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lowering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2초

'세원' 왕포아 잔디(Poa pratensis L. 'Sewon')의 형태 및 생육특성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ewon Poa pratensis L.)

  • 심상렬;정대영;안병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0-18
    • /
    • 2005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morphological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oa pratensis L.(Kentucky bluegrass) 'Sewon' in native to Korea. Poa pratensis 'Sewon' was collected at the terrace land on the river in Guiman-ri, Cheongcheon-myeon, Goesan-gun, Chungcheongbuk-do on May 5, 1995. The collected Poa pratensis 'Sewon' was grown under non-mowing naturally growing conditi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a pratensis 'Sewon' are as follows. : The height of plant was 21.6cm but was increased to 33cm at the flowering time. The height of first node from the base was 5.0cm and the length and width of leaf were 9.6cm and 4.1cm, respectively. The length of inflorecences was 37.8cm and the length of a spike was 7.3cm. Based on thes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oa pratensis 'Sewon' was defined to dwarf~medium and coarse texture type Kennturky bluegrass. 1 to 9 scale of visual quality, visual color and visual density were measured. Poa pratensis 'Sewon' showed best turf qualities among native Kentucky bluegrasses. In spring and fall growing season, Poa pratensis 'Sewon' were measured to be excellent performances for turf qulities similar to foreign excellent quality cultivars such as Midnight, Nuglade and Brilliant Kentucky bluegrasses. But turf quality of Poa pratensis 'Sewon' decreased by plant disease according to temperature increase in summe compared to foreign excellent quality cultivars. So, Poa pratensis 'Sewon' should be improved of disease tolerent quality by incessant breeding work in order to compete foreign excellent quality cultivars.

홍화 수집자원의 작물학적 특성 및 교배 방법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Artificial-cross Method of Collecte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Germplasm)

  • 오명원;이정훈;정진태;한종원;이상훈;마경호;허목;장재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8-309
    • /
    • 2020
  • Background: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is a useful medicinal and oil crop in Korea. However, when safflower is cultivated, the flowering period overlaps with the rainy season, and seed maturation is poo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use basic research data to develop superior varieties using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crossing method. Methods and Results: A total of 34 safflower germplasms were sown and their agronomic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se investigations, the cultivar 'ui-san-hong-hwa' was selected as the mother plant, and 'Myanmar safflower' (Hsu Pan) was selected as the father plant. In addition, we developed a floret-protecting cap to cover florets after emasculation during the artificial crossing. When florets were protected by the cap, the seed setting rate increased in comparison to that in the non-covered florets. Conclusions: Agronomic characteristics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uitable varietie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on cap will be helpful in breeding without the floral organ drying. This study contributes an efficient breeding method to develop new safflower varieties.

미끌애꽃노린재(노린재목: 꽃노린재과)의 천적유지식물로서 국화의 효율성 분석 (Evaluation of Chrysanthemum as a Potential Banker Plant of Orius laevigatus (Fieber) (Heteroptera: Anthocoridae))

  • 신혜원;황활수;심재경;이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33-638
    • /
    • 2022
  • 천적유지식물은 재배지에 천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작물성 식물이다. 미끌애꽃노린재는 총채벌레 등 원예작물 해충의 주요 천적이지만, 재배지의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서 효율적인 천적유지식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끌애꽃노린재의 우수한 천적유지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밀식물 7종류(돌나물, 채송화 그리고 국화 5 품종)를 대상으로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율을 비교해 본 결과, 노란색 꽃을 가진 국화 품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총채벌레 방제를 위한 미끌애꽃노린재의 효과를 증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대목 종류에 따른 방울토마토 생장과 수량 증가 (Improving Growth and Yield in Cherry Tomato by Using Rootstocks)

  • 이혜원;이준구;홍규현;권덕호;조명철;황인덕;안율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96-205
    • /
    • 2021
  • 본 연구는 대목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방울토마토 수량 차이를 생장상의 변화와 광합성 효율을 통해 비교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접수 '노나리'와 대목 4종류('파워가드', 'T1', 'L1', 'B.blocking')을 사용하여 접목한 4개의 처리구와 '노나리'를 접목하지 않은 1개의 처리구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방울토마토 생육후기인 5월의 주 당 평균 총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대목 'B.blocking'을 사용한 처리구는 417.5g으로 가장 높은 수확량을 보였고 대목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가 354.2g으로 가장 낮은 수확량을 보였다. 정식 252일 후의 개화위치를 조사한 결과 대목 'B.blocking'을 사용한 처리구는 14cm 내지 17cm의 개화위치를 보인 반면 대목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는 10cm 내지 14cm의 개화위치를 보였다. 정식 266일 후 생장강도를 조사한 결과 대목 'T1', 'L1', 'B.blocking'을 사용한 처리구는 10mm대의 생장강도를 보인 반면 대목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의 생장강도는 8.43mm로 낮은 값을 보였다. 대목을 사용한 처리구는 생육후기까지 생장의 균형을 맞춰 높은 수확량을 보인 반면 대목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는 세력이 저하되어 수확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엽록소 형광변수는 대목을 사용한 처리구가 대목을 사용하지 않은 처리구보다 높았다. 이상으로 방울토마토 접목묘를 사용하는 것이 생육후기까지 생장의 균형을 유지하고 광합성 효율이 높아 수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참깨의 개화 등숙에 관한 연구 II. 참깨의 초형에 따른 착삭습성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II. Capsule-Setting Habit by Different Plant Types)

  • 강철환;이정일;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76-385
    • /
    • 1984
  • 참깨의 개화, 착삭습성을 조사하여 참깨 다수종품 종육성 및 재배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8개의 초형을 공시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몇가지 결론을 얻었다. 1. NMB(단경형, 1과성2실4방)형에서는 총37화중 평균 81%의 착삭률을 나타내었으며 NMQ(단경형 1과성4실8방)형에서는 66화중 평균 70%의 착삭률을 보였다. 2. 착삭부위별 착삭률은 NMB형에서는 착화하위부 94%, 중위부 89%, 상위부 63%의 착삭률을 나타낸데 대해서 NMQ형에서는 하위부 77%, 중위부 82%, 상위부에서 불과 50%의 착삭률만을 보여 차이가 컸다. 3. NTB(단경형, 3과성 2실4방)형에서는 109화중 84화에서 삭이 형성되어 평균 77%의 착삭률을 나타냈으며 NTQ(단경형, 3과성4실8방) 형에서는 75화중 53화에서 삭이 형성되어 70%의 착삭률을 보였다. 4. 착화부위별 착삭률은 NTB형에서 착화하위부 89%, 중위부 87 %, 상위부 44%의 착삭률의 보인데 대해서 NTQ형에서는 하위부 76%, 중위부 78% 상위부 45%의 착삭률을 보여 단경형 4실8방에서만은 착삭률에서 중위부 > 하위부 > 상위부의 특별한 습성을 보였다. 5. BMB (분지형 1과성2실4방)형에서는 110화중 83%의 높은 착삭률을 나타냈으며 BMQ(분지형 1과성 4실8방)형에서는 88화중 67%의 낮은 착삭률을 보였다. 6. BMB형의 주경에서는 88%, 분지에서는 80%의 양호한 착삭률을 보였으며 BMQ형에서는 주경 81%, 분지 53%로서 분지착삭률이 낮았다. 7. BTB (분지형 3과성 2실4방)형에서는 200화중 62%의 저조한 착삿률을 보였으나 화수와 착삭수는 전공시초형 중 가장 많았으며 BTQ형에서는 113화중 62%의 낮은 착삭률을 보였다. 8. BTB형의 주경착삭률은 70%, 분지착삭률은 58%를 나타냈으며, BTQ형의 주경착삭률은 66% 분지착삭률은 42%를 나타내어 착삭률이 모든 초형중에서 가장 낮았다. 9. 분지형에서는 주경착삭률 평균 73% 분지착삭률 평균 61%이며 주경에서는 하위부 85%, 중위부 72%, 상위부 57%인데 대해서 분지에서는 하위부가 74%, 상위부가 48%의 착삭률을 보였다. 10. 착삭수와 착삭률등 착삭습성을 좌우하는 것은 삭실의 형태(실방수)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1. 참깨의 다수성 품종육종 방향은 분지성에 3과성인 2실4방형 (BTB형) 초형특성을 구비한 계통을 선발하는데 있다.

  • PDF

GM벼에서 non-GM벼로 유전자 이동에 대한 개화기 차이의 영향 분석 (Influence of heading date difference on gene flow from GM to non-GM rices)

  • 오성덕;장안철;김보은;손수인;윤도원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7-356
    • /
    • 2018
  • GM작물은 세계적으로 재배면적이 지속적인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GM작물의 잠재적인 환경위해성에 대한 우려도 증가되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GM작물의 상업적 재배는 되고 있진 않지만 GM작물의 안전성 평가를 위한 기술 개발은 크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GM작물의 유전자이동성 평가가 수행되어왔으나 화분 공급원인 GM벼의 개화기 차이에 의한 유전자 이동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벼의 개화기 차이에 따른 비타민A 강화벼(PAC)로부터 모품종인 낙동벼와 중만생종인 일미벼, 조생종인 운광벼, 중생종인 대보벼, 통일형인 세계진미벼로의 화분매개에 의한 유전자 이동성을 평가하였다. 비타민A 강화벼(PAC)의 도입 유전자를 검출하는 PCR 분석을 통해 유전자 이동성 유무를 최종적으로 검증하였다. 총 파종된 종자수에 대한 교잡율은 개화기가 일치하는 낙동벼에서는 0.0007%, 개화기가 차이가 있는 일미벼, 운광벼, 대보벼, 세계진미벼에서는 0%로 나타났으며, 모든 교잡개체들은 비타민A 강화벼(PAC)에 근접한 2m 내에서 발견되었다. 화분 매개에 의한 비타민A 강화벼(PAC)의 유전자 이동 특성은 기존에 연구된 결과들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벼 재배품종간의 개화기 차이가 화분에 의한 교잡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벼 경작지의 기상 조건과 벼 품종간의 개화시기 중복 여부 등이 GM벼에 의한 일반 재배품종 및 잡초성벼로의 유전자 이동 최소화 기술 개발과 안전관리 기준 작성에서 주요 영향 요소들로 고려해야 한다.

장기간(長期間)의 비료연용(肥料連用)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과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Long-Term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Growth and Yield of Rice)

  • 양의석;안수봉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33-43
    • /
    • 1986
  • 다년간(多年間) 동일(同一) 비료(肥料)를 시용(施用)한 논에서 시비조건(施肥條件)의 차이(差異)가 토양(土壤)의 특성(特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함과 아울러 수도(水稻)의 반응(反應)올 형태(形態), 생리(生理), 생육면(生育面)으로 분석검토(分析檢討)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무비구(無肥區)와 무질소구(無窒素區)에서는 엽면적(葉面積)과 평균(平均) 생장속도(生長速度)의 감소(減少), 출수지연(出穗遲延), 수수(穗數)와 단위영화수(單位潁花數)의 감소(減少)로 3 요소구(要素區)에 비(比)하여 수량(收量)이 각각(各各) 43%와 53%정도(程度) 감소(減少)되었다. 2. 무인산구(無燐酸區)에서는 토양(土壤) 및 도체(稻體)의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낮았으나 그 결핍증상(缺乏症狀)이 나타날 정도(程度)는 아니었으며 수량(收量) 감수(減收)도 적었다. 3. 무가리구(無加里區)에서는 토양(土壤) 및 도체(稻體)의 가리함량(加里含量이 크게 떨어졌으며 1 수영화수(穗潁花數)의 감소(減少)로 삼요소구(三要素區)에 비(比)하여 약(約) 9%의 수량(收量) 감수(減收)가 있었다. 4. 삼요소(三要素)+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는 토양중(土樓中)의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규산함량(珪酸含量)이 높았으며 도체내질소(稻體內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및 규산(珪酸)의 흡수량(吸收量)이 증대(增大)되고 단위영화수(單位潁花數)와 수수(穗數) 증가(增加)로 삼요소(三要素) 시용구(施用區)보다 6~9% 증수(增收)되었다. 5.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는 질소(窒素), 인산(燐酸)의 흡수량(吸收量) 감소(減少)와 영양생장부진(營養生長不振), 수수(穗數) 및 영화수(潁花數) 감소(減少)로 과실(結實)의 양호(良好)에도 불구(不拘)하고 삼요소구(三要素區)보다 수량(收量)이 약(約) 30% 감소(減少)되었으나 무비료(無肥料)보다는 28%의 증수효과(增收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대목의 종류와 질소비요의 시용량이 접목 토마토의 생장, 과실의 품질 및 뿌리썩음시들음병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otstocks and Nitrogen Levels on Plant Growth, Fruit Quality and Infection of Root Rot Fusarium Wilt Disease in the Grafted-Tomato Plant)

  • 정희돈;윤선주;최영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1-158
    • /
    • 1997
  • 토마토‘Sunroad’품종을‘Anchor-T’, ‘Kagemushia’,‘Joint’및 Vulcan’등 4가지 다른 대목에 접목하여 뿌리썩음시들음병(Fusarium oxysporum Schl. f. sp. jycopersici Snyder et Hansen, race J$_3$)이 만연한 포장에 재배하여 이병율, 수량 및 과실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질소비료의 시용수준(10, 20 및 30kg.ha$^{-1}$)에 따른 생장, 과실의 성분 및 식물체의 무기성분함량의 변화도 아울러 조사하였다. 접목묘는 무접목에 비하여 제 1번 화방의 개화가 촉진되었다. 접목은 초장을 증가시켰고 질소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초장과 줄기 직경은 더욱 증가하였다. 접목한 토마토는 이병 되지 않았으나 ‘Anchor-T’ 대목에 접한 것은 64.7%의 이병율을 나타내었다. 접목한 토마토는 기형과, 발육불량과 및 잿빛곰팡이병과의 발생비율이 무접목구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접목과 무접목 사이에 있어서 가욕성고형물, 당함량, ascorbic acid 및 organic acid의 함량차이는 없었다. 질소 사용량의 증가에 따른 변화도 없었으나 ascorbic acid는 질소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잎과 줄기의 무기성분함량은 대목의 종류 및 질소 사용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질소 105당 30kg 시용구에서는 접목한 것이 잎의 N, Ca 및 Mg 함량이 현저히 높았다.

  • PDF

한국(韓國)에 도입(導入)된 Orchard grass(Pactylis glomerata L.) 중요형질(重要形質)에 관(關)한 육종학적(育種學的) 연구(硏究) (I) (Ecological Studies on the Major Characters of Introduced Orchard grass Varieties)

  • 김영래;최창열;길경열
    • 농업과학연구
    • /
    • 제2권1호
    • /
    • pp.179-185
    • /
    • 1975
  • Orchard grass의 내한성생태형(耐旱性生態型)을 선발(選拔)하고 기타중요형질(其他重要形質)에 관(關)한 예비실험(豫備實驗)을 실시(實施)한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Orchard grass는 토양수분(土壤水分)이 충분(充分)하였을 때 초기생육(初期生育)은 품종간(品種間)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며 Turkey's D=0.84였다. 그러나 생육(生育)이 진행(進行)함에 따라 품종간(品種間) 초장(草長)에 차이(差異)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질소(窒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와 배비구간(倍肥區間) 생육(生育)에 있어서는 품종간(品種間)의 유의차(有意差)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배비구(倍肥區)는 초장(草長)이 20~30% 더 생장(生長)하였으며 그 질소반응성(窒素反應性) 비교적(比較的) 높다고 추정(推定)된다. 3) 한발(旱魃)에서 생존(生存)한 품종(品種)들은 분얼수(分蘖數)가 고사품종(枯死品種)들에 비(比)하여 많으며 약간(若干)의 품종(品種)을 제외(除外)하면 높은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된다. 그러나 초장(草長)에 있어서는 양자간(兩者間)에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4) Merita, Phyllox 및 Dorise등(等) 품종(品種)들은 전개체가 한발조건(旱魃條件)에서 생존(生存)하였으며 그 초장(草長) 및 경수(莖數)는 각각(各各) Merita가 26.4cm 24.2개(個), Phyllox가 31.4cm, 24.6개(個) Dorise가 26.8cm, 35.6개(個)였다.

  • PDF

대목 종류에 따른 저온기 토경재배에서의 토마토 생육 특성 분석 (Growth Characteristics of Tomatoes Grafted with Different Rootstocks Grown in Soil during Winter Season)

  • 이혜원;이준구;조명철;황인덕;홍규현;권덕호;안율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4-203
    • /
    • 2022
  • 국내 토마토 토경재배 면적은 전체 재배면적의 89%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토경재배 토마토는 염류장해와 토양전염성 병원균 피해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겨울철 저온 피해를 입기 쉽기 때문에 토마토 접목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연구는 저온기 토경재배에서의 토마토 대목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생육, 수량 및 광합성 효율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대목의 종류는 4가지로 국내 개발 계통 및 품종 'Powergaurd', 'IT173773', '20LM'과 대조 품종 'B-blocking'을 사용하였다. 접수와 비접목 처리구로 완숙토마토 품종 'Red250'을 사용하였다. 작물이 14일간 9-14℃의 저온에 노출된 시기인 정식 후 80일에 비접목 처리구의 경경은 10.1mm로 접목 처리구에 비해 15% 낮았고 엽장과 엽폭은 42.4cm와 41.8cm로 감소하였다. 주당 총 수량은 'Powerguard'가 1,615g으로 높았고 비접목 처리구가 1,299g으로 낮았다. 엽록소형광 지수 중 작물의 전반적인 활력도를 나타내는 PIABS와 광합성에 사용되지 못한 빛에너지가 열로 소실됨을 뜻하는 지수인 DI0/RC를 측정한 결과, 정식 후 80일에 접목 처리구 'Powerguard'의 PIABS는 3.73으로 높았고 DI0/RC는 0.34로 낮은 반면, 비접목 처리구의 PIABS는 2.62로 낮았고 DI0/RC는 0.41로 높았다. 경경은 PIABS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반면, DI0/RC와는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다양한 엽록소형광 지수를 통해 저온기 대목 종류에 따른 접수의 생육차이를 분석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