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al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1초

Optimization of Emulsion Polymerization for Submicron-Sized Polymer Colloids towards Tunable Synthetic Opals

  • Kim, Seul-Gi;Seo, Young-Gon;Cho, Young-Jin;Shin, Jin-Sub;Gil, Seung-Chul;Lee, Won-Mo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891-1896
    • /
    • 2010
  • Submicron-sized polymeric colloidal particles can self assemble into 3-dimensional (3D) opal structure which is a useful template for photonic crystal. Narrowly dispersed polymer microspheres can be synthes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in water using water-soluble radical initiator. In this report, we demonstrate a facile and reproducible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to prepare various polymeric microspheres within 200 - 400 nm size ranges which can be utilized as colloidal photonic crystal template.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monomer and surfactant, monodisperse polymer colloids of polystyrene (PS) and acrylates with various sizes were successfully prepared without complicated synthetic procedures. Such polymer colloids self-assembled into 3D opal structure exhibiting bright colors by reflection of visible light. The colloidal particles and the resulting opal structures were rigorously characterized, and the wavelength of the structural color from the colloidal crystal was confirmed to have quantitative relationship with the size of constituting colloidal particles as predicted by Bragg equation. The tunability of the structural color was achieved not only by varying the particle size but also by infiltration of the colloidal crystal with liquid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바질의 항산화 물질 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Antioxidation Substances in Basil)

  • 서봉순;박명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4-59
    • /
    • 2010
  • Basil is known to contain six types of polyphenols that engage in physiological activation; protocateuic acid, caffeic acid, chlorogenic acid, courmaric acid, rosmarinic acid and quercetin. In this study, the antioxidants in eight types of basil were evaluated. Specifically,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of basil was evaluat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oxygen scavenging (DPPH radical-scavenging), which was used as an index showing the content and functionality of the polyphenol compounds in basil, and $Fe^{2+}$/ascorbate (FTC)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different types basil occurred in the following order: Dark-opal> Lettuce> Bush> Greek> Lemon> Sweet> Geno> Holy. The highest content Dark-opal was 173.3 mg, which was about three times greater than the lowest content Holy, which was 49.85 mg. In addition, DPPH radical-scavenging by Dark-opal 51%, which was the highest scavenging activity occurred in the folling order: Dark-opal> Lettuce> Bush> Greek> Lemon> Sweet> Geno> Holy.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values measured using the FTC and TBA were the same as the value obtained using the DPPH method. Finally, the level of antioxidative activation measured using FTC, TBA and DPPH method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ntent of polyphenol substance was, the stronger the antioxidative activation became.

포항 분지의 제3기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규화목의 산출상태와 구성광물 (The Mode of Occurrence and Composing Minerals of Petrified Woods from the Tertiary Janggi Group of Pohang Basin in Korea)

  • 김종헌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531-538
    • /
    • 2008
  • 경북 포항의 장기층군에서 산출된 규화목의 산출상태로부터 판단하면 규화목은 모두 이지성 화석임을 지시한다. 장기층군에는 규화목과 함께 탄화목, 목탄도 발견되며, 일부의 규화목에는 껍질부분에 갈탄화된 유기물이 일부 남아있는 것도 있다. 규화목의 X선 회절 분석으로부터 Opal-CT, Opal-C, 석영+크리스토발라이트의 3가지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광물의 존재는 규화작용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실리카($SiO_2$)의 주공급원은 응회암으로 추정된다. 규화목의 구성광물의 종류와 조직 보존 상태로부터 판단하면 규화작용은 주로 치환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멀티스케일 아키텍쳐링 기반 역오팔상 구조체 기능성 멤브레인 기술 (Multiscale-Architectured Functional Membranes Based on Inverse-Opal Structures)

  • 유필진
    • 멤브레인
    • /
    • 제26권6호
    • /
    • pp.421-431
    • /
    • 2016
  • 최근 들어 정렬구조의 나노구조체를 이용한 분리막 응용기술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나노구조체 분리막은 낮은 흐름저항을 통해 높은 투습성을 유지하면서도 매우 균일한 기공크기 특성으로 인해 높은 분리선택비를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특히 콜로이드 입자의 자기조립체인 오팔상 및 그 역구조인 역오팔상 구조체를 이용한 분리막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는데, 기공크기를 자유롭게 제어하면서도 내부에 다양한 기능기의 도입이 가능하여 크기선별 분리 뿐 아니라 반응성 분리막의 응용에까지 폭넓게 적용이 가능하다. 더불어 다양한 멀티스케일 구조화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분리막 소재에서는 다룰 수 없었던 다양한 형태의 기공 및 채널구조를 도입할 수 있어, 차세대 고부가가치 분리막 소재기술에 있어 큰 활용이 기대된다. 본 기고에서는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역오팔상 구조체 분리막 기술과 더불어 계층구조화를 통한 기능성 분리막의 개발에 대해 총괄적으로 살펴보고 논의하고자 한다.

CompactRIO/OPAL-RT를 이용한 실시간 마이크로그리드 시뮬레이터 (A Real-Time Microgrid Simulator Using CompactRIO & OPAL-RT)

  • 유형준;유현재;김학만;임유진;박재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94-895
    • /
    • 2012
  • 마이크로그리드는 친환경 독립 전력시스템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와 CO2 매출량을 줄일 수 있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실시간 디지털시뮬레 이터를 사용할 경우 시스템 개발 측면에서 시간과 경비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OPAL-RT와 CompactRIO를 이용하여 마이크로그리드의 실시간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여 기초적인 동작을 시험하였다.

SIPPING TEST: CHECKING FOR FAILURE OF FUEL ELEMENTS AT THE OPAL REACTOR

  • Smith, Michael Leslie;Bignell, Lindsey Jorden;Alexiev, Dimitri;Mo, Li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125-130
    • /
    • 2010
  • Sipping measurements were implemented at the Open Pool Australian Light water reactor (OPAL) to test for failure in reactor fuel elements. Fission product released by the fuel element into the pool water was measured using both High Purity Germanium (HPGe) detection via samples and a NaI(Tl) detection in-situ with the sipping device. Results from two fuel elements are presented.

동해 남한국대지 퇴적물의 생물기원 성분 입도 분포의 특성과 고해양학적 의미 (Characteristics and Paleoceanographic Implications of Grain-size Distributions of Biogenic Components in Sediments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East Sea))

  • 장준호;박장준;김은정;엄인권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249-261
    • /
    • 2020
  • This study details grain-size distributions (GSDs) of carbonate and biogenic opal fractions of the sediments retrieved from the South Korea Plateau in the East Sea and draws paleocanographic implications from them. The opal-fraction GSDs show fine modes of 10.3 ㎛ and coarse modes of 102.5 ㎛ on average. The fine-mode grains of opal fractions mainly consist of small diatoms and radiolarians including their broken frustules, while the coarse-mode grains are mostly comprised of large warm-water diatoms and radiolarian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pal contents and abundances of the coarse-mode GSDs in the total GSDs suggests that the abundances of the coarse-mode GSDs were controlled by the increased surface productivity of warm-water diatoms during interglacial stages. The carbonate-fraction GSDs show fine modes of 2.4 ㎛ and coarse modes of 99.1 ㎛ on average. The fine-mode grains mainly consist of coccolithophores, while the coarse-mode grains are mostly comprised of intact or broken planktonic foraminifera. The abundances of coarse-mode and fine-mode GSDs were not correlated with carbonate contents, suggesting a complex control exerted by both the degree of carbonate dissolution and the productivity of coccolithophores on the carbonate-fraction GSDs.

오팔세대의 라이프스타일과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the Preparation of Old Age in Opal Generation)

  • 임미정;최규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9-65
    • /
    • 2022
  • 최근에 신중년이라 불리는 1955년에서 1974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는 거대 인구 집단을 형성하며 이전의 전통적 노인 세대와는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국가 인구의 33%를 차지하는 이들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신세대 노인인구집단의 등장과 이에 따른 정책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오팔세대라고 불리기도 하는 신중년층은 평균수명의 증가로 늘어난 노년기를 생산적이고 자율적으로 보내고 싶어 하며 노후에 해외여행을 즐기는 등 어느 정도 경제적 능력도 지니고 있지만, 다른 한편 여가·취미활동, 대인관계 등 활동적 노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해서 신세대로서의 신중년층을 위한 정책적 관심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오팔세대의 정의, 그들의 소비생활을 비롯한 태도, 사회활동, 여가활동, 건강에 대한 노력 등의 라이프스타일에 대해 알아보고, 오팔세대에 맞는 고용창출, 사회적 재교육, 지역의료시설 구축, 여가문화 생활을 위한 사회적 배려 등 노후준비에 대해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거대기공 구조-역오팔 또는 중공 구조를 갖는 KIT-1 메조포러스 실리케이트의 제조 (Synthesis of KIT-1 Mesoporous Silicates Showing Two Different Macrosporous Strucrtues; Inverse-opal or Hollow Structures)

  • 백연경;이정구;김영국
    • 한국분말재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9-194
    • /
    • 2016
  • We report a facile method for preparing KIT-1 mesoporous silicates with two different macroporous structures by dual templating. As a template for macropores, polystyrene (PS) beads are assembled into uniform three dimensional arrays by ice templating, i.e., by growing ice crystals during the freezing process of the particle suspension. Then, the polymeric templates ar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precursor-gel solution with cationic surfactants for templating the mesopores, which is followed by hydrothermal crystallization and calcination. Later, by burning out the PS beads and the surfactants, KIT-1 mesoporous silicates with macropores are produced in a powder form. The macroporous structures of the silicates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amount of EDTANa4 salt under the same templating conditions using the PS beads and inverse-opal or hollow structures can be obtained. This strategy to prepare mesoporous powders with controllable macrostructures is potentially useful for various applications especially those dealing with bulky molecules such as, catalysis, separation, drug carriers and environmental adsorbents.

마이오세 포항분지 시추코어의 구성광물과 분포특성 (Mineral Compositions and Distribution in the Drilling Cores from the Miocene Pohang Basin, Korea)

  • 이진현;황진연;손문;손병서;오지호;이효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13-126
    • /
    • 2017
  •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연구를 위하여 마이오세 포항분지의 연일층군에서 굴착한 2곳의 시추코어 시료에 대해 X-선회절분석을 통하여 구성광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석영, 사장석, 정장석, Opal-CT, 스멕타이트, 운모, 일라이트, 카올린광물, 녹니석, 방해석, 석고, 황철석, 돌로마이트, 능철석 등의 다양한 광물이 나타났다. 스멕타이트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산출되고 있으며, 하부에서 비교적 많이 함유되었다. 상부지층에 주로 산출하는 Opal-CT는 비정질 규조의 속성작용에 의한 것으로, 깊이에 따라 크리스토발라이트의 d(101) 값이 $4.10{\AA}$에서 $4.05{\AA}$으로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두 시추공에서 광물성분의 분포가 서로 유사하게 대비되어, 거의 같은 퇴적환경에서 형성된 것으로 생각된다. 스멕타이트가 대부분의 심도에서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지층은 이산화탄소의 지중저장시 덮개암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