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igotrophic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2초

북서태평양의 위도별 중형동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성 (Latitudinal Distribution of Mesozooplankton Community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 이창래;강형구;최근형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3권spc3호
    • /
    • pp.337-347
    • /
    • 2011
  • We investigated latitudinal changes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during a cruise between October 16 and November 30 of 2007 from four distinctive region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Ocean: Warm pool area (longitude $135^{\circ}$ line), Philippine EEZ (PEEZ), Japan EEZ (JEEZ), and East China Sea (ECS). Major taxa of numerical importance were Clausocalanidae (Clausocalanus spp.), Oncaeidae (Oncaea spp.), and Oithonidae (Oithona spp.) in oligotrophic regions, however Paracalanidae (Paracalanus spp.) was the most abundant group in the ECS. Mesozooplankton size group of <1 mm dominated in PEEZ and WP (48% and 56%, respectively), but mesozooplankton (>1 mm) were of importance in the JEEZ and ECS (34% and 38%, respectively). Mesozooplankton biomass and abundance were high in the JEEZ and ECS, and low in the oligotrophic WP and PEEZ waters, with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total Chl-a and heterotrophic protist biomass. Latitudinal change in meso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as related with water temperature, with copepods such as Lucicutia spp. and Pleuromamma spp. being present only in warm waters. The geographical expansion of mesozooplankton with a preference for warmer waters could potentially be useful as an indicator for detecting ocean warming.

Vegetation and water characteristics of floating mat in a coastal lagoon as the habitat for endangered plant species

  • Hong, Mun Gi;Nam, Bo Eun;Kim, Jae Geu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220-227
    • /
    • 2018
  • Background: To underst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loating mat in which endangered species of Iris laevigata and Menyanthes trifoliata inhabit, we surveyed the vegetation and water environments of a floating mat wetland and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at. Results: Although Phragmites australis and Zizania latifolia were found at all experimental quadrats (n = 61) as the major vegetational components of the floating mat wetland, they showed relatively poor growth performances in terms of shoot height (< 2 m) and biomass production (<$300g/m^2$) compared with those in soil-based wetlands because of oligotrophic water condition. The competitiveness and distribution of P. australis and Z. latifolia seemed to be determined by water level difference by micro-topography rather than water chemistry. Conclusion: P. australis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mainly occurred in the area of relatively shallow water, whereas Z. latifolia and deep-water species such as Scirpus fluviatilis mostly inhabit in the area of deep water on the floating mat. Continuously maintained water level and oligotrophic water condition in the floating mat appeared to be important environments for endangered species such as I. laevigata and M. trifoliata.

Diversity of freshwater red algae at Khao Luang National Park, southern Thailand

  • Chankaew, W.;Sakset, A.;Chankaew, S.;Ganesan, E.K.;Necchi, Orlando Jr.;West, John A.
    • ALGAE
    • /
    • 제34권1호
    • /
    • pp.23-33
    • /
    • 2019
  • Freshwater red algal divers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water conditions in 22 stream segments in the area around Khao Luang National Park, Nakhon Si Thammarat province, southern Thailand, were studied during a period of twelve months (May 2014 to April 2015). Sixteen species of freshwater red algae, belonging to eight genera (Audouinella, Balliopsis, Batrachospermum, Caloglossa, Compsopogon, Kumanoa, Sirodotia, and Thorea) were identified, which were all reported earlier for the country. Thorea clavata (Thoreaceae) was the most common species occurring in eight stream segments. Caloglossa beccarii sensu lato (Delesseriaceae) and Sirodotia huillensis Skuja (Batrachospermaceae) had the highest percent cover with up to 40% and 20% per stream segment, respectively. The water quality showed most sites to be unpolluted or ultra-oligotrophic to oligotrophic.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revealed some trends in occurrence of individual species with stream environmental variables: Batrachospermum sp.with strong current velocity; Kumanoa hirosei with high turbidity, total dissolved solid and alkalinity; Caloglossa beccarii with high conductivity; Kumanoa tabagatenensis with high ammonia-nitrogen and Thorea siamensis with high calcium and magnesium. In view of the scarce studies on the stream ecology of freshwater red algae in Philippines and neighbouring countries, it is expected that the data presented here would be helpful in more critical further studies in south-east Asia in general.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따른 피라미(Zacco platypus) 개체군의 전장-체중 관계 및 비만도 지수 (Length-Weight Relations and Condition Factor (K) of Zacco platypus Along Trophic Gradients in Reservoir Ecosystems)

  • 고대근;한정호;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5권2호
    • /
    • pp.174-189
    • /
    • 2012
  • 본 연구는 인공호의 영양 단계에 따른 피라미 개체군의 전장-체중 관계 및 비만도 지수 (K)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2008년~2010년까지 부안호, 양양호, 진양호, 금풍지, 예당지 및 마산지 등의 6개 인공호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광범위한 분포 특성과 섭식 특성을 보이는 피라미(Zacco platypus)를 본 연구의 대상 어종으로 선정하였다. 총인 (TP)과 엽록소-a (Chl-a)를 이용한 영양상태지수(TSI) 분석 결과 양양호와 부안호는 빈영양(30~40), 진양호와 금풍지는 중영양 (40~50), 예당지와 마산지는 부영양 (50~70)상태로 나타났다. 6개 호수에서 총 47종 26,226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빈영양호 (양양호, 부안호)에서는 민감종이 우세한 현상을 보였다. 한편, 중영양호 (진양호, 금풍지)와 부영양호 (예당지, 마산지)에서는 내성종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어 호수의 영양 상태에 따라 우세종의 내성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장-체중 관계 분석 결과에 따르면, 회귀계수 b값은 중 영양호(3.07~3.17)와 부영양호(3.15~3.21)에 비해 빈영양호 (2.77~2.79)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호수의 영양상태가 피라미 개체군의 성장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전장에 따른 비만도 지수 (K) 관계 분석 결과 중영양호와 부영양호에서는 양의 기울기를 보인 반면, 빈영양호에서는 음의 기울기를 나타내 호수의 영양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TSI (TP), TSI (Chl-a)와 회귀계수 b값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b=0.012*TSI (TP)+2.395 ($R^2$=0.797, p=0.017), b=0.013*TSI (Chl-a)+2.367 ($R^2$=0.822, p=0.013)으로 나타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부영양화가 진행될수록, 비정상개체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장-체중 관계와 비만도 지수 분석에 의한 피라미 개체군의 성장도는 영양염류나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과 같은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과도한 부영양화는 수환경의 오염을 초래하여 피라미 개체군의 성장과 건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 중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Populations Found in Serpentinite Soil)

  • 이종화;;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20
    • /
    • 2003
  • 충남 홍성군 광천 사문암 토양지역의 석면폐광석(KS1)과 인근 토양(KG, KS2)은 pH8.5-9.2를 나타내어 초염기성 토양임이 확인되었다. KSI과 KS2 토양으로부터 통상농도의 alkaline 배지(AL)와 AL 배지를 $10^{-2}$로 희석한 DAL배지를 사용하여 평판법으로 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AL 배지에서보다 DAL배지에서 10-1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초염기성 사문암 토양으로부터 분리된 75균주에대해 통상농도의 AL 배지에서의 중식 유무를 확인한 결과, 통상농도의 AL배지에서 증식 가능한 [AL세균군]과 AL배지에서는 증식이 저해되고 DAL 배지에서만 증식 가능한 [DAL세균군으로 크게 나누었다. DAL세균(42균주)은 $10^{-3}$ AL 배지(약 6mg C/L)에서도 증식 가능한 저영양성세균(oligotrophic bacteria)으로 사문암 토양 중 50% 이상 분포해 있음이 확인되었다. 분리된 75 균주의 16S rDNA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계통해석한 결과 proteobacteria $\alpha$-subdivision (3균주), $\beta$-subdivision (7균주), $\gamma$-subdivision (2균주), high G+C gram-positive bacteria (19균주)와 low G+C gram-positive bacteria (14 strains)의 계통군을 나타내었다. 이들 세균중 AL세균군(34균주)은 high G+C gram positive bacteria 에 속하는 streptomyces과 low G+C gram positive bacteria에 속하는 Bacillus로 구성되었다. 한편, DAL세균군(42균주)은 high G+C 및 low G+C gram positive 계통군 이외에도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Afipia와 Ralstonia, proteobacteria -subdivision에 속하는 Variovorax, proteobacteria $\beta$-subdivision에 속하는Pseudomonas로 구성되어 계통학적으로 다양한 세균임이 확인되었다.

고추 역병 방제를 위한 저영양 길항세균 7F 균주의 동정 (Identification of the Oligotrophic Bacteria Strain 7F Biocontrolling Phytophthora Blight Disease of Red-pepper)

  • 김동관;여윤수;권순우;장길수;이창묵;이미혜;김수진;구본성;윤상홍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41-47
    • /
    • 2010
  • 고추 역병이 발생한 충주, 안면, 태안, 안동, 음성 그리고 괴산지역의 고추밭 토양에서 전체 10,753균주의 저영양 미생불을 분리하였다. 이들 중 Phytophthora capsid를 포함하여 식불체의 주요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길항작용을 보이는 균주들을 일차적으로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온실 고추유묘 검정을 통해 고추 역병에 대해 탁월한 방제가를 보이는 7F 균추가 선발되었다. 이 균주는 16SrDNA염기서열 분석과 API20 NE 키트를 통한 생리, 생화학적 분석을 통하여 Bacillus subtilis로 동정 되었다. 고추 역병균 포자를 처리한 고추 유묘 화분 검정에서, 처리25일 후 대조구는 고추 역병 이병 비율이 87%에 이르는 반면에 7F 균주를 처리한 처리구에서는 단지 6%의 이병율을 보였다.

식물병원균에 대한 Bacillus vallismortis 1A 균주의 항진균 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vallismortis 1A against Phytopathogen)

  • 이미혜;김수진;이창묵;장재선;장해중;박민선;구본성;윤상홍;여윤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362-368
    • /
    • 2008
  • 항진균성 활성을 가지는 저영양세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토양시료는 경북 영양, 충북 제천, 충북 음성, 충북 괴산, 충남 논산 등지의 고추 밭에서 수집하였고 R2A배지를 이용하여 평판희석법으로 9,354여 균주의 저영양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저영양세균중 고추역병에 강한 활성을 가지는 1A 균주를 선발 하였으며 16S rDNA 와 표준균주(B. vallismortis, B. mojavensis)를 이용한 생리, 생화학적 실험으로 B. vallismortis로 최종동정 되었다. 1A균주는 Magnaporthe 균을 제외하고 Phytophthora, Collectotrichum, Botrytis, Fusarium 균등에서 폭넓게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고추 유묘검정에서 대조구가 89%정도의 발병율을 보인 반면에 1A 처리구에서는 29%의 발병율을 나타내어 고추역병의 길항균으로써의 미생물제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변형된 DVC법을 이용한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검출 및 정량적 평가 (The Detec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Soil Bacteria Using a Modified Direct Viable Count Method)

  • 황경숙;양희찬;염곡효
    • 미생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1-186
    • /
    • 2003
  •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기존의 직접생균수측정(DVC)법을 변형하여 산림토양의 각 층위에 분포하는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정량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방법에서 사용된 DNA합성저해제(nalidixic acid; 100${\mu}g$/ml, pipemidic acid; 50 ${\mu}g$/ml, piromidic acid; 50 ${\mu}g$/ml)보다 5배 높은 농도를 사용한 결과 토양세균 군집의 세포분열이 배양24시간까지 분히 억제되어 기존의 DVC법보다 1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얻었다. 토양시료를 제균수로 원심 세척한 경우 DVC는 전균수(TDC)의 약 I% 미만을 나타내어 첨가된 기질의 이용능을 정확히 판정할 수 있었다.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DVC법에 의해 검출된 생균수는 전균수의 18-44%를 나타내었고, 평판법(PC)에 의해 계수된 생균수는 전균수의 1% 미만을 나타내어 DVC법이 평판법에 비해 100-2000배 이상 높은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평판법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난배양성(VBNC)세균이 토양 내에 다수 존재해 있음으로 판단되었고, DVC법에 의해 난배양성 토양세균을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영양기질로써 통상농도의 NB배지와 NB를 $10^{-2}$로 희석한 DNB배지를 사용하여 DVC법과 평판법에 의한 계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DNB배지에서의 생균수는 NB배지보다 5~10배 이상 높은 값을 나타내어 산림토양의 각 층위에 저영양세균(oligotrophic bacteria)이 다수 분포해 있음으로 추정되었다.

국내 특수 생태환경의 탈질 저영양 세균의 종 다양성 및 생리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Species Varie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enitrifying Oligotrophic Bacteria Isolated from the Specific Environment in Korea)

  • 이창묵;원항연;권순우;강한철;구본성;윤상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10-217
    • /
    • 2011
  • 국내의 대표적 섬이나 생태환경이 잘 보존된 토양으로부터 저영양세균 3,471주를 분리하였고 이로부터 질소발생 분석법에 의해 탈질균 135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의 16S rDNA를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이들의 90% 가량이 Proteobacterium문에 속하였으며 다른 44속에 대부분 포함되었다. 대표적인 44속에 대해 분자생물학적 동정을 한 후 다양한 외부환경(온도, pH, 염, 무기질소염) 조건에 대한 이들의 생존성 범위를 조사한 결과, 넓은 온도($4^{\circ}C{\sim}42^{\circ}C$)와 pH(4~10)범위에서 자랄 수 있는 탈질균 12종을 최종 선발하였다.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배양법 평가 및 신 분류군의 순수분리 (Evaluation of Various Oligotrophic Media for Cultivation of Previously Uncultured Soil Bacteria)

  • 김도형;이상훈;조재창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52-357
    • /
    • 2008
  • 난배양성 세균의 배양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된 배지 첨가물들이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빈영양 배지들을 대상으로 배양효율을 비교평가하고 최적의 배양조건을 모색하였으며, 평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토양시료로부터 순수 분리된 난배양성 세균들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배지 첨가물로는 토양의 화학적 조성을 반영하기 위한 토양추출액(soil extract), 부식질산의 유사체(humic acid analogue)인 anthraquinone disulfonate, 정족수인식 신호물질(quorum-signaling compounds)인 acyl homoserine lactones, 과산화물(exogenous peroxide)로부터 세균을 보호하기 위한 catalase가 사용되었다. $CO_2$ 과분압(5%, v/v) 조건에서 60일간 배양하였을 때, catalase가 첨가된 배지가 가장 높은 세균집락수(CFU)를 보였다. 이 배지로부터 147개의 균주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여 순수분리하고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이용한 계통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순수분리된 균주의 약30%가 이전에 배양 또는 발견된 적이 없는 새로운 종(species)에 속하며, 이 중 약 25%는 새로운 과(family)에 속하는 세균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난배양성 토양세균으로 알려진 phylum Acidobacteria에 속하는 세균들이 성공적으로 배양되었다는 결과를 고려하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배지 및 배양조건은 난배양성 토양세균의 배양은 물론 신 분류군의 발굴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