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hratoxin A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3초

전통 대두발효식품 중에 존재하는 Ochratoxin A 생성균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Ochratoxin A Producing Fungi in Traditionally Fermented Korean Soybean Foodstuffs)

  • 강성철;신현길;김종배;김창한;이상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72-577
    • /
    • 1991
  • 국내에서 재래적인 방법에 의하여, 생산 시판되고 있는 전통 발효식품인 메주(12종), 된장(28종) 및 간장(28종)을 수거하여 이들로부터 OA를 생성하는 fungi를 분리 및 동정하였고, 동정된 fungi 중 OA를 가장 많이 생성하는 4 isolates을 선택하여 이들의 생육과 OA 생성 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시료에서 불리해낸 222 fungi 중 OA를 생성하는 것은 39 isolates로, 곰팡이의 OA 생성률이 17.7%(39/222)이며, 이들 중 가장 많은 OA를 생성하는 4 Fungi는 Penicillium spp., Phialotubus microsporus, Eupenicillium lapidosum 및 Paecilomyces variotti이었다. 이들 균주는 $a_{w}$ 0.99에서 가장 잘 자랐고 $a_{w}$ 0.85에서 OA의 생성이 중지되었다. 또한 $30^{\circ}C$에서 억제되었다. Toxin 생성 최적 pH는 Paecilomyces variotti을 제외하고는 6.5이었으며 pH에 의해서 toxin 생성은 $a_{w}$와 달리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 PDF

분리세균에 의한 진균독소 ochratoxin A의 제거 (Removal of mycotoxin ochratoxin A by isolated bacteria)

  • 최호영;송홍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3-38
    • /
    • 2019
  • 진균독소의 한 종류인 ochratoxin A (OTA)는 저장 곡물에 흔한 오염물질로 주로 Aspergillus에 의해 생성되어 인간과 가축의 건강을 위협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분리 세균Bacillus subtilis AF13과 Streptomyces shenzhenensis YR226의 OTA 제거능을 조사하는 것이다. NB 배지에서 AF13과 YR226은 $100{\mu}g/L$ OTA를 24시간 동안 각각 94.23과 97.73% 제거하였다. 두 균주 배양액의 원심분리 후 분리된 세척 세포와 무세포 상등액의 OTA 제거능을 측정하였는데 두 균주의 상등액 모두 $100{\mu}g/L$ OTA를 수 초 내에 90% 이상 제거하였으며, YR226의 세척 세포도 OTA를 24시간에 98.88% 제거하였다. 배양 상등액의 고압멸균, proteinase K와 chymotrypsin 처리 시 그 OTA 제거능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이는 두 균주들에 의해 분비된 열-안정성을 가진 비-단백질성 물질이 OTA 제거에 관련된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 결과는 AF13과 YR226 균주가 OTA로 오염된 곡물과 사료에서 OTA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농업과 사료 산업에서 경제적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우스에서 Ochratoxin A로 유발된 산화적 독성에 대한 항산화 비타민의 완화작용 (Modulation Effects of Antioxidant Vitamins on Ochratoxin A-induced Oxidative Toxicity in Mice)

  • 박정현;강성조;강진순;류재천;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831-837
    • /
    • 1999
  • 곰팡이 독소인 ochratoxin A (OA)는 동물과 사람에게 간 및 신장의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산화적 손상과 관련이 있는 OA-유발 지질과산화에 대한 항산화 비타민의 완화작용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수컷 ICR 마우스에 비타민 C (10 mg/kg)와 비타민 E (63.8 mg/kg)를 복강 투여하고, 한 시간 후에 0.1M $NaHCO_3$에 녹인 OA를 4 mg/kg/day의 용량이 되게 복강 투여하였다. 4일간 반복투여 한 후 간과 신장의 microsome 내의 superoxide dismutase (SOD) 및 catalase 활성과 malondialdehyde (MDA) 생성을 측정하였다. 아울러 comet assay에 의해 세포의 손상과 항산화 비타민의 완화 작용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들은 간과 신장에서 모두 i) OA투여에 의해 SOD, catalase 활성 및 MDA 수치가 유의성(p<0.05) 있게 증가하였고, ii)항산화 비타민 혼합 투여에 의해 OA에 의한 SOD, catalase 활성 및 MDA 형성이 유의성 있게 저하되었으며. iii) OA-유발 지질과산화와 관련이 있는 혈구세포의 손상도 항산화 비타민에 의해 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항산화 비타민이 OA중독에 의한 간과 신장의 손상의 예방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곡류 등 다소비 식품 중 곰팡이독소 안전성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Mycotoxins in Grains and Commonly Consumed Foods)

  • 김재관;김영숙;이창희;서미영;장미경;구은정;박광희;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70-476
    • /
    • 2017
  • 시중 유통 중인 곡류, 콩류, 견과류, 종실류 등 134건에 대하여 8종의 곰팡이독소를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분석하였다. 전체 시료 중 22건에서 fumonisin $B_1$, $B_2$, zearalenone, ochratoxin A 등 4종이 검출되어 16.4%가 곰팡이독소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성이 강한 aflatoxin $B_1$, $B_2$, $G_1$, $G_2$는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곰팡이독소 중 fumonisin ($B_1+B_2$)은 $0.48{\sim}560.2{\mu}g/kg$, zearalenone은 $0.22{\sim}28.6{\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평균 검출량은 fumonisin이 곡류 $49.3{\mu}g/kg$, 유지종실류 $10.1{\mu}g/kg$, zearalenone이 곡류 $1.9{\mu}g/kg$, 콩류 $1.5{\mu}g/kg$이었으며, ochratoxin A는 곡류에서 $0.08{\mu}g/kg$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기장에서 검출된 ochratoxin A는 $4.8{\mu}g/kg$으로 기준치인 $5.0{\mu}g/kg$에 근접하여 검출되었는데 생산년도가 2016년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나머지 품목은 2015년에 생산되었는데 특히 곡류 중 율무와 수수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곰팡이독소가 검출됐으며 땅콩 및 견과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곰팡이독소가 검출된 품목의 검출빈도를 살펴보면 율무 66.7%, 수수 87.5%, 조 20%, 기장 20%로 곡류 중 약 27%가 독소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고, 콩류는 팥에서 60%가 검출되어 콩류 전체로는 12.5%가 오염됐으며 유지종실류는 깨에서 33.3%가 검출되어 유지종실류 전체로는 11.8%가 독소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곰팡이독소 중 fumonisin과 zearalenone이 동시에 검출된 품목은 율무 2건, 수수 3건이었으며 fumonisin이 검출된 경우 대부분의 시료에서 fumonisin $B_1$, $B_2$ 가 동시에 검출되었으나 율무, 조, 참깨 각 1건에서 fumonisin $B_1$만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산출한 1인 1일 노출량은 곡류의 경우 fumonisin $1.4{\times}10^{-2}{\mu}g/kgb\;.w./day$, zearalenone $5.6{\times}10^{-4}{\mu}g/kg\;b.w./day$, ochratoxin A $2.2{\times}10^{-5}ng/kg\;b.w./day$이었으며 콩류에서는 zearalenone $5.4{\times}10^{-5}{\mu}g/kg\;b.w./day$, 종실류는 $7.4{\times}10^{-5}{\mu}g/kg\;b.w./day$으로 이를 바탕으로 WHO/JECFA에서 제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PMTDI 대비 인체 노출량을 산출한 결과 fumonisin은 곡류 0.72% 종실류 0.004% zearalenone 곡류 0.11%, 콩류 0.01%에 해당하는 양이었으며 ochratoxin A는 PTWI 대비 0.14%, EC의 TDI 대비 0.45%로 검출된 곰팡이독소가 인체에 대한 유해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 곰팡이독소는 기준치 이내의 아주 적은 양 검출되었지만 기후 온난화로 인해 독성이 강한 곰팡이독소가 생성되기 쉬운 환경으로 변해가고 있어 농산물의 생산, 저장, 포장 과정에 이르기까지 보다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져 곰팡이독소로 인한 안전성 논란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견과종실류 및 그 가공품 중 곰팡이독소 오염도 조사 연구 (A Study on Mycotoxin Contamination in Nuts and Seeds and Their Processed Foods)

  • 성진희;김기철;신상운;김지은;곽신혜;백은진;이은빈;김혜진;이원주;이명진;박용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16-323
    • /
    • 2021
  • 본 연구는 견과종실류 및 그 가공품을 대상으로 LC/MS/MS를 이용하여 aflatoxin (B1, B2, G1, G2), ochratoxin A, fumonisin (B1, B2), zearalenone을 동시 분석하여 오염 실태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106건 중 37건(35%)에서 곰팡이독소가 검출되었으며, 2항목 이상의 곰팡이독소가 동시에 검출된 경우는 8.5%로 조사되었다. Aflatoxin, ochratoxin A, fumonisin, zearalenone은 각각 0.08-1.45 ㎍/kg, 17.29 ㎍/kg, 1.16-14.89 ㎍/kg, 0.12-12.69 ㎍/kg의 농도범위로 검출되었다. 검출 빈도로 보면 zearalenone (23%), aflatoxin (13%), fumonisin (8%), ochratoxin A (1%) 순으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원물 형태인 견과류와 유지종실류는 각각 35%, 33%의 검출율을 나타내었고 이를 가공한 견과류가공품과 유지종실류가공품은 각각 44%, 46%의 검출율을 나타내어 가공 식품에서의 곰팡이독소 검출율이 10% 이상 높게 나타났다. 곰팡이독소는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로서 가공이나 조리 과정 중에도 그대로 남아있어 식품 원료에서의 곰팡이독소 관리가 더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ne-Step Simultaneous Immunochromatographic Strip Test for Multianalysis of Ochratoxin A and Zearalenone

  • Shim, Won-Bo;Dzantiev, Boris B.;Eremin, Sergei A.;Chung, Duck-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83-92
    • /
    • 2009
  • Individual immunochromatographic assays (ICG) for ochratoxin A (OTA) and zearalenone (ZEA) were optimized and used in the development of a one-step simultaneous immunochromatographic assay (OS-ICG) for the rapid multianalysis of two mycotoxins in corn samples. The nitrocellulose membrane of the OS-ICG was treated with OTA-bovine serum albumin (BSA), ZEA-ovalbumin (OVA), and anti-mouse IgG in the OTA test, ZEA test, and control zones, respectively. Monoclonal antibody-gold conjugates (OTA3 MAb-gold and ZEA2C5 MAb-gold) were sprayed onto the conjugate pad. The visual detection limits were 2.5 and 5 ng/ml for OTA and ZEA, respectively, and the results were obtained within 15 min after starting the analysis. An efficient, simple, and rapid extraction method using 30% MeOH/PBS was established and validated by analyzing the corn samples spiked with OTA/ZEA mixtures (0/0, 5/10, 10/20, and $20/30\;{\mu}g/kg$). The cut-off values of the OS-ICG for the spiked corn were 5 and $10\;{\mu}g/kg$ for OTA and ZEA, respectively. Natural corn samples were analyzed by OS-ICG, direct 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DC-ELISA), and HPLC. Results of the OS-ICG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by DC-ELISA and HPLC. The developed OS-ICG offers a rapid, easy-to-use, and portable analytical system and can be used as a convenient qualitative tool for the on-sit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OTA and ZEA in cereals, food, and agricultural products in one analytical cycle.

INHIBITION OF NEURITE OUTGROWTH AND TRANSCRIPTION FACTOR ACTIVATION BY OCHRATOXIN A IN CULTURED PC-12 CELLS

  • Hong, Jin-Tae;Oh, Jae-Ho;Jung, Kyoung-Mi;Lee, Eun-Hee;Park, Ki-Sook;Song, Chi-Won;Jung, Hai-Kwan;Lee, Myung-Koo;Yang, Ki-Hwa;Chung, Soo-Youn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1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Signal transduction in Toxicology
    • /
    • pp.168-168
    • /
    • 2001
  • The mycotoxin, ochratoxin A (OTA) has been known to induce microcephaly in animals and in vitro whole embryo. Cytotoxic effect and inhibition of cell differentiation were proposed as underlying mechanisms responsible for OTA-induced microcephaly.(omitted)

  • PDF

LC-MS/MS를 이용한 종자류 생약의 곰팡이독소 동시분석 및 위해도 평가 (Simultaneous Analysis of Mycotoxins and Risk Assessment in Seeds using LC-MS/MS)

  • 최은정;박영애;최수정;정삼주;박윤선;황인숙;유인실;신기영
    • 생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70-277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mycotoxins, aflatoxin B1, B2, G1, G2, fumonisin B1, B2, ochratoxin A and zearalenone, using LC-MS/MS and conducted risk assessment on 54 samples of seeds distributed in SeoulYangnyeongsi and the management status of extramural herbal dispensary facility. The matched calibration showed a good linearity as observed in 6 concentration levels(r2>0.999) as a result of method validation applied with Arecae semen. Limits of detection(LOD) and quantification(LOQ) were in the range of 0.02-0.11 ㎍/kg and 0.08-0.34 ㎍/kg, respectively. Recoveries also estimated, ranging from 65.1-99.7% with relative standard deviation(RSD) 0.5-6.3%. As a result of the method on 54 samples, mycotoxins were detected in 16 samples. Among them, two Thujae semen showed a degree of concentration that exceeded the aflatoxin specification. In the risk assessment, the human exposure safety standard values were calculated as ADI(Acceptable Daily Intake) for aflatoxin B1, fumonisin and zearalenone. Ochratoxin A was calculated as PTWI(Provisional Tolerable Weekly Intake). The MOE(Margine of Exposure) of aflatoxin B1 was in the range of 40.36-3536.88. And no items exceeded 100% in %TDI(Tolerable Daily Intake) and %TWI(Tolerable Weekly Intake) of fumonisin, zearalenone and ochratoxin A.

Isolation,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Swine Gut Microbiota with Ochratoxin A Biodegradation Ability

  • Upadhaya, Santi Devi;Song, Jae-Yong;Park, Min-Ah;Seo, Ja-Kyeom;Yang, Liu;Lee, Chan-Ho;Cho, Kyung-J.;Ha, Jong-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호
    • /
    • pp.114-121
    • /
    • 2012
  • The potential for ochratoxin A (OTA) degradation by swine intestinal microbiota was assessed in the current study. Intestinal content that was collected aseptically from swine was spiked with 100 ppb OTA and incubated for 6 and 12 h at $39^{\circ}C$. An OTA assay was conducted using the incubated samples, and it was found that 20% of the OTA toxin was detoxified, indicating the presence of microbes capable of OTA degradation. Twenty-eight bacterial species were isolated anaerobically in M 98-5 media and 45 bacterial species were isolated using nutrient broth aerobically. Screening results showed that one anaerobic bacterial isolate, named MM11, detoxified more than 75% of OTA in liquid media. Furthermore, 1.0 ppm OTA was degraded completely after 24 h incubation on a solid 'corn' substrate. The bacterium was identified by 16S rDNA sequencing as having 97% sequence similarity with Eubacterium biforme. The isolation of an OTA-degrading bacterium from the swine natural flora is of great importance for OTA biodegradation and may be a valuable potential source for OTA-degradation enzymes in industrial applications.

현미에서의 오크라톡신 A의 검색을 위한 형광편광면역분석법의 응용 (Application of Fluorescence Polarization Immunoassay for the Screening of Ochratoxin A in Unpolished Rice)

  • 박정현;정덕화;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06-1013
    • /
    • 2006
  • 식품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재, 생물학적 화학적 위해요소로 분류되고 있고, 현재 많은 나라에서 규제치를 설정하고 있는 곰팡이 독소인 ochratoxin A(OTA)에 대한 정량적 측정이 가능한 고속검색법을 개발 하고자 단클론성 항체를 이용하여, 측정시 분리과정이 필요 없는 형광편광면역분석법(FPIA)을 개발하고 최적화 시켰다. 동일구조를 가지는 형광물질 표식자인 OTA-EDF를 합성하여 OTA에 대한 특이항체와 경쟁반응을 시켜 나타나는 형광-편광도(mP)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는 면역분석법의 특이성과 민감성을 충분히 만족하였다. OTA의 검출범위는 0.5-200 ng/ml였고, 검출한계는 0.3 ng/ml였다. 개발된 분석법은 다른 곰팡이 독소들과의 교차반응은 없었고 높은 특이성과 재현성 및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HPLC 방법에 의한 회수율은 88-84%로 다소낮게, FPlA법의 회수율은 90-110%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16점의 현미시료를 분석하였을 때, 2점이 상관관계가 높게 12-20 ppb 정도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4점은 FPIA 및 HPLC 모두에서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개발된 FPIA는 복잡한 전처리 방법이 필요 없는 신속한 검색이 가능하므로, 식품 및 환경에서의 OTA 잔류 검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