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oral cavity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5초

후두백반증으로 발현된 후두 칸디다증 1예 (A Case of Laryngeal Candidiasis Presented as Laryngeal Leukoplakia)

  • 최기용;김영환;명나혜;이상준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8-51
    • /
    • 2017
  • Candida exists in the oral cavity as normal flora, which is cultured in 7% of the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andidiasis is usually related to the systemic or local immunosuppressed status such as diabetes, long-term antibiotics, steroid, radiation therapy or chemotherapy. However, isolated laryngeal candidiasis in immunocompetent patients is a rare entity with fewer than 40 cases reported in the world. Symptoms of laryngeal candidiasis are variable such as hoarseness, dysphagia, or odynophagia according to its extent, but it has clinical importance because of its resemblance with laryngeal premalignant or malignant lesions. Diagnosis is made by biopsy under direct laryngoscopy with special staining to identify the hyphae. In this article, we report a case of laryngeal candidiasis presented as leukoplakia localized on vocal fold with literature reviews.

  • PDF

Successful Treatment of a Case with Rhino-Orbital-Cerebral Mucormycosis by the Combination of Neurosurgical Intervention and the Sequential Use of Amphotericin Band Posaconazole

  • Yoon, Young-Kyung;Kim, Min-Ja;Chung, Yang-Gu;Shin, Il-Young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1호
    • /
    • pp.74-77
    • /
    • 2010
  • Rhino-orbital-cerebral (ROC) mucormycosis is an uncommon, acute and aggressive fungal infection. It remains a challenging problem to clinicians despite aggressive debridement surgery and antifungal therapy. The authors describe a case of ROC mucormycosis with pericranial abscess occurring in a female patient with uncontrolled diabetes mellitus. The infection initially developed in the right-sided nasal sinus and later progressed through the paranasal sinuses with the invasion of the peri-orbital and frontotemporal region, due to the delayed diagnosis and treatment. Numerous non-septate hyphae of the zygomycetes were identified by a punch biopsy from the nasal cavity and by an open biopsy of the involved dura. The patient was treated successfully with extensive debridement of her necrotic skull and surrounding tissues, drainage of her pericranial abscess and antifungal therapy, including intravenous amphotericin B for 61 days and oral posaconazole for the following 26 days. She returned to a normal life and has had no recurrence since the end of her treatment 15 months ago.

양서류 피부 상처회복과정 중 각질화세포 cytokeratin의 분포 (The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of the Cytokeratin in Keratinocytes during Cutaneous Wound Healing on the Amphibian(Bombina orientalis))

  • 임도선;정순정;문명진;정문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4호
    • /
    • pp.209-217
    • /
    • 2007
  • 상처회복은 염증, 재상피화 그리고 기질의 재형성등이 관여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이중 재상피화에 관여하는 각질화세포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기 위하여 무당개구리 피부 상처유도 후 투과전자현미경과 cytokeratin에 대한 조직면역화학법을 이용하였다. 정상조직의 cytokeratin발현은 기저층의 세포들과 선상피에서 확인되었다. 상처 유도후 3시간 조직에서, 기저세포층에서 강한 반응이 관찰되었고, 1일과 2일 사이에서는 재생되는 각질화세포에서 강한 면역반응이 확인되었다. 상처반응 중기인 7일부터 10일 사이에서도 재생된 세포의 기저층세포에서 강한 반응이 일어났다. 19일경과의 조직에서는 기저층과 유극층의 세포들에서 cytokeratin의 발현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재상피화에 관여하는 각질화세포는 기저층의 세포로부터 시작하여 상처부위로 이동하여 과립층과 유극층으로 분화됨으로서 재상피가 진행되었다.

파노라마방사선사진에 있어서 이차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ONDARY IMAGES IN PANORAMIC RADIOGRAPH)

  • 조대희;김한평
    • 치과방사선
    • /
    • 제14권1호
    • /
    • pp.81-87
    • /
    • 198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secondary images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images in panoramic radiograph. Using the Moritta's Panex-EC panoramic x-ray machine and the human dry skull, the author analysed 17 radiographs which were selected from 65 radiographs of the dry skull that attached the radiopaque materials, and the attached regions of the radiopaque materials were the normal anatomical structures which were important and selected as a regions for the evaluation of the secondary images effective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cervical vertebrae showed three images. The midline image was the most distorted and less clear, and bilateral images were slightly superimposed over the posterior border of the mandibular ramus. 2. In mandible, the secondary image of the posterior border of the ramus was superimposed on the opposite ramus region, and this image was elongated from the anterior border of the ramus to the lateral side of the posterior border of the ramus. The secondary image of the condyle was observed on the upper area of the coronoid process, the sigmoid notch and the condyle in opposite side. 3. In maxilla, the posterior region of the hard palate showed the secondary image on the lower part of the nasal cavity and the medial wall of the maxillary sinus. 4. The primary images of the occipital condyle and the mastoid process appeared on the same region, and only the secondary image of the occipital condyle was observed symmetrically on the opposite side with similar shape to the primary one. 5. In the cranial base,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midsagittal portions like a inferior border of the frontal sinus, sella turcica, inferior borderr of the sphenoid sinus and inferior border of the posterior part of the occipital bone showed the simillar shape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images symmetrically. 6. The petrous portion of the temporal bone showed the secondary image on the lateral side of the sella-turcica, and the secondary images of the posterior border of lesser wing, superior border of greater wing of the sphenoid bone and posterior border were observed on the anterior-superior and inferior region of the sella-turcica.

  • PDF

경부안면형 방선균증에서 분리된 Prevotella intermedia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Genome sequence of Prevotella intermedia strain originally isolated from cervicofacial actinomycosis)

  • 문지회;장은영;양석빈;신승윤;류재인;이진용;이재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8-60
    • /
    • 2019
  • 혐기성 그람 음성 세균인 Prevotella intermedia는 사람의 구강 내 정상세균총의 하나이고 다양한 구강 및 전신 질환과 관련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경부안면형 방선균증으로부터 분리된 P. intermedia ATCC 15032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보고한다. 이 균주의 유전체는 2,848,426 bp의 크기로 GC 함량은 43.45%이다. 이 유전체 서열 정보는 P. intermedia 종 내에서의 균주 간 유전체 다양성 및 표현형 차이의 유전적 기초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Formocresol에 의한 치조골 괴사의 치험례 (NECROSIS OF ALVEOLAR BONE BY FORMOCRESOL : CASE REPORT)

  • 박철홍;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57-661
    • /
    • 2005
  • 유치의 치수절단술에 사용되는 약제로는 formocresol, ferric sulfate, 수산화칼슘 등이 있다. 그 중에서 formocresol은 치수조직의 고정능력과 높은 임상적 성공을 보임으로써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자체독성이 매우 강하여 영구 계승치 치배의 변위나 결손, 법랑질 형성부전, 전신 흡수로 인한 돌연변이 가능성과 암유발 가능성 역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formocresol의 근관내 적용시 불완전한 임시충전에 의한 미세누출로 주위 치은과 치조골의 괴사를 야기한 보고가 있으며 과잉의 formocresol을 적용하였을 경우에도 치조골의 괴사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증례는 개인치과에서 formocresol을 이용한 치수치료를 받은 후 지속되는 동통으로 인해 상악 좌측 제 2유구치를 발거하였으나, 증상이 개선되지 않아 본원에 의뢰되었다. 환아는 8세 남아로 심한 구취 및 계승 영구치 치관 주위로 환형의 치조골 괴사를 보여 부골절제술을 시행하고 1년 7개월간 관찰을 하였을 때 정상적인 치근 성장은 이루어졌으나 결손된 치조골 및 부착치은의 완전한 조직재생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Formocresol에 의한 치주조직에 대한 부작용은 비가역적이므로 formocresol의 사용에 있어 적응증 여부를 잘 판단해야 하며, 철저한 임시 가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PDF

구강 내 사슬알균 종들에 대한 제3인산나트륨과 구연산의 탈부착 효과 (The Anti-Sticking Effect of Mixture of Trisodium Phosphate and Citric Acid on Oral Streptococcus species)

  • 정충현;조형훈;최광주;강승용;양남웅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89-292
    • /
    • 2008
  • Irisodium phosphate 12 hydrate와 citric acid monohydrate의 혼합액은 유리구슬(${\phi}7mm$)에 부착된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와 Streptococcus mitis (KCTC 3556) 및 Streptococcus salivarius (KCTC 3960)에 대하여 강한 항 부각효과를 보였다. 각 사슬알균 종들은 각각 3개의 유리구슬들이 들어있는 BHI 액체배지에서 18시간 흔들 배양되었다. 배양 후, 3개의 짧은 핀들이 부착된 핀셋을 사용하여 유리구슬들을 꺼낸 다음, 유리구슬에 맺힌 균액을 제거하기 위하여 생리식염수로 가볍게 세척하였다. 각 균주당 3개의 유리구슬들을 시약들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고 vortex mixer로 10분씩 와동(渦動)하였다. 칫솔질과 유사한 효과를 얻기 위해 각 시험관들에 물에 젖지 않는 기름종이 조각들을 40 mg씩 넣었다. 구강 내 사슬알균 종이 아닌 Streptococcus agalactiae는 5분간 와동(渦動)하였다. 각 시험관에서 취한 샘플들을 10배 계단 희석하여 BBH 한천 배지와 혼합하고 배양한 다음, 집락수를 계수하였다. 사슬알균 종 당실험을 3번 반복하였고, 시약에 의해 탈부착된 균수를 평균하여 생리식염수대조군의 평균으로 나누어 그 배수를 탈부착 효과로 계산하였다. treptococcus mutans에 대하여 구연산-제3인산나트륨-식염수혼합액(이하 CTS, pH 6.0)의 탈부착 효과는 생리식염수 대조군에 비해서 평균 12.5배였으며, 제3인산나트륨-식염수 혼합액(이하 TS, pH 8.4)은 평균 7.5배였고, 구연산-식염수 혼합액(이하 CS, pH 4.6)은 6.0배였다. Streptococcus salivarius에 대해서 CTS는 7.2배, TS는 2.6배, CS는 2.8배였다. Streptococcus mitis에 대해서 CTS는 2.4배였고, TS는 3.4배였으나 CS는 0.3배로 탈부착 효과가 없었다. 구강 내 사슬알균 종이 아닌 Streptococcus agalactiae에 대해서 CTS는 0.7배, TS는 0.6배, CS는 0.6배로 3가지 시약에 대하여 탈부착 효과가 전혀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충치와 아급성 심내막염의 원인균인 구강 내 Streptococcus mutans, Streptococcus salivarius 및 Streptococcus mitis가 CTS 혼합물에 의해서 구강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응용하면 새로운 개념의 치약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충치의 예방 및 발치 후 아급성 심내막염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구강에 기생하는 Neoheterobothrium hirame의 형태 및 감염어의 병리조직 (Morphology of Neoheterobothrium hirame parasitic in the oral cavity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histopathology of diseased fish)

  • 이범석;김정호;김태호;정성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4
    • /
    • 2020
  • 실험실에서 순환여과시스템으로 5-6개월 사육하던 넙치 치어에서 아가미의 심한 빈혈을 나타내는 질병이 발생하였다. 현미경관찰에서 아가미에서는 유충이, 입천정에서는 성숙한 성충이 관찰되었다. 성충의 체장은 5.60-9.32 mm이며 방추형 몸의 길이는 3.83-6.32 mm, 부착기는 방추형 몸에서 부터 연결된 isthmus의 끝부분에 꽃자루 모양으로 존재하였고 부착기의 끝에는 8개의 파악기가 있었다. 충의 형태학적 관찰로부터 단생류에 속하는 Neoheterobothirum hirame로 동정하였다. 감염어의 적혈구용적는 평균 10.3±2.8%로 정상 넙치의 31.4±4.2%보다 현저히 낮았다. 병리조직학적으로 N. hirame에 감염 된 넙치는 아가미 새판과 새엽을 흐르는 혈관내의 적혈구가 감소하고 비장의 적수(red pulp) 영역이 감소되고 간세포는 위축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넙치에 심한 빈혈을 일으킨 원인은 N. hirame인 것을 밝혔다. 이 연구는 순환여과식 사육시스템에서는 사육수의 교환이 적으므로 소독장치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 병원체의 증식이 문제가 될 수 있는 예를 보이고 있다.

Effects of vasopressin administration in the oral cavity on cardiac function and hemodynamics in rats

  • Fukami, Hayato;Sunada, Katsuhis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1호
    • /
    • pp.11-18
    • /
    • 2022
  • Background: The vasoconstrictive effect of epinephrine in local anesthetics affects the heart, which leads to hesitation among dentists in injecting local anesthetics into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Due to its vasoconstrictive effect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sopressin administration on cardiac function in rats. Methods: Experiment 1 aimed to determine the vasopressin concentration that could affect cardiac function. An arterial catheter was inserted into the male Wistar rats. Next, 0.03, 0.3, and 3.0 U/mL arginine vasopressin (AVP) (0.03V, 0.3V, and 3.0V) was injected into the tongue, and the blood pressure was measured. The control group received normal saline only. In Experiment 2, following anesthesia infiltration, a pressure-volume catheter was placed in the left ventricle. Baseline values of end-systolic elastance, end-diastolic volume, end-systolic pressure, stroke work, stroke volume, and end-systolic elastance were recorded. Next, normal saline and 3.0V AVP were injected into the tongue to measure their effect on hemodynamic and cardiac function. Results: After 3.0V administration, systolic blood pressures at 10 and 15 mi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y increased at 10 min compared with those at baseline. The diastolic blood pressures at 5-15 mi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y increased at 5 and 10 min compared with those at baseline. The preload decreased at 5 and 10 min compared to that at baseline. However, the afterload increased from 5 to 15 mi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increased at 10 min compared with that at baseline. Stroke volume decreased at 10 and 15 mi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decreased from 5 to 15 min compared with that at baseline. Stroke work decreased from 5 to 15 mi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decreased from 5 to 15 min compared with that at baseline.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that 3.0 U/mL concentration of vasopressin resulted in increased blood pressure, decreased stroke volume and stoke work, decreased preload and increased afterload, without any effect on myocardial contractility.

구개열환자에서 비인두공간과 비인강폐쇄부전과의 연관성 (RELATIONSHIP BETWEEN NASOPHARYNGEAL SPACE AND VELOPHARYNGEAL INCOMPETENCE IN CLEFT PALATE)

  • 조준희;최병재;심현섭;손흥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17-523
    • /
    • 2000
  • 비인강폐쇄는 연구개, 인두측벽 그리고 인두후벽간의 움직임이 서로 조화되어 구강과 비강을 나누어주는 괄약근 기전으로서 연하, 호흡 및 발음 등의 생리적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경우를 비인강폐쇄부전이라하며 그 원인으로는 (1) 연구개의 길이 및 움직임이상, (2) 비인두강의 해부학적 공간문제, (3) 인두후벽과 측벽의 기능이상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구개열 환자의 측면두부방사선 사진을 통해 비인두강을 해부학적으로 분석하고 동시에 산출된 각 모음의 과비음 정도를 평가하여 비인강폐쇄부전과의 연관성을 비교해 본 것이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개 길이는 정상인에 비해 현저히 짧았다. 2. adequate ratio는 정상인에 비해 작게 나타났다. 3. adequate ratio가 감소함에 따라 모음 조음시 anatomic mVPI가 점차 증가하였다. 4. 각 모음 조음시 anatomic VPI는 과비음정도와 비례관계를 보였다. 5. 고모음(/u/, /i/)의 과비음정도가 저모음(/a/)에 비하여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구개열환자에서 측면두부방사선 사진은 비인강폐쇄부전의 진단 및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비인두강의 해부학적 구조는 산출되는 과비음정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