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al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1초

기술문에서 우리말 숫자 쓰기 (Writing Korean Numerals in Technical Writing)

  • 권성규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30-39
    • /
    • 2011
  • 아라비아 숫자를 읽을 때 글과 말이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아라비아 숫자를 읽는 기준이 확실치 않아, 숫자가 놓인 위치, 단위명사, 수의 크기, 구성요소들 간의 결합관계, 문맥 등에 따라 숫자를 다양하게 읽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더 읽기 좋은 기술문을 쓰는 관점에서, 수사, 분류사 및 수량 단위명사와 관련한 연구 자료들을 조사하여, 아라비아 숫자 자리에 우리말 숫자를 적어야 하는 여덟 가지 규칙을 정리하였다.

Abacus Numerals for Rapid and Sufficient Mathematics Learning for Enhancing Creativity

  • Hayakawa Yoshinor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3호
    • /
    • pp.243-256
    • /
    • 2005
  • Abacus numerals were developed using the concept of the binary system to form decimal numerals. This would allow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to be performed based solely on the knowledge of the 14 forms of the numerals and three simple rules. These numerals were taught to 260 elementary school pupils of 3rd and 4th grade. After 90 minutes of instruction, they, nearly all, were able to understand principles to add, and to subtract, and partly to multiply using Abacus Numerals. Protected Abacus Numerals are proposed against forgery. An International Numeration System is proposed based on the form of Abacus Numerals to facilitat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 new type of abacus is proposed.

  • PDF

인쇄체 숫자와 필기체 숫자의 효율적인 통합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A Efficient Total Recognition System of Hand written and Printed Numerals)

  • 엄상수;김종석;홍연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609-615
    • /
    • 1998
  • In this paper, we propose efficient total recognition system of handwritten and printed numerals for enhancing the classification time. The proposed system consist two step neuroclassifier: Printed numerals classifier and Handwritten numerals classifier.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 classifier was tested on 5000 handwritten numerals database of NIST and 100 printed numerals database. In case of handwritten classifier, the overall classification times were 11 second. And in case of proposed system, the overall classification times were reduced by...

  • PDF

인쇄체 및 필기체 숫자의 효율적인 구분 인식 알고리즘 (An Efficient Classifying Recognition Algorithm of Printed and handwritten numerals)

  • 홍연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17-52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인쇄체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우편물의 우편번호 분류기에 적용하기 위해 인쇄체 및 필기체를 구분하여 인쇄체는 단일 특징과 단일 신경망으로 저차 연산함으로써 빠르게 분류하고 피기체는 복합특징과 클러스터 신경망을 통한 고차연산으로 정확한 분류를 할 수 있는 속도 면에서 효율적인 신경망 분류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분류기는 인쇄체와 필기체를 구분하여 인쇄체를 분류하는 인쇄체 분류기와 여기서 기각된 필기체 숫자를 인식하는 필기체 분류기로 구성된다. 인쇄체 분류기는 망 특징 벡터를 입력의 단일 신경망 인식기로 빠르게 인쇄체 및 정확히 필기된 필기체를 분류하며그 외의 입력패턴에 대해서는 기각한다. 그리고 필기체 분류기는 4방향 특징 및 앞단에서 추출된 망 특징의 복합특징 벡터 입력으로 [11]에서 제안된 클러스터 신경망을 이용하여 정확한 분류를 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숫자 인식 데이터 베이스로 많이 사용되는 NIST의 필기체 숫자 데이터 베이스 및 자체적으로 구성한 인쇄체 숫자 데이터에 대해 실험하였다. 임의의 NIST 필기체 숫자 데이터 500자와 인쇄체 숫자 데이터 500자에 대해 전처리와 특징추출을 제외한 분류시간측정 결과 제안된 방법을 필기체 분류기에 사용할 경우 인쇄체와 필기체의 비율에 따라 49.1%~65.5% 향상된 속도로 분류함으로써 제안된 방법을 필기체 분류기에 적용함으로써 속도 면에서 효율적임을 나타냈다.

  • PDF

신경망을 이용한 필기체 숫자의 탐지 및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otting and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s Using Neural Networks)

  • 임길택;김호연;남윤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33-36
    • /
    • 2000
  • In this paper, we describe a study on the spotting and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s using neural networks. To recognize a handwritten numeral, two kinds of neural network classifiers ate developed. One makes use of the positive samples only, while the other does both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samples. We propose two numeral spotters which discriminate between numerals and non-numerals. Those are also implemented by using neural networks. From the various experimental results, we found that our methods can be successfully applied to spot and recognize handwritten numerals.

  • PDF

필기체 숫자의 인식과 비숫자의 기각을 위한 MLP 신경망의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MLP Neural Networks for the Recognition of Handwritten Numerals and the Rejection of Non-Numerals)

  • 임길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607-1615
    • /
    • 2005
  • 본 논문은 MLP (multilayer perceptrons) 신경망을 이용하여 필기체 妾자와 비숫자를 인식하거나 기각할 경우의 MLP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MLP는 인식률 및 속도, 메모리 요구량 등에 있어서 필기체 숫자인식에 매우 효율적인 인식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의 MLP는 숫자 입력에 대해서의 인식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비숫자 입력 경우의 인식률, 기각률 및 동작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숫자와 비숫자가 혼재하는 경우의 MLP 인식기의 구현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MLP 인식기는 세 가지 방법으로 구현되며, 세 가지의 오류유형을 정의하여 각 인식 방법의 인식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식 실험은 66,705자의 필기체 숫자와 비숫자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세가지 오류유형의 측면에서 숫자와 비숫자에 대한 가장 적절한 인식 방법이 논의된다.

완전궤환 신경망을 이용한 무제약 서체 숫자 인식 (Recognition of Unconstrained Handwritten Numerals using Fully-connected RNN)

  • 원상철;배수정;최한고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1999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07-1010
    • /
    • 1999
  • This paper describes the recognition of totally unconstrained handwritten numerals using neural networks. Neural networks with multiple output nodes have been successfully used to classify complex handwritten numerals. The recognition system consists of the preprocessing stage to extract features using Kirsch mask and the classification stage to recognize the numerals using the fully-connected recurrent neural networks (RNN). Simulation results with the numeral database of Concordia university, Montreal, Canada, are presented. The recognition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outperforms other recognition systems reported on the same database.

  • PDF

필기체 숫자와 비숫자의 인식을 위한 MLP 인식기의 구현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Methods of the MLP Recognizer for Handwritten Numerals and Non-Numerals)

  • 임길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119-1122
    • /
    • 2005
  • 본 논문은 MLP (multilayered perceptrons) 를 이용하여 필기체 숫자와 비숫자를 인식할 경우의 MLP 인식기의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MLP는 인식률 및 속도, 메모리 요구량 등에 있어서 필기체 숫자인식에 매우 효율적인 인식기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의 MLP는 숫자 입력에 대해서만 인식을 하고 있으며 비숫자 입력에 대해서는 인식률, 기각률 및 동작 특성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숫자와 비숫자가 혼재하는 경우의 MLP 인식기의 구현방법에 대해서 논한다. MLP 인식기는 세 가지 방법으로 구현되며, 세 가지의 오류 유형을 정의하여 각 인식 방법의 인식 특성을 분석하였다. 인식 실험은 약 63,000여자의 필기체 숫자와 비숫자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세가지 오류 유형의 측면에서 숫자와 비숫자에 대한 가장 적절한 인식 방법이 논의된다.

  • PDF

두자 접촉 숫자열의 분할 자유 인식 (Segmentation-free Recognition of Touching Numeral Pairs)

  • 최순만;오일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5호
    • /
    • pp.563-574
    • /
    • 2000
  • 숫자열 인식은 문서 처리 자동화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 방법들은 숫자열을 낱자 단위로 분할하는 단계와 분할된 숫자들을 인식하는 두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는 접촉 유형의 수많은 변형 때문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본 논문은 두자 접촉 숫자열의 분할-자유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 접근 방법에서는 두자 접촉 숫자열을 하나의 패턴으로 간주하여, 총 100개(‘00’, ‘01’, ‘02’, ..., ‘98’, ‘99’) 부류를 대상으로 인식한다. NIST 데이타베이스의 숫자열 필드에서 두자 접촉한 숫자열을 추출하여 실험하였다. 부류수가 방대한 경우 나타나는 기존 신경망 인식기의 한계 때문에, 모듈러 신경망을 사용하였으며 인식 실험을 통하여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숫자 또는 도형을 사용하여 제시된 비정형적인 문제에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udents' Responses to Non-routine Problems Using Numerals or Figures)

  • 황선욱;심상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1호
    • /
    • pp.39-5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students' responses to non-routine problems which are presented by using solely numerals or symbolic figures. Such figures have no mathematical meaning but just symbolical meaning. Most students understand geometric figures more concrete objects than numerals because geometric figures such as circles and squares can be visualized by the manipulatives in real life. And since students need not consider (unvisible) any operational structure of numerals when they deal with (visible) figures, problems proposed using figures are considered relatively easier to them than those proposed using numerals. Under this assumption, we analyze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es of numeral problems and figural problems, and then find out when students' difficulties arise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how they response when they feel difficulties. From this experiment, we will suggest several comments which would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oth numerical and figur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