Young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5권4호
    • /
    • pp.73-81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leaders of national universities on faculty creativity. The study examin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theories and investigated self-efficacy, the parameter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creativity, to examine its moderating effect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national universiti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built four hypothes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ested these using a survey method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Result - At the national universiti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charisma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intellectual stimulus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and, individual consideration of leader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Therefore,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positive influence on member creativity. Conclusion - Creativity is thought to be important for organizational survival and continuous development at rapidly changing education administrations. Educational administration leaders should exerci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o develop member creativity. Member self-efficacy, which had a mediating effect on creativity, requires leadership to develop it.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Small Maufacturing Businesses' Company Cul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 김영일;김광수;김기완;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27-32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문화, 즉 개인의 조직 몰입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 및 창의성 향상 등의 조직 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p<.001, ${\beta}=.493$). 조직적 문화(조직 화합도)와 환경적 문화(환경적 요인 중시 태도)는 조직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다. 또한 근로자 개별 특성에 따라 개인의 조직 몰입도는 사원급보다 차장/부장 이상에서 더 높았으며 조직 화합도는 20대보다 40대, 전문대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 근속년수 5년 이하보다 10년 이상일 경우 더 높게 평가했다. 조직성과, 즉 직무 만족도와 창의성 향상과 같은 요소들은 고졸 이하보다 대졸 이상일 경우 더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소제조업의 기업문화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 조직 환경적 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근로자의 개별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공공조직의 사내기업가정신 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Awarenes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ublic Organizations: Focusing on Domestic Public Sector Practices)

  • 박영상;이우진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83-98
    • /
    • 2016
  • 본 연구는 그동안 깊이 있게 다루지 않았던 공공부문에서의 조직 내 사내기업가정신 (Corporate Entrepreneurship)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국내 공공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조직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요인으로 혁신추구성,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 자율성이 공공조직의 유효성 요인인 창의성발휘,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조직 내 구성원의 개인적 기업가정신 요인으로 혁신추구성과 위험감수성, 목표지향성이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공공조직에서의 사내기업가정신은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기업가 정신 함양여부 정도에 따라 조직유효성에 부분적으로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부문에서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조직차원과 개인차원의 기업가정신이 공공조직 문화로 확산되기 위한 파괴적 혁신과 변화를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통한 혁신과 변화를 장기적으로 지속,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아울러 전 국가적 차원에서 공공부문에 기업가정신 관련 정책보급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향후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공공부문에서의 업무와 분야를 바탕으로 좀 더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상호작용 공정성 인식이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절차공정성의 조절효과와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Members' Perception of Interactional Justice on Creativity: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 and Moderating Effect of Procedural Justice)

  • 왕위;김용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139-148
    • /
    • 2022
  • 조직성과는 상사의 행동과 직결되기 때문에 다양한 리더십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리더십의 유형과 역할은 다양하지만 중국 조직은 사회적 책임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조직의 지속적인 발전과 성과 향상을 위해 윤리적 요소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국 조직 내에서 조직 구성원들 상호작용과 상사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성과 측면에서는 오늘 혁신이 요구되는 상황을 바탕으로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초점을 맞췄다.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성원 상사의 신뢰에 대한 다중 직렬매개 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는 중국 중소기업 종사자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지금까지 중국 중소기업에서 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직 구성원들의 창의성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변수를 탐색함과 동시에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둔다.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in a Virtual Team: Roles of Authentic Leadership, Sharing Team Climat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 Hahm, SangW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8호
    • /
    • pp.4105-4119
    • /
    • 2017
  • Creativity is crucial in an ever-changing e-business environment. The creation of new value is essential for companies to gain the competitive edge and to pioneer new markets in e-business. Hence, many companies in e-business operate virtual teams as they are suitable to generate creativity. Even so, virtual teams possess the inherent weakness of a lack of cohesiveness. Hence, for a virtual team to be creative, team members should help each other and share informat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that is supposed to improve creativity and explains how to increase them for virtual teams. To explain these relationships, three dimensions are routinely examined in organizational behavior studies: leaders, teams, and members. As a consequence, and through empirical analysis, authentic leadership, sharing team climate,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enhances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through their respective roles, in addition to information sharing directly increasing creativity. To improve creativity and information sharing of virtual team members in e-business, this article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the three roles stated prior. Such factors can increase information sharing and creativity, and will help virtual teams and organizations to be more successful in e-business.

The Impact of Creative Role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on Employee Creativity in the Hotel Business

  • KIM, Ji-E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2호
    • /
    • pp.123-133
    • /
    • 2019
  •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exus of between role identity, self-efficacy, feeling of energy, and employee creativity in the hotel industry of Korea. Th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s like creativity have been many researchers' interest for decades in the hotel industry. The hypotheses depict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have been proposed based on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The number of 215 cases was used for final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expla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 the hotel employees' role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feeling of energy. Further, both role identity and creative self-efficacy make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Feeling of energy also makes a positively significant impact on employee creativity. Feeling of energ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employee creativity. As a result, creative role identity, self-efficacy, and feeling of energy explain the variance of the hotel employees' creativity. The results present that hotel practitioners need to regard their employees' creative roles and build organizational culture to support creative activities so as to enhance employee creativity.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hotel industry and future studies have been discussed.

종업원들의 성취동기와 창의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hievement Motive and the Creativity of the Employee)

  • 김재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0권44호
    • /
    • pp.13-32
    • /
    • 1997
  • The modem society has been talked as the age of uncertainty, the age discontinuity and the information society. The future society is forcasted the creativity society. Both the achievement motive and the creativity be suggested as an important factors to accomplish the individual goal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achievement motive has the major implications in increasing the level of achievement motive between high and low creative group. The employee creativity is the emergence in action of a novel relational product, growing out of the uniqueness of the individual on the hand, and materals, events people or cirumstances of his life on the other. It has been treated as an impotant factor to solve the complex management ploblems for the managemen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are (1) to review the theory of an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creativity, (2) to provide both management and scholars with the practical and useful implications on the development of the employee cretivity in improv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 PDF

컨설턴트의 역량이 서비스 품질을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 창의성과 혁신성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ultants' competency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service quality: focusing on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innovation)

  • 이정애;서영욱;이정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577-584
    • /
    • 2020
  • 본 연구는 경영 컨설턴트의 역량(개인능력, 전문성)과 컨설팅 서비스 품질(신뢰성, 확신성)이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대상은 컨설팅을 받은 경험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조사한 62개 기업( 80명)의 표본자료를 SPSS 25.0와 Smart PLS 2.0을 활용, 통계를 바탕으로 처리하여 빈도 분석과 신뢰성,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컨설턴트 역량의 개인 능력과 전문성은 컨설팅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확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둘째, 컨설팅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확신성 또한 조직성과 부분의 창의성과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다(p<0.001, p<0.05). 단,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은 조직성과 부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미미한 것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조직성과 부분에서 조직의 창의성은 조직의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어(p<0.001) 궁극적으로는 조직의 창의성과 혁신성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종합하면, 경영 컨설팅의 경우 컨설턴트의 역량 및 제공되는 서비스의 품질에 따라 기업의 조직내 창의성과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는 기업의 경영성과 향상에 기여하기 때문에 컨설팅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컨설턴트는 개인의 능력 및 전문성, 제공되는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기업의 조직내 창의성과 혁신성이 내재될 수 있도록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전략을 구축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중소기업 컨설팅의 품질을 높이고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신이 요구되는 중소기업들의 성장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